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문화초대석]우리 술과 향

조회 수 1288 추천 수 0 2014.08.04 14:13:05
▲서석규 문화칼럼니스트
▲서석규 문화칼럼니스트
옛날 우리 선조들은 좋은 술을 빚기 위해 푹푹 찌는 복중에 누룩을 디뎠다. 특히 중복 날이 좋대서 땀을 줄줄 흘리면서도 누룩을 디뎠다. 한해 열두 달, 철따라 해야 할 일들이 빼곡하게 적힌 가사달력은 따로 적어 놓지 않았어도 할머니와 어머니 머릿속에 철저하게 입력되어 있었다. 중복 날 누룩을 디디고 동짓날 밑술을 담그며 진달래가 피기 시작하면 두견주를 담갔다.

어느 해였던가. 충청도 어느 양반 댁에 전해오는 술 담그는 법을 따라 두견주를 담가 봤다. 붓글씨로 아래아자, 된시옷의 옛날 언문 투 글씨의 기름먹인 한지를 펼쳐 놓고 정성껏 빚어 보았다. 용수에서 뜬 술이 생각처럼 곱지 못했다. 그러나 병에 넣어 시원한 지하실 한쪽 구석에 놓고 살폈더니 점점 호박색이 짙어져갔다. 실험실에 부탁해 확인했더니 알코올도수는 18도, 여름이 가고 가을 겨울 이듬해 제 돌이 돌아올 때까지도 효모가 탱탱하게 살아 있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부드럽고 은은한 술의 향이었다. 술이 잠자면서 또 다른 모습으로 익은 것이다.

30여 년 전, 세계의 술 전문가 2000여 명이 모인 스코틀랜드 큰 모임에서 '술맛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각자가 술을 하나하나 마셔 보고 그 맛을 형용사로 적었다고 한다. 다양한 표현이 있었다. 결국 술맛이란 술이 지닌 향(香)으로 집약되었다. 아무리 좋은 술이라도 코를 막고 마시면 구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술을 넘기고 나서 천천히 숨을 내 쉴 때 코끝에 닿는 향은 술마다 다르다. 이 때 코끝에서 맡는 향이 술맛이라는 것이다.

세계의 소문난 술들은 거개가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자랑한다. 그 술만이 지닌 개성 있는 향을 위해서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좋은 향을 지니게 하려면 원료나 발효과정도 중요하지만 잠을 잘 재우는 일도 중요하게 여긴다. 잠자기 좋은 환경 즉 좋은 그릇(나무통이나 항아리 등 용기)과 좋은 방(땅 밑이나 토굴 속 온도와 습도가 적합한 저장고)에서 자야한다. 산골의 거친 돌들이 물길을 타고 하구로 내려가면서 오랜 시간 부딪치고 갈려 동글동글 몽돌이 되듯이 술도 잠을 자는 동안 거친 향이 부드럽고 은은해진다. 그래서 10년 묵었네, 20년 묵었네, 50년 또는 100년을 묵었네 하면서 잠잔 햇수를 자랑한다.

우리나라 전통 술은 그 많은 종류의 술들이 모두 저마다의 독특한 향을 자랑했다. 달빛처럼 은은한 향이었다. 중국의 옛 시인들이 즐기던 정향(丁香)이란 향은 어떤 것일까? 양조장을 경영하는 친구한테 부탁해서 실험해 본 적이 있다. 술 한 말에 작은 정향 꽃봉오리 반개가 적량이었다. 한 개를 온통 넣으면 향이 진해 오히려 역겨웠다.

김치 담그듯 술도 집집마다 가풍 따라 절기 따라 '우리 집 만의 자랑'이 있었다. 이 아름다운 맛의 전통을 뭉개 없앤 것은 일제(日帝)였다. 1909년 통감부는 우리 정부에 주세법을 만들라고 권했다. 그 때 만든 주세법(酒稅法 2월 13일 법률 제3호)에서 술의 종류를 청주, 약주, 백주, 탁주, 소주로 국한시켰다.

