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술에 신맛이 많이 난다면...</b>

조회 수 5104 추천 수 50 2006.10.23 14:28:02
초파리의 숫자로 신맛을 감지할 수 있을까^^ 우리가 술을 빚을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 ‘강한 산미’입니다. 술이 잘 끓어 오른 것 같은데, 갑자기 신맛이 강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죠.

술에서 신맛이 날 때, 가장 먼저 의심해야 하는 것은 밑술 상태입니다. 신맛이 나는 90%의 이유가 바로 밑술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밑술이 잘 되면 덧술에서 실패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따라서 신맛이 나지 않게 술을 빚기 위해서는 밑술을 잘 만들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밑술의 주 목적은 “효모를 증식시키는 일”입니다. 다량의 효모를 증식시켜 외부의 잡균으로부터 술덧을 보호하고 효모의 알코올 발효로 생긴 알코올에 의해 저항력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 밑술 – 효모증식 – 알코올 생성 – 잡균 침입 막음 – 안정된 발효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효모를 잘 증식시킬 수 있을까를 연구해야 하는 것입니다. 효모를 잘 증식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 누룩의 상태. 둘째, 원료의 처리. 셋째, 온도관리 입니다. 이 세가지가 모두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신맛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온도관리 입니다.

효모가 가장 활동하기 좋은 온도는 25도 정도로 사람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람이 활동하기 가장 좋은 온도에서 술을 빚으면 효모증식이 가장 잘 이루어 집니다.

온도가 낮아 져도 알코올 발효가 진행됩니다. 단지 발효 속도가 늦어질 뿐이지요. 또한, 온도가 낮아 진다고 해서 당화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속도가 늦어질 뿐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낮은 온도에서 술을 발효시키면 알코올 발효는 잘 일어나지만 당 생성이 쉽지 않다고들 합니다. 당 생성은 효소의 작용으로, 효소의 당화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온도가 35도 이상이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갖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나 조금만 돌려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입니다. 온도가 낮은 곳에서 알코올 발효가 잘 진행된다는 것은 바로 당이 많이 생성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당이 생성되지 않는다면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지 않겠죠. 온도가 낮아 질수록 당화와 알코올 발효 속도가 늦어질 뿐 당과 알코올 생성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미생물도 활동을 멈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낮은 온도에서는 술독을 이불이나 옷 등으로 감싸 술독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밑술을 관리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온도의 상승입니다. 앞에 설명하였듯 낮은 온도에서는 ‘속도’에 영향을 주지만 높은 온도에서는 미생물의 ‘노화’와 ‘사멸’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술독 내부의 온도가 30도 이상이 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합니다.

요약> 밑술의 품온이 30도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미생물의 ‘노화’, ‘사멸’이 이루어 지면, 덧술에서 들어오는 곡물을 충분히 발효 시킬 수 없을 것이며 소량의 알코올이 생성하여 초산 발효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나며 달다가 하루 아침에 신맛이 강해지는 것입니다.

요약> 효모의 노화와 사멸 – 알코올 생성 저하 – 잡균의 침입 – 술의 오염과 초산발효

결국, 이렇게 해서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생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는 위에 설명 하였듯이 25도 이하, 15도 이상에서 발효를 진행해야 합니다.


www.suldoc.com

박순희

2006.11.18 00:08:47
*.102.23.174

집의온도가22도엿거든요 거기다가술항아리를담요로덮어놓아서 술독안의 온도가 올라간거같군요 잘알겟읍니다 감사합니다 다시도전해 볼람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에는 매화나 진달래, 아카시아 꽃 등 향기가 좋은 꽃들이 많고요. 쑥이나 봄에 나는 나물을 이용해서 약술을 빚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꽃 술과 봄에 나는 약술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술을 빚고, 어떻게 온도...

  • 酒人
  • 2008-03-05
  • 조회 수 2718

누룩 이야기 3

3. 조선시대 전기의 누룩 조선 성종때「사시찬요초」에 의하면 3복중에 누룩을 만들며 보리10되 밀가루2되로 누룩을 만든다. 녹두즙에 여뀌와 더불어 반죽하여 밟아서 떡처럼 만들어 연잎, 도꼬마리잎으로 싸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걸어서 말린다. 누룩은 ...

<b>이기려면, 기다려라..</b> [2]

이기려면, 기다려라.. 2002년 월드컵 4강의 주인공 골키퍼 이운재 선수의 자서전 제목입니다.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빚고 나서 안절부절 합니다. 술독의 술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2678

현재 누룩의 상태를 알려주세요 [6]

누룩 교실에서 만들었던 누룩을 지금 숙성시키고 있는데 오늘이 나흘째 되는 날이 건만 누룩이 따뜻해 지지 않는 것 같은데.. 집안 온도는 20도 근방이고 겨울 옷(오리털 점퍼)으로 잘 덮어 두었는데.. 다른 분들은 누룩이 잘 익어(?) 가는지 궁금합니다. 약간...

