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기사에서........

조회 수 2458 추천 수 48 2006.02.16 14:49:21

사랑방 아랫목에 담요로 둘둘 말아 놓은 술독. 거품이 뽀글뽀글 커지면,하늘의 달도 차올랐다. 술독 위에 뜨는 맑은 술을 걷어내 대병 한 병 가득 채울 무렵,대보름이 되었다. 어른 아이 없이 겨울 냉기로 쟁인 차가운 술에 귀밑이 벌개졌다.
귀병을 낫게 하고 액을 막는 귀밝이술로 옛날에는 민가에서 담근 전통 가양주를 썼다. 약술 또는 약주(藥酒)는 귀밝이술로 으뜸이었다. 전통 가양주를 빼고 귀밝이술을 논할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사실. 그래서 부산에 남아 있는 가양주(家釀酒) 기능인들을 수소문 해보았다.

부산시는 '관련 자료가 없다'고 하고,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문장원 이사장은 '술 분야는 맥이 끊긴 지 오래'라는 답변을 보내왔다. 가까운 경남이나 경주 전라도 지방엔 기능인들이 즐비한데 부산은 아쉽게도 전통주에 관한한 족보가 없었다.

공식적인 명장 칭호는 없지만 술 잘 담근다는 입소문이 난 집을 찾아갔다. 찾아간 집은 부산 동래의 한정식집 '정림'. 주인 정영숙(51)씨가 맞이했다. 향토사학자 솔뫼 최해군(81) 선생도 함께 모셨다. 살아있는 족보책이라 할 수 있는 솔뫼 선생이기에.

"이곳 동래는 옛날 부산에서 내로라하는 술도가들이 즐비한 곳이었지. 부산 중구 대청동의 지명은 일본 사신들을 맞이하던 연향대청에서 유래했는데 연회에 쓰인 술은 30리 떨어진 동래지역 술도가에서 구해갈 정도로 가양주가 넘쳐나던 곳이었지. 그 술을 복원한 기능인 한 명 정도는 있어야 손님맞이하기에 덜 부끄러울텐데 말이야."

주인 정영숙씨가 술에 들어가는 재료들을 한 상 차렸다. 솔뫼 선생의 탄식을 듣자니 어깨가 더 무거워진다는 그는 익숙한 솜씨로 누룩을 주무르기 시작했다. 전통주 담그기는 의외로 간단했다.

먼저 누룩(250g)을 조청과 버무린다. 조청은 누룩이 꼬실꼬실해질 정도의 양이면 족하다. 잘 버무려진 누룩은 한지로 덮은 항아리에 담아 실온에서 6일 정도 두면 누룩띄우기가 완성된다. 다음은 식혜만들기. 옥수수 현미 수수를 8대3대2의 비율로 섞어 고두밥을 찐다. 고두밥과 엿기름(질금),물을 넣고 보온밥통에 넣어 4시간 가량 발효시킨다. 마지막으로 띄운 누룩과 식혜,솔잎을 독에 넣고 10일 가량 25도 정도에서 발효시키면 술이 완성된다. 걸러낸 술은 찬 온도에 열흘 가량 두면 맛이 한결 좋은 약주가 된다. 술의 도수는 11도 안팎.

정영숙씨는 식혜를 만들 때 자신만의 독특한 비법을 소개했다. 감초 계피 오가피 생강 칡 다섯 가지의 약초를 넣어 식혜를 우려낸다. 감초는 신맛을 부드럽게,칡은 위장을 다스리게,계피 생강 솔잎은 기를 소통시키게 만든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다음은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손맛입니다. 가령 술단지의 온도,질금의 양,언제 걷어내는가 등에 따라 술맛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나 자신도 어떤 술맛이 우러나올지 알 수 없어요. 그렇게 경험이 쌓이고 쌓여 자신도 모르게 독특한 맛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지요."

솔뫼 선생이 먼저 한 모금 맛보았다.

"크으,맛 좋다."

그리고 한참 뜸을 들이고 나서는,

"전통주는 말이야,맛 좋다고 하거든. 소주나 맥주 양주 마시고 맛 좋다고 하면 웃음거리 되지. 그런데 전통주는 몸에 좋은 음식으로 취급됐지. 그래서 맛 좋다는 말이 절로 나오게 되어 있어."

