전통주 뉴스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① 희석 소주 안 마셔요, ‘증류식 소주’ 주세요

조회 수 1802 추천 수 0 2019.03.15 18:40:16
"온더락으로… 적게 마시는 대신, 좋은 술 먹겠다"

‘일품진로 18년산’ 품절… 온라인서 20만원에 거래

증류식 소주, 주류시장에서 ‘나홀로 고공 성장’

원본보기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던한식 레스토랑’에서는 증류식 소주를 비롯 다양한 전통주를 요리와 곁들여 내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전통주에 대한 이미지가 젊어지고 있다./조선일보DB

개인사업을 하는 손관형(43)씨는 지난주 지인들과의 술자리에 어렵게 구한 ‘일품진로 18년산’을 들고 나갔다. 술이라면 일가견이 있다고 자부하는 지인들은 "이걸 어디서 구했느냐"며 환호했다.

일품진로 18년산은 돈 주고도 사 마시기 힘든 술이다. 주정(酒精)에 물과 인공감미료를 섞어 만드는 일반 희석식 소주와 달리, 쌀로 빚고 증류해 18년 동안 참나무통에 숙성한 고급 증류식 소주다. 지난해 11월 하이트진로에서 6000병 한정 출시하자마자 품절됐다. 소매가 6만5000원이지만 인터넷에선 약 2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고급 위스키와 비슷한 가격이다.

손씨는 "요즘 주변 주당(酒黨)들은 증류식 소주만 마시는 것같다"며 "희석식 소주보다 비싸지만 어차피 예전처럼 퍼마시지 않는 분위기인데다, 맛이나 건강을 따졌을 때 더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듯하다"고 했다.

◇온더락·칵테일 등 요즘 음주문화와 딱 맞아 

일품진로 18년산./하이트진로

한국인이 갈수록 술을 덜 마시고 있다. 국세청은 2017년 국내 주류 전체 출고량이 355만1405kL로 전년대비 3.5%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4년 380만8167kL, 2015년 380만4100kL, 2016년 367만9829kL로 4년 연속 감소세다. 하지만 증류식 소주를 마시는 이들은 급격하게 증가 추세다. 증류식 소주는 2017년 출고량이 1857kL로 전년대비 54.4%나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증가율은 29.6%이다. 희석식 소주 성장세가 1% 전후로 정체 상태인 것과 대비된다.

증류식 소주는 우리 조상들이 마시던 전통 소주이다. 쌀로 빚은 밑술을 증류해 만든다. 요즘 대중적으로 마시는 희석식 소주는 고구마나 타피오카 같은 값싼 농산물에서 뽑은 저렴한 주정에 인공감미료를 더해 맛을 내고 물로 희석해 도수를 조절해 만든다. 저렴하지만 맛과 향이 떨어지고 개성이 없다. 전통 소주는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양곡관리법으로 쌀로 술 빚기가 금지되면서 사라지다시피했다. 이 빈틈을 희석식 소주가 파고들어 차지하면서 ‘국민술’의 지위를 꿰찼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비싼 증류식 소주를 마시는 이들이 드물었다. 하지만 희석식에서 증류식 소주로 바꾸는 경우가 최근 늘었다. "소주 마니아"라는 대기업 과장 최기욱(42)씨가 그렇다. "(희석식) 소주 도수가 낮아지면서 옛날처럼 ‘카’하고 쏘는 맛 없이 밍밍해요. 와인은 한식과 잘 맞지 않는 듯하고, 막걸리는 너무 배부르고요. 그럴거면 정통 소주인 증류식을 마시자 싶었죠. 어차피 집에서 저녁에 기껏해야 두세 잔 마시니 좀 비싸도 부담이 크지 않아요."

한국술산업연구소 류인수 소장은 "2016년을 기점으로 술 소비 트렌드가 바뀌었다"며 "술을 취하려고 마시기보다 맛과 향을 즐기려고 마시는 소비자가 늘었습니다.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주정과 인공감미료가 들어가는 희석식 소주보다 천연재료로 만드는 증류식 소주가 낫다는 인식이 확산됐습니다."

증류식 소주는 25~40도로 알코올 도수가 높지만 최근 저도주 트렌드에도 의외로 어울린다. 얼음에 부어 마시는 ‘온더락(on the rock)’이나, 몇 년 전부터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위스키를 토닉워터와 섞어 마시는 일본 ‘하이볼’처럼 칵테일로 즐기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물을 섞어 알코올 도수를 취향에 맞게 조절해가며 마실 수도 있다.

