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초(蜀椒, 조피열매)

조회 수 2550 추천 수 1 2005.08.29 11:50:42
유인수 61.248.
촉초(蜀椒, 조피열매)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에 죽은 살, 한습비(寒濕痺)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6부에 있는 한랭기운을 없애며 귀주(鬼 ), 고독(蠱毒)을 낫게 하고 벌레독이나 생선독을 없애며 치통을 멈추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낭에서 땀나는 것을 멈춘다.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오줌횟수를 줄이고 기를 내려가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높이는 4-5자 된다. 수유나무와 비슷한데 작고 가시가 있으며 잎이 굳고 미끄럽다. 음력 4월에 열매가 열리는데 꽃은 없다. 다만 잎 사이에 팥알 비슷하고 둥근 것이 자란다. 껍질은 자줏빛이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천초(川椒), 파초(巴椒), 한초(漢椒)라고도 한다.

○ 촉초는 껍질과 살이 두텁고 속이 희며 냄새와 맛이 진하고 세다. 쓸 때는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려야 한다. 벌어지지 않은 것은 사람을 죽인다. 약한 불에서 진이 날 정도로 닦은 것이라야 효과가 좋다. 절구에 쓸어 붉은 가루만 골라 쓴다[본초].

○ 술에 축축하게 버무려 쪄서 동이에 넣어 그늘에서 말린다. 바람을 쏘이면 안 된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451
145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41
144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41
1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353
142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59
141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8
140 국(麴, 누룩) 2005-09-27 2176
139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937
138 누호(蔞蒿, 물쑥) 2005-09-27 2515
137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64
136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52
135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20
134 초호(草蒿, 제비쑥) 2005-09-27 2236
133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74
132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1] 2005-09-27 2625
131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2005-10-31 2679
130 마분(麻 , 삼꽃가루) 2005-10-31 2310
129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78
128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21
127 연화(蓮花, 연꽃) [1] 2005-10-31 2290
126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9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