두어 잔을 들이켠 솔뫼선생의 얼굴이 술 색깔처럼 붉어졌다. 동래의 옛술이 복원돼야 하는 이유를 솔뫼 선생의 얼굴에서 읽을 수 있었다.

글=이상민기자 yeyun@busanilbo.com

사진=정대현기자 jhyun@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sort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59 2018-12-17

“서유구, 개인의 삶 질적향상 추구”

[경향신문] 지금까지 농학자 정도로 알려진 풍석 서유구(1764~1845)를 다산 정약용과 함께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정약용이 경학 연구 등을 통해 경세치용의 실학을 집대성했다면 서유구는 박지원·박제가 등의 북학...

  • 조회 수 2206
  • 2006-03-19

청명과 한식

청명과 한식 [대전일보 2006-04-05 23:33] 청명(淸明)은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4월 5-6 일쯤 온다. 따라서 식목일이나 한식(寒食)과 겹치곤 한다. ‘깨끗하고 맑다’는 청명은 이 무렵부터 날이 풀리고 화창해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 조회 수 2302
  • 2006-04-05

“농업도시 괴산”

“농업도시 괴산” [대전일보 2006-04-09 23:33] [塊山]괴산군이 농업관련 특허를 잇따라 등록하고 있다. 괴산군은 지난달 고추를 발효시킨 ‘고추식초 제조법’이 특허를 받은데 이어 지난해 6월 출원한 ‘고추술 제조법’도 9개월여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최근 특...

  • 조회 수 1943
  • 2006-04-10

“남는 쌀 안동소주로”

[한겨레] “남아도는 쌀, 전통소주 한잔으로?” 수입개방과 쌀 소비 감소 등으로 농가의 어려움이 커지는 가운데 우리쌀로 만든 전통소주가 쌀 소비를 촉진하는 효자노릇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안동시는 80kg 쌀 한 가마니로 제조할 수 있는 주류별 생...

  • 조회 수 2667
  • 2006-04-19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매일경제 2006-05-01 14:56] 올 문화계 최고 히트상품은 영화 '왕의 남자'였다. '왕의 남자'는 사극 열풍을 불러일으키면서 광대놀이 등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창업시장에도 최근 전통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아...

  • 조회 수 2028
  • 2006-05-02

쑥고개엔 쑥이 없다

[심상덕의 서울야화 (3)] 쑥고개엔 쑥이 없다 [서울신문 2006-04-21 09:00] [서울신문]절기의 변화는 막을 수가 없습니다. 길을 지나다가 잘 한번 보세요, 양지바른 쪽으로는 벌써 풀잎들이 파릇파릇 돋아나 있고, 또 들판에 나가 보면 그 왜 쑥 있잖아요, 이...

  • 조회 수 3219
  • 2006-05-02

제4회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이번주 토.일요일 일산 호수공원앞에서 막걸리 축제가 있습니다. 시간 되시는 분들은 오셔서 다양한 종류의 막걸리를 드셔보세요. 일시 : 2006년 5월 13일(토) - 14일(일) 장소 : 고양시 호수공원앞 미관광장 ( 3호선 정발산역) 주최 : 대한민국막걸리 축제 위...

  • 조회 수 2031
  • 2006-05-04

내달 15일 대규모 주류박람회 열려

우리나라 술 다모인다…주류協 내달 주류 페스티벌 [조세일보 2006-05-10 10:00] 삼성동 코엑스서 6월15일∼17일까지 3일간 개최 대한주류공업협회 주최, 100여개 국내주류 제조사 참가 오비맥주, 두산 등을 비롯해 민속주 제조업체 등 100여개가 넘는 국내주류...

  • 조회 수 1852
  • 2006-05-11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연합뉴스 보도자료 2006-05-18 15:30] [전라남도청] 전남도, 농산물 유통·가공업체 적극 육성 -소비촉진·가격안정 위해 경영컨설팅비 및 가공원료 수매자금 지원- 전남도는 도내 농산물의 소비촉진과 가격안정을 위해 농산물유통, 가공업체를 적극 지원·육성...