◇증류식 소주 부활 기반 닦은 ‘화요’... ‘문배주’ 등 전통 소주 디자인 혁신하며 이미지 변신

원본보기
병 디자인을 혁신하며 젊어진 평양 지역의 전통 소주 ‘문배술’과 오미자 증류주 ‘고운달, 서울에서 마셔온 ‘삼해소주’, 지난해 우리술품평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소주 ‘미르’.(왼쪽부터)/대동여주도

최근 증류식 소주의 부활의 기반을 닦은 건 ‘화요’다. 도자기사업을 모태로 미쉐린가이드로부터 별 3개와 1개를 각각 획득한 고급 한식당 ‘가온’과 ‘비채나’를 운영하는 등 외식사업도 하는 광주요에서 2005년 선보였다. 쌀 원액을 증류해 옹기에 3~6개월 숙성시켜 만든다. 출시 이후 10년간 적자를 보다가 2015년 흑자로 돌아섰다.

일품진로는 2007년 출시됐다. 1996년 옛 진로는 증류식 소주 ‘참나무통 맑은 소주’를 내놨다. 하지만 같은 해 터진 IMF 금융위기로 부도가 나면서 판매를 중단했다. 팔 수 없게된 남은 원액은 하는 수 없이 참나무통에 담겨진 채 10년 넘게 숙성됐다. 이 우연히 남겨진 원액으로 만든 제품이 일품진로다.

주당들 사이에서 ‘가성비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폭발적으로 팔려나갔다. 결국 원액이 다 떨어져 일시 단종됐다. 요즘 판매되는 일품진로 1924는 6개월 이상 숙성한 제품이다. ‘대장부’는 희석식 소주 ‘처음처럼’을 생산·판매하는 롯데주류가 2016년 선보였다. ‘참소주’와 ‘경주법주’를 생산하는 금복주는 2017년 증류식 소주 ‘제왕’를 내놨다.

전통 소주도 디자인·패키지 혁신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다. 원래 평양 술이지만 계승자가 경기도 김포에서 생산하고 있는 ‘문배주’와 전북 전주를 대표하는 명주(名酒)인 ‘이강주’가 대표적이다. 기존 전통 도자기 호리병에서 직선적이고 투명한 유리병으로 교체하면서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배와 생강으로 맛을 낸 이강주는 주류구분법상으로는 리큐르에 속하지만 시장에선 전통 소주로 인식되고 있다. 청와대 만찬주로 선정됐던 ‘풍정사계 춘(春)’의 자매술로 2015년 탄생한 ‘풍정사계 동(冬)’도 인기다.

증류식 소주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지만 전체 주류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중이라 말하기 민망할 정도다. 출고량 기준 희석식 소주의 500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심각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힌 주세(酒稅) 제도가 바뀐다면 어떻게 될 지 모른다는 게 주류업계의 전망이다. 기존 ‘종가세’는 가격에 따라 세금을 매기기 때문에 주류업체 입장에선 고급 제품 개발하려면 부담이 크지만, 다른 나라처럼 알코올 용량에 주세를 매기는 ‘종량세’로 전환한다면 고가 제품의 경우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에 증류식 소주 생산업체 입장에선 도전해볼 만하다.

원본보기

서울 청담동 ‘르챔버’ 바에서 증류식 소주 화요로 만든 칵테일./광주요그룹

[김성윤 음식전문기자 gourmet@chosunbiz.com]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4330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전통주 산업 속에 녹아 있는 일본식 양조용어들

전통주 산업 속에 녹아 있는 일본식 양조용어들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08.25 10:42 최근에 어느 한 유명 연예인이 일본 제국주의를 상장하는 깃발 모양이 들어간 사진을 자신이 SNS에 올렸다가 상당히 문제가...

  • 누룩
  • 2016-08-31
  • 조회 수 1807

“대한민국 최고의 ‘米`s 코리아’를 찾습니다”

수원/아시아투데이 김주홍 기자 = ‘2012 전국 떡 명장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가 오는 11월 1일 서울 경마공원(과천)에서 개최된다. ‘대한민국 최고의 米 ’s 코리아를 찾습니다’ 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멋(美)과 맛...

  • 누룩
  • 2012-10-30
  • 조회 수 1810

외국 관광객 대상 '길목 마케팅' file

<서울, 제주에서 전통식품 홍보. 시음회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설 명절을 맞아 서울 명동, 제주 바오젠 거리에서 지난 1∼5일까지 5일간 우리나라를 찾아온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막걸리, 김치 등 전통식품에 대해 ‘길목마케...

  • 누룩
  • 2014-02-07
  • 조회 수 1810

한국 전통소주, 일본서 만들면 5만원 더 싸게 팔 수 있다

한국 전통소주, 일본서 만들면 5만원 더 싸게 팔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2016.03.15 02:24 수정 2016.03.15 03:26 | 종합 10면 지면보기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전통술 제조업장 ‘예술’에서 술을 만드는 모습. 48년 묵은 낡은 주세가 전통주 발전을 가로막고 ...

