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지금, 초여름에 즐기는 막걸리와 전통주 문화

조회 수 1612 추천 수 0 2014.05.28 10:24:15

5월은 무더운 여름이 본격적으로 채비를 갖추는 시기이다. 남쪽 지방은 30도를 웃도는 한여름 날씨를 기록하며, 따뜻한 음료 대신 차갑고 시원한 음료를 찾기 시작하는 때이다. 특히 늦은 봄에서 여름까지는 이러한 날씨 때문에 주류관련 매출이 활발한 때인데, 알코올도수가 낮으며 수분함량이 많고, 탄산의 청량감을 가진 생맥주와 생막걸리 시장이 가장 수혜를 받는 때이다. 특히 이 시기에 비가 오는 날에는 막걸리 매출이 부쩍 올라가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이런 시기에 어떠한 술을 빚으며 생활했을까? 그때도 지금처럼 비 오는 날에는 막걸리를 즐겼을까? 오늘은 무더워지는 늦은 봄에서 뜨거운 여름으로 이어지는 전통주 이야기이다.


	이화주
떠먹는 막걸리 이화주. 식감이 부드럽고 새콤한 맛이 특징이다. 한여름에는 찬물에 넣어 시원하게 마시기도 한다

요구르트의 식감, 떠먹는 탁주 '이화주(梨花酒)'
5월 초가 되면 배나무를 키우는 전국의 모든 과수원은 하얗게 물든다. 배나무에서 하얀 빛깔의 배꽃이 피어나기 때문이다. 배꽃이 만개하여 절정에 달하면 빚는 술이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이화주(梨花酒)’. 한자 그대로 풀어서 배꽃술이다. 고려시대 때부터 빚어진 술로 빛깔이 희고 죽과 같아 떠먹기도 하며, 더워지는 계절에 맞춰 찬물에 타서 마시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용되어왔다.
이화주가 일반 가양주와 달랐던 점은 보편적인 누룩원료가 밀인 것에 반해, 이화주는 이화곡(梨花麯)이라는 쌀을 원료로 한 누룩을 직접 띄워서 빚었으며, 누룩 외의 주 원료인 곡물도 쌀을 가루로 하여 구멍떡, 설기떡 등의 떡으로 빚었다. 덕분에 쌀로만 빚은 이화주는 배꽃과 같이 하얀 빛깔을 가지게 되었고, 떡으로 빚은 만큼 요구르트와 같은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다.
이화주에 대한 문헌은 1450년경에 쓰여진 ‘산가요록’부터 ‘규곤시의 방’, ‘요록’, ‘주방문’, ‘산림경제’, ‘임원경제지’ 등 다양한 문헌에서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문헌에 기록으로 남아져 있는 것과 쌀이라는 고급 곡물만을 사용한 것을 봤을 때, 당시의 특권층인 사대부나 부유층이 즐겼을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문헌상에는 선조들이 비 오는 날에 특별히 막걸리를 즐겼다는 기록은 없지만, 더워지기 시작하는 늦은 봄부터는 특별한 탁주를 빚어 시원하고 새콤하게 즐겨왔던 것이다.


	연꽃
한여름 새벽에 개화하는 연꽃. 봉우리가 열리며 소리를 낸다고 한다. 연잎을 넣으면 연옆주, 연꽃을 넣으면 연화주라 불리며 특히 연잎은 솔잎과 더불어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한여름 새벽에 피는 아름다운 연꽃, 그 잎으로 빚는 약주 '연엽주(蓮葉酒)'
앞서 설명한 이화주가 배꽃이 직접 들어가지 않고 배꽃의 하얀 모습과 개화 시기에 맞춰 빚는 술이라면, ‘연엽주(蓮葉酒)’는 말 그대로 연꽃잎을 넣어 빚는 가향주(佳香酒)란 종류로 분리된다. 동시에 이화주가 발효된 곡물을 섭취하는 탁주의 개념이라면, 연엽주는 맑은 부분만 떠서 좀 더 숙성시켜 마시는 약주로 분류된다. 연엽주를 빚는 가장 대표적인 곳은 충남 아산에서 전해져오는 ‘아산 연엽주’로, 예안 이씨 가문의 종부에만 전해져 온 궁중의 술로 알려져 있다. 현재 충남 무형문화재 11호로도 등록되어 있으며, 1600년대 말에 기술되었다고 보여지는 한글 조리서 ‘주방문(酒方文)’에 비교적 자세하게 빚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로 연잎이 아닌 연꽃 자체를 넣으면 연화주라고 불리는데, 연화주의 경우는 누룩을 사용하지 않고 연잎 또는 닥나무 잎 등을 항아리에 깔아 야생곰팡이와 야생효모를 생성시켜 만드는 술로 알려져 있다.


