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문화초대석]우리 술과 향

조회 수 1280 추천 수 0 2014.08.04 14:13:05
▲서석규 문화칼럼니스트
▲서석규 문화칼럼니스트
옛날 우리 선조들은 좋은 술을 빚기 위해 푹푹 찌는 복중에 누룩을 디뎠다. 특히 중복 날이 좋대서 땀을 줄줄 흘리면서도 누룩을 디뎠다. 한해 열두 달, 철따라 해야 할 일들이 빼곡하게 적힌 가사달력은 따로 적어 놓지 않았어도 할머니와 어머니 머릿속에 철저하게 입력되어 있었다. 중복 날 누룩을 디디고 동짓날 밑술을 담그며 진달래가 피기 시작하면 두견주를 담갔다.

어느 해였던가. 충청도 어느 양반 댁에 전해오는 술 담그는 법을 따라 두견주를 담가 봤다. 붓글씨로 아래아자, 된시옷의 옛날 언문 투 글씨의 기름먹인 한지를 펼쳐 놓고 정성껏 빚어 보았다. 용수에서 뜬 술이 생각처럼 곱지 못했다. 그러나 병에 넣어 시원한 지하실 한쪽 구석에 놓고 살폈더니 점점 호박색이 짙어져갔다. 실험실에 부탁해 확인했더니 알코올도수는 18도, 여름이 가고 가을 겨울 이듬해 제 돌이 돌아올 때까지도 효모가 탱탱하게 살아 있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부드럽고 은은한 술의 향이었다. 술이 잠자면서 또 다른 모습으로 익은 것이다.

30여 년 전, 세계의 술 전문가 2000여 명이 모인 스코틀랜드 큰 모임에서 '술맛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각자가 술을 하나하나 마셔 보고 그 맛을 형용사로 적었다고 한다. 다양한 표현이 있었다. 결국 술맛이란 술이 지닌 향(香)으로 집약되었다. 아무리 좋은 술이라도 코를 막고 마시면 구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술을 넘기고 나서 천천히 숨을 내 쉴 때 코끝에 닿는 향은 술마다 다르다. 이 때 코끝에서 맡는 향이 술맛이라는 것이다.

세계의 소문난 술들은 거개가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자랑한다. 그 술만이 지닌 개성 있는 향을 위해서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좋은 향을 지니게 하려면 원료나 발효과정도 중요하지만 잠을 잘 재우는 일도 중요하게 여긴다. 잠자기 좋은 환경 즉 좋은 그릇(나무통이나 항아리 등 용기)과 좋은 방(땅 밑이나 토굴 속 온도와 습도가 적합한 저장고)에서 자야한다. 산골의 거친 돌들이 물길을 타고 하구로 내려가면서 오랜 시간 부딪치고 갈려 동글동글 몽돌이 되듯이 술도 잠을 자는 동안 거친 향이 부드럽고 은은해진다. 그래서 10년 묵었네, 20년 묵었네, 50년 또는 100년을 묵었네 하면서 잠잔 햇수를 자랑한다.

우리나라 전통 술은 그 많은 종류의 술들이 모두 저마다의 독특한 향을 자랑했다. 달빛처럼 은은한 향이었다. 중국의 옛 시인들이 즐기던 정향(丁香)이란 향은 어떤 것일까? 양조장을 경영하는 친구한테 부탁해서 실험해 본 적이 있다. 술 한 말에 작은 정향 꽃봉오리 반개가 적량이었다. 한 개를 온통 넣으면 향이 진해 오히려 역겨웠다.

김치 담그듯 술도 집집마다 가풍 따라 절기 따라 '우리 집 만의 자랑'이 있었다. 이 아름다운 맛의 전통을 뭉개 없앤 것은 일제(日帝)였다. 1909년 통감부는 우리 정부에 주세법을 만들라고 권했다. 그 때 만든 주세법(酒稅法 2월 13일 법률 제3호)에서 술의 종류를 청주, 약주, 백주, 탁주, 소주로 국한시켰다.

그리고 이듬해인 1910년 치욕적인 망국과 함께 일제는 한술 더 떠서 '조선술 말살'을 서둘렀다. 주세령(1916년 7월)을 만들어 우리 술은 '조선주인 탁주, 조선주인 약주, 소주'로 국한시켰다. 우리 맑은 술 청주를 술의 종류에서 빼 버린 것이다. 그리고 청주란 이름은 일본식 청주(倭淸酒)에만 쓰도록 했다.

우리 전통문화를 끝까지 지키다 가신 대전의 선비 조병호(靜香 趙柄鎬)선생은 일제 강점기 때 제사에 올릴 술이 없어 축문에 '…왜(倭)청주를 올릴 수 없고 천한 탁주를 올릴 수도 없어 감주로 대신 올리니 흠향하시옵소서.'라 쓰고 감주를 올렸다고 했다. 그는 우리 청주 빼앗긴 일을 늘 원통해하였다.

광복 70년을 맞으면서 일제가 말살한 우리 술을 되살리지 못한 채 왜 청주 수입은 날로 늘어가고 향이 없어 좋은 술 근처에 얼씬대지 못하는 증류식 소주와 탁주를 국주(國酒)운운하는 나라가 되었다. 우리 술의 깜깜한 미래를 어찌해야 된단 말인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 보존제 소르빈산, 탁주와 약주에 쓰인다 누룩 2016-09-22 1065
200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누룩 2015-06-18 1065
199 경남신문 무학, 하이트맥주 마산공장 인수 나섰다 누룩 2017-11-13 1065
198 귀농인 우리쌀 활용한 천연막걸리 빚기 교육 누룩 2017-12-05 1064
197 [연합뉴스] [호식탐탐] ② 대보름 귀밝이술 우리 청주 어때요? file 누룩 2023-02-06 1063
196 한국일보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 file 누룩 2017-01-18 1063
195 [주류안전관리 방향은] 식약처, 주류업무 총괄 '주류안전정책과' 신설 file 누룩 2016-11-15 1061
194 [한겨레] 술 빚는 두 청년은 왜 짐 로저스의 투자를 거절했나 file 누룩 2022-12-27 1057
193 [국민일보] 고흥유자주, ‘K-디자인 어워드 2021’ 위너 수상 file 누룩 2021-08-17 1057
192 먹거나 바르면 신통한 효과... ‘자연의 약’ 9 누룩 2015-03-16 1057
191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누룩 2014-06-23 1055
190 전통주 국제주류품평회서 독립적 지위 인정...K-SOOL 부문 신설 누룩 2016-03-02 1055
189 전자신문 국순당, 취준생 위한 '내고장-내일터 프로그램' 참여 누룩 2018-07-23 1054
188 "천연 발효식초,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누룩 2014-11-03 1053
187 아재 술 '막걸리', 젊은 변화로 여성 입맛까지 사로잡아 누룩 2016-08-17 10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