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이인(薏苡仁, 율무쌀)

조회 수 2237 추천 수 1 2005.09.27 15:09:19
제목 :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폐위(肺 ), 폐기(肺氣)로 피고름[膿血]을 토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켕기는 것[筋脈攣急]과 건각기, 습각기[乾濕脚氣]를 치료한다[본초].

○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장기( 氣)를 막는다[사기].

○ 오랫동안 먹으면 음식을 잘 먹게 된다. 성질이 완만하여[緩] 세게 내보내지는 못하므로 다른 약보다 양을 곱으로 하여 써야 한다. 깨물어 보아 이에 붙는 것이 좋은 것이다[입문].

○ 이 약의 기운은 완만하기 때문에 다른 약의 양보다 곱을 써야 효과를 볼 수 있다[단심].

○ 겉곡을 털어 물이 푹 배게 쪄서 햇볕에 말려 갈아서 쓴다. 혹은 찧어서 쌀을 내기도 한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07
145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33
»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37
1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327
142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46
141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2
140 국(麴, 누룩) 2005-09-27 2137
139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907
138 누호(蔞蒿, 물쑥) 2005-09-27 2502
137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51
136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46
135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15
134 초호(草蒿, 제비쑥) 2005-09-27 2229
133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68
132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1] 2005-09-27 2602
131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2005-10-31 2641
130 마분(麻 , 삼꽃가루) 2005-10-31 2295
129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60
128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14
127 연화(蓮花, 연꽃) [1] 2005-10-31 2274
126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9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