	과하주
최근에는 다양한 과하주가 복원되고 있다. 출처 술아
무더운 여름을 탈 없이 넘기는 술 '과하주(過夏酒)' 
술 제조에 있어서는 혼양주(混釀酒)란 분류법이 있다. 두 가지 종류의 술을 넣어 발효시킨다는 뜻인데, 대표적인 전통주가 여름을 넘긴다는 뜻의 ‘과하주(過夏酒)’이다. 약주에 소주를 넣어 빚는 술로 무더운 여름에 술이 산패되지 않기 위해 알코올 도수가 높은 소주를 약주에 첨가, 보존성을 좋게 하여 무더운 여름에 탈없이 날 수 있는 술이란 의미다. 이 과화주 역시 다양한 문헌에 등장하는데, 쌀과 물, 누룩으로 술을 빚고 술이 발효되서 익는 과정에 소주를 붓고 다시 발효, 숙성 과정을 거친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혼양주(混釀酒)’인데, 섞일 혼(混), 빚을 양(釀)이란 어원답게 단순히 섞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다시 한번 발효와 숙성를 시킨다는데 큰 의미가 있어, 즉석에서 섞어 마시는 칵테일이나 이른바 소주와 맥주의 폭탄주와는 큰 차이가 있다.

인문학이 살아 있는 전통주, 올 여름에는 우리 술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길
앞서 설명한 전통주는 대부분 일반 마트 및 유통매장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자본의 논리를 앞세워 워낙 저가의 술이 난립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주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찍어낼 수도 없다. 또한 명절이 아닌 이상 문화가 깃든 우리 술을 찾는 문화 역시 제대로 되어 있지를 않는 현실 속에서, 기회가 된다면 늦은 봄과 여름에 어울리는 우리술을 찾아보고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의외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인물, 자연까지 연결된 인문학적인 모습을 많이 발견할 것이다.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글,사진 제공 /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blog.naver.com/vegan_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즐기는 문화체험 된 전통주,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숙제

즐기는 문화체험 된 전통주,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숙제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2년…18개소 지정 안정궤도 진입 [2740호] 승인 2015.07.28 ▲ 여러 가능성을 열어준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이 올해로 3년차를 맞은 가운데 향후 과제에 대한 보완도 요구되고 있다....

  • 누룩
  • 2015-07-30
  • 조회 수 1035

BRAVO 술에 대한 명상, 고전에서 걸러낸 술 이야기

술에 대한 명상, 고전에서 걸러낸 술 이야기 2017-09-30 16:44 | 글·사진 황광해 맛 칼럼니스트 bravo@etoday.co.kr 말하자면, 그때도 “오빠 믿제, 한잔해?”라는 말이 있었다는 뜻이다. 2천여 년 전, 고구려 건국 전이다. 주인공은 천제의...

  • 누룩
  • 2017-10-17
  • 조회 수 1035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 280] 안동소주, 칠백년 음식 유산 file

입력 2023.01.07 09:00 740년 안동소주 역사와 8개 안동소주 기록 안동의 미래 볼 수 있는 종택 가양주도 소개 직접 밀 농사를 지으면서 그 밀로 소주를 내리는 농부이자 양조인 박성호 씨가 자신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안동지역의 소주에 관한 책을 펴...

  • 누룩
  • 2023-01-09
  • 조회 수 1033

연합뉴스 '세계 와인 한자리에' 대전국제와인페어 9월 1∼3일 열려

'세계 와인 한자리에' 대전국제와인페어 9월 1∼3일 열려 송고시간 | 2017/07/20 09:55 2017 대전 국제 와인 페어 포스터[대전마케팅공사 제공=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대전마케팅공사는 오는 9월 1∼3일 대전무역전시관과 엑...

  • 누룩
  • 2017-07-20
  • 조회 수 1033

경남농업기술원 '고로쇠 수액 이용 전통주 제조방법 특허'

기사내용 요약 고로쇠 수액 활용 전통주 고급화, 차별화로 새로운 소비시장 확대 [진주=뉴시스]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청주.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경남도농업기술원은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을 특...

  • 누룩
  • 2021-08-27
  • 조회 수 1032

[고양신문]제17회 대한민국막걸리축제 일산문화공원 개최 file

9~10일 이틀간 진행. 팔도 막걸리 무제한 무료시음 [고양신문] 올해로 제17회째 이어오는 대한민국막걸리축제가 11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일산문화공원에서 개최된다. 돼지열병으로 미뤄진 해를 거듭할수록 유명세가 더해지며 전국에서 10만여 명의...