그리고 이듬해인 1910년 치욕적인 망국과 함께 일제는 한술 더 떠서 '조선술 말살'을 서둘렀다. 주세령(1916년 7월)을 만들어 우리 술은 '조선주인 탁주, 조선주인 약주, 소주'로 국한시켰다. 우리 맑은 술 청주를 술의 종류에서 빼 버린 것이다. 그리고 청주란 이름은 일본식 청주(倭淸酒)에만 쓰도록 했다.

우리 전통문화를 끝까지 지키다 가신 대전의 선비 조병호(靜香 趙柄鎬)선생은 일제 강점기 때 제사에 올릴 술이 없어 축문에 '…왜(倭)청주를 올릴 수 없고 천한 탁주를 올릴 수도 없어 감주로 대신 올리니 흠향하시옵소서.'라 쓰고 감주를 올렸다고 했다. 그는 우리 청주 빼앗긴 일을 늘 원통해하였다.

광복 70년을 맞으면서 일제가 말살한 우리 술을 되살리지 못한 채 왜 청주 수입은 날로 늘어가고 향이 없어 좋은 술 근처에 얼씬대지 못하는 증류식 소주와 탁주를 국주(國酒)운운하는 나라가 되었다. 우리 술의 깜깜한 미래를 어찌해야 된단 말인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세법 2017]안동소주 등 증류주만 쏙 빠진 전통주 세제혜택

[세법 2017]안동소주 등 증류주만 쏙 빠진 전통주 세제혜택 입력시간 | 2017.08.02 15:37 | 김태현 기자 thkim124@edaily.co.kr 정부, 소규모 전통주 제조자 위한 세제 경감 확대 그러나 증류식 소주 등을 만드는 증류주 업체 제외 --> ...

  • 누룩
  • 2017-08-03
  • 조회 수 1075

[매일경제 MBN] 우리나라에서 술 관리하는 기관, 알고보니… file

국세청 소식지 `행복한 세상`의 전통주 소개 [자료 = 국세청] 국세청은 얼마 전 `우리술 진흥, 국세청도 함께 합니다`라는 자료를 발표했다. 여기서 잠깐. 국세청이 왜 주류산업에 신경을 쓰는걸까. 답은 간단하다. 국세청이 술을 관리하는 주요기관 중 ...

  • 누룩
  • 2020-02-03
  • 조회 수 1072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우리술 45개업체, 70여점 한 자리에 (경북=국제뉴스) 김용구 기자 = 경상북도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대구 EXCO에서 열리는 ‘2015 DAFOOD’ 행사에 '경북 전통주 특별 홍보관'을 운영한다. 이번 홍보관은 신라 천년왕국의...

  • 누룩
  • 2015-06-12
  • 조회 수 1072

[한겨레] 술 빚는 두 청년은 왜 짐 로저스의 투자를 거절했나 file

입력2022.12.26. 오전 5:03 수정2022.12.26. 오전 7:21 대전 청년 양조장 ‘으능정이부루어리’ 이야기 으능정이부루어리의 민재명 대표(왼쪽)와 황주상 이사가 지난 22일 대전 중구 은행동의 양조장에서 술과 쌀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최예린 기자 “...

  • 누룩
  • 2022-12-27
  • 조회 수 1070

보존제 소르빈산, 탁주와 약주에 쓰인다

보존제 소르빈산, 탁주와 약주에 쓰인다기사승인 2016.08.30 - 식약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안) 행정예고 ▲ 과실주에만 사용되던 보존제 소르빈산이 탁주와 약주에도 허용된다.[컨슈머와이드-지세현 기자] 과실주에만 사용되던 보존제 소르빈...