  • 누룩
  • 2016-03-15
  • 조회 수 1816

[프레시안] 영광군 지역 대표 전통주 '대마할머니 막걸리' 소방 안전 홍보 나서 file

(유)대마주조 생산...‘대마할머니 막걸리’, ‘톡 한잔 소주' 병 겉표지에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필수입니다”, “불나면 대피먼저” 스티커 부착 영광군 지역 대표 전통주로 전국에 소문난 대마할머니 막걸리가 소방안전 홍보막걸리로 또 다시 유명세를 얻게...

  • 누룩
  • 2020-02-20
  • 조회 수 1823

예사롭지 않은 막걸리 시장

국내외 막걸리 수요 부진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조면허 보유기업 수가 올 들어 5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주류업계 일각에서는 막걸리시장의 위축이 예사롭지 않은 상황이어서 향후 관련 업체들의 사업 포기나 줄도산이 잇따르는 사태가 벌어질...

  • 누룩
  • 2013-09-04
  • 조회 수 1831

와인부터 전통주까지 세계 주류가 한 자리에!

와인부터 전통주까지 세계 주류가 한 자리에! 기사입력 : 2016-04-04 18:26 [이투데이 이슬기 기자]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코엑스서.. 약 24개국 250개사 참가 국내 유일의 주류 단일품목 전시회...

  • 누룩
  • 2016-04-08
  • 조회 수 1832

[고양신문 10월8일자 1면] 100여종의 막걸리 ‘무료∙무제한’ 시음 file

16회 대한민국막걸리축제 개최 10월 20·21일, 일산문화공원 고양의 대표적인 축제로 성장한 대한민국막걸리축제가 10월 20일, 21일 이틀간 열린다. 우리술 막걸리를 응원하는 축제로 시작된 이 행사는 고양시민은 물론 대한민국이 사랑하는 축제로 자리잡았...

  • 누룩
  • 2018-10-12
  • 조회 수 1839

어머니 밥상과 식초 이야기

2014년 06월 10일 (화) 정효 7618700@kndaily.com ▲ 정효 셀프힐링센터 부산범천 관음사 주지 자연이 인간에게 선물한 숱한 먹거리 중에서도 장수와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식품을 말하라고 하면 나는 주저없이 `식초`의 효능을 말하고 싶다.  식초는 ...

  • 누룩
  • 2014-06-30
  • 조회 수 1841

[알면 더 맛있는 식품] 만능 살림꾼 식초① [3]

[쿠키 생활] 요리에 이용하고, 음료로 건강도 챙기고 팔방미인 식초의 활용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생활속에서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생활 식초이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된장국 맛 살리기=초보 주부들을 위한 비법 하나. 친정엄마가 끓인 것과 달리 자신...

  • 누룩
  • 2013-04-11
  • 조회 수 1845

충남에 가면 사과와인도 있고 막걸리도 있고~

명욱의 막걸리 칼럼 대한민국 팔도 중에서 지형이 가장 낮은 곳이 있다. 해발 고도 1,000m 이상을 넘는 곳이 없으며 도 전체의 평균 고도 역시 100m를 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는 고대의 마한, 백제의 수도가 있었고 고려 시대에는 경기도, 충북지역과 같이 묶...

  • 누룩
  • 2014-07-10
  • 조회 수 1845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손덕호 기자 입력 : 2017.02.08 07:00 젊은 층 외면으로 판매량 줄어드는 日 맥주 업계, 하이볼·츄하이 등 새 주류 개발해 승부 ▲ 일본 사이타...

  • 누룩
  • 2017-02-13
  • 조회 수 1847

[와인기행]520년 이어온 지공다스의 명가 ‘샤토 드 생콤’

일반인에게는 샤토네프 뒤 파프의 명성이 더 알려져 있지만, 지공다스야말로 남부 론 계곡의 기후와 테루아를 가장 잘 표현한 와인이라고 생각한다. 론 계곡(Vallee du Rhone)은 보르도, 부르고뉴와 함께 프랑스를 대표하는 와인 산지다. 리옹 남쪽 인근 ...

  • 누룩
  • 2014-05-07
  • 조회 수 1848

비지니스워치 김빠진 막걸리…프리미엄 제품으로 부활 시동

실적 바닥 친 대형업체들 신제품 출시 분주 "고급 제품 지속 개발…소비자층 확대할 것"급격한 시장 축소로 어려움을 겪었던 막걸리 업체들이 최근 신제품을 속속 내놓으면서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맛에 가격만 싸다는 기존 이미지에서 벗어...

  • 누룩
  • 2018-06-20
  • 조회 수 1850

[주간동아]술 마셨는데 감기 예방? 온라인에서 날개 펴는 전통주

서울 이태원 클럽발(發) 집단감염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랜선 음악회, 랜선 버스킹, 랜선 파티 등은 당분간 계속될 것 같다. 고객이 직접 숍에 방문해 구매하기를 선호하는 명품...

  • 누룩
  • 2020-05-14
  • 조회 수 18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