  • 누룩
  • 2019-11-07
  • 조회 수 1032

조선닷컴 색다른 맛을 느끼고 싶다면, 우리나라 전통술에 대해 알아볼까?

2018 대한민국 와인 페스티벌 사진=2018 대한민국 와인 페스티벌 포스터 한국와인과 한국음식의 환상적인 앙상블이 기대되는 ‘2018 광명동굴 대한민국 와인 페스티벌’이 10월 26일부터 사흘 동안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테마파크인 광명동굴에서 개최된다. 2018 ...

  • 누룩
  • 2018-10-26
  • 조회 수 1032

[한국농어민신문] 술품질인증제도 유명무실···30%가 재인증 포기

[한국농어민신문 주현주 기자] 어기구 의원 국감자료 전통주업계 “인지도 낮아” 우리 농산물 사용 확대와 전통주 등의 품질 향상을 위한 ‘술 품질인증제도’가 전통주 업계에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술 품질인증을 받은 전통주 업체는 3년마다 재인증...

  • 누룩
  • 2020-10-08
  • 조회 수 1031

2016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와 함께하는 '우리술 투게더 위크' 실시

2016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와 함께하는 '우리술 투게더 위크' 실시입력 2016-12-08 11:13:29 | 수정 2016-12-08 11:13:29 돋움 굴림 바탕 한경고딕 나눔고딕 맑은고딕 기사 이미지 보기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12월 17일부터 30일까지 국내 대표 전통주점 ...

  • 누룩
  • 2016-12-08
  • 조회 수 1031

서울경제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전통주와 절기주 김민혁 기자 2017-10-27 13:51:39 술을 밥 먹듯이 마시던 대학 새내기 시절…. 1차가 끝나고 한 잔 더 마시자는 선배를 따라 학교 앞 전통 술집에 들어섰다. 고즈넉한 분위기에 옛 음악...

  • 누룩
  • 2017-10-30
  • 조회 수 1031

[이로운넷] 맛만 보다 취한다...수원 주류박람회

나윤흠 기자 입력 2023.05.09 18:02100여개 업체 참가, 개인 잔 챙겨와야 시음 가능 매일 선착순 입장객 100명 1만원 상당 안주 무료 2023 수원 주류박람회 포스터=글로벌비즈마켓 제공 전시전문기업 글로벌비즈마켓은 5월 12~14일 수...

  • 누룩
  • 2023-05-10
  • 조회 수 1030

소통·나눔 그리고 자연을 맛보다.

본보 후원 ‘슬로푸드’ 잊혀진 맛 재발견 올바른 먹을거리로 소통과 나눔을 체험할 수 있는 따뜻한 밥상 나눔바자 ‘2014 슬로푸드 위크’가 12~14일 사흘간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회장 김종덕)가 주최하고...

  • 누룩
  • 2014-12-15
  • 조회 수 1030

[국제뉴스] '서민갑부 전통주' 구독서비스로 27세에 연매출 4억 file

김영규 기자 입력 2021.07.20 20:10 '서민갑부 전통주' 구독서비스로 27세에 연매출 4억(사진=채널A) '서민갑부 전통주' 갑부가 방송 전부터 화제를 모으고 있다. 20일 방송되는 채널A ‘서민갑부’에서는 전통주에 구독서비스를 접목...

  • 누룩
  • 2021-07-23
  • 조회 수 1029

대구신문 막걸리 만들며 발효과학 체험 ‘호응’

대구과학관 특강 마련, 성인층 참여도 높아 국립대구과학관(관장 김덕규)이 지난 11월부터 진행한 전통주 속 과학체험 교육인 ‘발효, 그리고 막걸리’특강과 ‘전통주 빚기’ 체험활동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체험활동은 전통주가 만들어 지는 과정을 ...

  • 누룩
  • 2017-12-28
  • 조회 수 1029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쉽게 맛볼 수 있다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쉽게 맛볼 수 있다양모듬 기자 입력 : 2015.12.26 03:04 맥주 외 탁주·약주·청주도 소규모 주류 면허 대상 추가 최근에 인기를 끈 '하우스 맥주'에 이어 내년부터는 '하우스 막걸리'를 쉽게 맛볼 수 있다. 또 '하우스 맥주'를 병...

  • 누룩
  • 2015-12-28
  • 조회 수 10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