  • 누룩
  • 2016-09-22
  • 조회 수 1070

[주류안전관리 방향은] 식약처, 주류업무 총괄 '주류안전정책과' 신설 file

[주류안전관리 방향은] 식약처, 주류업무 총괄 '주류안전정책과' 신설 정덕화 식품안전정책위원회장과 박희옥 주류안전관리기획단장에게 듣는다 • 푸드투데이 푸드투데이 기자 001@foodtoday.or.kr • 등록 2016.11.03 18:35:41 국세청에서 담담해온 주류에...

  • 누룩
  • 2016-11-15
  • 조회 수 1067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당장 7월부터 전통주업체에 대한 시설기준이 강화될 방침이다. 시설 투자 여력이 없어 아직 대비를 하지 못한 영세 업체들이 많은 것으로 전해져 존폐 여부에 따른 우려도 나오고 있...

  • 누룩
  • 2015-06-18
  • 조회 수 1067

[국민일보] 고흥유자주, ‘K-디자인 어워드 2021’ 위너 수상 file

기사입력 2021.08.10. 오전 11:46 K-디자인 어워드는 아시아 3대 디자인 콘테스트 고흥군, 도농업기술원 유자수출사업단, 중국 JHE글로벌 기업과 공동 협력 결과 고흥유자주 아시아 3대 디자인상, K-디자인 어워드 2021 위너 수...

  • 누룩
  • 2021-08-17
  • 조회 수 1066

한국일보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 file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뱅쇼부터 아이리시 커피까지 '온주의 모든 것' 알코올은 기름인 동시에 물이며, 그 자체로는 별 맛이 없지만 강력하게 다른 재료의 향을 쥐고 있다. 음식에 들어간 술은 자체로 풍부한 향을 내는 향신료가 되며...

  • 누룩
  • 2017-01-18
  • 조회 수 1066

전자신문 국순당, 취준생 위한 '내고장-내일터 프로그램' 참여

우리 술 전문기업 국순당은 강원도 횡성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지역 인재의 취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국순당은 최근 원주지방환경청이 주관한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내고장-내일터' 프로그램에 참여해 20일 프로그...

  • 누룩
  • 2018-07-23
  • 조회 수 1061

[조선비즈][박순운의 술기행](91) "가족들과 함께 마실 술 만든다는 마음으로 술 빚어요." file

경기도 여주의 지역특산주 양조장 '술아원' 강진희 대표 과하주, 고구마소주, 복분자 약주. 막걸리 등 제품 라인업 풍성 술지게미 처리 고민하다가 '복분자 그라빠'도 만들어 여주산 수수로 만든 '한국형 고량주' 증류주 개발도 막바지 술아원...

  • 누룩
  • 2023-03-16
  • 조회 수 1060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가끔 와인을 마시는 것이 노안이 오는 것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팀은 43~8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 음주, 운동 등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 누룩
  • 2014-06-23
  • 조회 수 1060

먹거나 바르면 신통한 효과... ‘자연의 약’ 9

소금, 꿀, 레몬 등 치료 효과 병원에 빨리 가야 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면 대개 집에서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우선 상비약을 떠올리지만 일상에서 쓰는 식품 중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미국의 건강정보 잡지 프리벤션이 ‘자연의 약’으로 불리는 ...

  • 누룩
  • 2015-03-16
  • 조회 수 1059

경남농업기술원 '고로쇠 수액 이용 전통주 제조방법 특허'

기사내용 요약 고로쇠 수액 활용 전통주 고급화, 차별화로 새로운 소비시장 확대 [진주=뉴시스]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청주.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경남도농업기술원은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을 특...

  • 누룩
  • 2021-08-27
  • 조회 수 1058

뉴데일리 “명품 전통주를 찾습니다” … aT, 8일까지 탁주·약주·과실주 공모

오는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대축제’를 앞두고 농식품부와 aT가 우수 전통주를 10월 8일까지 공모 중이다. 공모 분야는 ▲탁주 ▲약주·청주 ▲증류주 ▲과실주 ▲기타 주류 총 5개 분야다. 각 분...

  • 누룩
  • 2018-10-01
  • 조회 수 10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