  • 조회 수 4891
  • 2006-05-18

강릉단오제 개막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 강릉단오제 개막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이며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에 선정된 강릉단오제가 29일부터 6월 2일까지 강릉시 남대천 단오장 일대에서 열린다. 29일 오후 제관과 무녀들이 시내...

  • 조회 수 2157
  • 2006-05-31

빼앗긴 술 [1]

[한겨레] ▣ 김학민 <맛에 끌리고 사람에 취하다> 지은이 hakmin8@hanmail.net 술은 인류가 만들어낸 기호품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겨온 품목이다. 그리하여 각 민족 각 나라마다 술은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고, 우리나라...

  • 조회 수 1988
  • 2006-06-02

전통香가득 담아 세계속 名酒꿈꾼다

‘앉은뱅이 술’로 불리는 명주(名酒)가 있다. 감미로움이 빼어나 한번 맛을 보면 자리에서 일어설 줄 모른다는 데서 유래했다. 취기를 느끼게 하지 않을 정도로 맛이 부드러워 그런 이름이 붙혀졌다는 설도 있다. 바로 한산소곡주다. 그 독특한 감칠 맛으로 유...

  • 조회 수 1504
  • 2006-07-28

집에서 담근 술 ‘가양주’빚는 사람들

최근 들어 ‘별’ ‘아침이슬’ 등 소주의 이름이 다양해지고 있다. 오십세주, 레몬주, 오이주를 즐기던 젊은이들이 자신의 개성을 술에서도 찾기 시작했다. 우리술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술 만들기 강좌의 증가, 술 동호회의 활성화 등과 맞물려 가양...

  • 조회 수 3176
  • 2006-07-28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헤럴드 생생뉴스 2006-10-13 09:41] 가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지역 축제의 열기가 뜨겁다. 각 지자체는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축제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독서의 계절’을 맞아 출판...

  • 조회 수 1663
  • 2006-10-14

전주발효식품엑스포 체험행사 '풍성'

[연합뉴스 2006-10-12 06:39]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가 세계 각국의 발효식품을 직접 만들며 느껴보는 다양한 체험의 장을 마련한다. 12일 발효식품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9일 막을 올리는 엑스포에서 10여개의 체...

  • 조회 수 1544
  • 2006-10-14

쌀 소비 촉진 대책으로 전통주 활성화 설득력

쌀 소비 촉진 대책으로 전통주 활성화 설득력 안전한우리식품 우리 쌀의 소비 감소는 쌀값 하락으로 이어져 도농 소득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그래서 쌀 소비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방안 으로 우리 전통주를 살리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우리나라...

  • 조회 수 2560
  • 2006-10-24

2006 삼각산 팔도 가양주 축제 개요

[강북구청] 삼각산 자락에서 가양주의 맛과 향에 취해보세요 [연합뉴스 보도자료 2006-10-31 16:10] - 11. 4(토) 오전 10시∼오후 5시, 우이동 솔밭공원서 삼각산 팔도 가양주 축제 - 향음주례, 가양주 시음회 및 팔도 술·안주 전시회, 술빚기 체험 등 다채로운...

  • 조회 수 1790
  • 2006-11-01

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

  • 조회 수 1566
  • 2006-11-01

술방사람들이 나누는 전통술향기

2006년 11월 18-19일 토,일요일에 "술방사람들이 나누는 전통술향기" 그 네번째 행사를 인사동에서 진행합니다. 진정한 전통주의 맛과 향을 느끼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꼭 참가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행사장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초대권"이 있어야 하니, ...

  • 조회 수 1911
  • 2006-11-11

인사동서 전통酒 축제 열려 [2]

인사동서 전통酒 축제 열려 [연합뉴스 2006-11-14 07:19]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가을을 맞아 서울 인사동에서 이색 전통주(酒) 축제가 마련된다. 한국전통주연구소의 전통주 양조 모임인 `술방사람들(회장 박정철)'은 18∼19일 인사동 주미술관에서 전...

  • 조회 수 1739
  • 2006-11-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