<b>1450년대 <산가요록> 양국법<良麴法></b>

1450년대 1. 양국법 : 좋은 누룩 만드는 법 만드는 시기 : 삼복(三伏) 초복 : 기울 1말, 녹두 1되 중복 : 기울 1말, 녹두 2되 말복 : 기울 1말, 녹두 3되 녹두 처리법 1. 1. 녹두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 불린다. 2. 찜기를 이용해 녹두를 찐다. 녹두 처리법 ...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660

누룩 이야기 2

2. 삼국시대 및 신라시대의 누룩 중국문헌「유양잡조」의 주식편에 낙랑주법이란 말이 나오는 것을 봐서는 낙랑시대엔 술빚기의 체계가 이미 서 있었던 것 같다.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 의하면 수수보리에 의해 백제의 누룩과 술을 빚는 법이 일본에 전해졌...

언제 덧술 하는가에 대한 요약정리된것도 부탁합니다 [1]

밑술 담근후 밑술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기 힘들었습니다 또 기왕이면 산막효모 흰곰팡이 흰거품등 이상징후에 대한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했습니다.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2 file [2]

12월 1일 밤 12시 30분쯤 술덧을 만든지 거의 48시간이 다 되어 갑니다. 항아리 뚜겅을 열어서 술 상태를 확인했는데 술이 부글부글 끊고 있네요. 사진은 술덧을 처음 만들었을 때와 48시간 정도 되어서 끊고 있을 때 사진입니다. 덧술을 해야 할지 고민입니...

여러 누룩을 이용한 술 [4]

위쪽 사진은 각기 다른 누룩을 이용한 술들입니다. 왼쪽 위부터->만전향주, 신국주, 여국주 아래 왼쪽부터->흑미주, 춘란꽃술, 연엽주 위 세개는 직접 만든 누룩을 이용한 술이고 아래는 공장용 곡자로 만든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술이 맑지 않은 것도 ...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566

누룩

역시 위 사진은 둥글게 성형된 누룩을 솔잎에 감싸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제비쑥으로 감싸서 띄우고 있습니다.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537

누룩 이야기 6

6. 현재의 발효제 현재는 종전의 곡자와 일본식 입국(粒麴)과 1960년대 이후 사용되고 있는 분곡류가 있으며, 1970년대 이후에는 조정제된 정제효소 또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의 다양하고 우수했던 곡자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시중에는 아...

누룩 이야기 5 [2]

5. 일제하의 곡자 소수의 전업자를 제외하고 곡자의 제조는 대부분 농가의 부업이었으나 일제하의 주세법에서는 곡자의 제조도 면허제도로 되어 1927년에 김천개량곡자 조합이 생기게 되었다. 1930년 일본인이 쓴 종합농산 제조학 중 조선주에 나타나는 누룩에...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현재 상태 [1]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상태입니다. 오늘이 19일이니 벌써 8일이나 지났네요 덧술은 안했습니다. 매일 매일 사진을 찍어놓았어야 하는데 지난주 좀 정신없이 지나가서 이제 겨우 사진 한 장 올립니다. 실내온도 20~22도 사이에 두었는데 그렇게 큰 오염은 없...

초일주에 대한 궁금증^^ [2]

초보라 이것저것 생소한 것이 많은데요~ 아직 한번도 술을 담아보지 못했는데 시작 하려니 겁이 나는군요^^ 초일주에 대한 공지 글을 읽었는데요 덧술을 할때는 물을 더 붓지 않아도 되나요? 물을 더 부으라는 내용은 없어서요^^

누룩

위 사진은 종이봉지에 넣어 매달아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둥근 누룩을 짚을 갈고 띄우는 중이고요. 그런데 여러분들은 종이로 포장해 띄우는 것에 대해 궁금하실 것입니다. 위 솔잎이나, 마른 짚을 깔고 박스에 넣어서 띄우는 것과 종이에 담아 띄우는 방...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521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단체 사진입니다.^^ [6]

언제 이렇게 친해지셨는지,,,^^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공간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이니까요. 교육 중에 궁금했던 것을 질문해 주시면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간이 썰렁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519

공개강좌 단체 사진입니다.^^

참석해 주신 모든 회원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요. 여기서 멈추지 마시고 시간이 나시는데로 꼭 한 번씩 술을 빚어 보세요. ~^^

  • 酒人
  • 2007-11-26
  • 조회 수 2516

매달아 띠우는 누룩 [2]

문헌에 있는대로 고증한 경우 입니다. 제비쑥과 짚, 또는 종이나 닥나무 잎 도꼬마리 잎으로 감싸 매달아 띠우는 모습입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514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만전향주 [2]

위는 만전향주 덧술을 마친 상태입니다. 역시 색이 노랗습니다. 술이 익는기간동안 향 또한 기존의 누룩으로 익는 술보다 좋습니다. 아래는 완성된 만전향주입니다. 급한 마음에 미리 용수를 박는 바람에 용수가 떠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무로 막아 놨고요.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5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