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술에 신맛이 많이 난다면...</b>

조회 수 5096 추천 수 50 2006.10.23 14:28:02
초파리의 숫자로 신맛을 감지할 수 있을까^^ 우리가 술을 빚을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 ‘강한 산미’입니다. 술이 잘 끓어 오른 것 같은데, 갑자기 신맛이 강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죠.

술에서 신맛이 날 때, 가장 먼저 의심해야 하는 것은 밑술 상태입니다. 신맛이 나는 90%의 이유가 바로 밑술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밑술이 잘 되면 덧술에서 실패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따라서 신맛이 나지 않게 술을 빚기 위해서는 밑술을 잘 만들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밑술의 주 목적은 “효모를 증식시키는 일”입니다. 다량의 효모를 증식시켜 외부의 잡균으로부터 술덧을 보호하고 효모의 알코올 발효로 생긴 알코올에 의해 저항력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 밑술 – 효모증식 – 알코올 생성 – 잡균 침입 막음 – 안정된 발효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효모를 잘 증식시킬 수 있을까를 연구해야 하는 것입니다. 효모를 잘 증식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 누룩의 상태. 둘째, 원료의 처리. 셋째, 온도관리 입니다. 이 세가지가 모두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신맛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온도관리 입니다.

효모가 가장 활동하기 좋은 온도는 25도 정도로 사람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람이 활동하기 가장 좋은 온도에서 술을 빚으면 효모증식이 가장 잘 이루어 집니다.

온도가 낮아 져도 알코올 발효가 진행됩니다. 단지 발효 속도가 늦어질 뿐이지요. 또한, 온도가 낮아 진다고 해서 당화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속도가 늦어질 뿐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낮은 온도에서 술을 발효시키면 알코올 발효는 잘 일어나지만 당 생성이 쉽지 않다고들 합니다. 당 생성은 효소의 작용으로, 효소의 당화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온도가 35도 이상이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갖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나 조금만 돌려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입니다. 온도가 낮은 곳에서 알코올 발효가 잘 진행된다는 것은 바로 당이 많이 생성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당이 생성되지 않는다면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지 않겠죠. 온도가 낮아 질수록 당화와 알코올 발효 속도가 늦어질 뿐 당과 알코올 생성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미생물도 활동을 멈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낮은 온도에서는 술독을 이불이나 옷 등으로 감싸 술독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밑술을 관리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온도의 상승입니다. 앞에 설명하였듯 낮은 온도에서는 ‘속도’에 영향을 주지만 높은 온도에서는 미생물의 ‘노화’와 ‘사멸’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술독 내부의 온도가 30도 이상이 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합니다.

요약> 밑술의 품온이 30도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미생물의 ‘노화’, ‘사멸’이 이루어 지면, 덧술에서 들어오는 곡물을 충분히 발효 시킬 수 없을 것이며 소량의 알코올이 생성하여 초산 발효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나며 달다가 하루 아침에 신맛이 강해지는 것입니다.

요약> 효모의 노화와 사멸 – 알코올 생성 저하 – 잡균의 침입 – 술의 오염과 초산발효

결국, 이렇게 해서 술에서 신맛이 강하게 생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는 위에 설명 하였듯이 25도 이하, 15도 이상에서 발효를 진행해야 합니다.


www.suldoc.com

박순희

2006.11.18 00:08:47
*.102.23.174

집의온도가22도엿거든요 거기다가술항아리를담요로덮어놓아서 술독안의 온도가 올라간거같군요 잘알겟읍니다 감사합니다 다시도전해 볼람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이번엔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술을 빚어 보았습니다. 때깔이 이쁜 것이 향도 좋은 것이 괜찮아 보이더군요. 맛을 보았죠. 아주 큰 기대를 하고서... 헌데 맛이 좀 이상합니다. 무어라 형용할 수가 없는 맛입니다. 미끈한 맛도 나는 것 같기도 하고 여하튼 특이...

여름 술빚기의 성공 조건

술 빚는 사람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 중 하나가 여름에 술 빚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술을 빚지 않는 분도 있는데요. 사실, 여름에 술 빚기가 더 쉽습니다. 다음 몇 가지 사항만 지켜준다면요. 1. 단양주보다는 이양주로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 酒人
  • 2011-07-10
  • 조회 수 7502

실패한 술 사진 1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mouldy alcohol 2.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왜 제목에는 한글이 안되죠?

이건 뭘까요? file

1년 반된 술독이 있습니다. 맛이 아주 기가 막혔어요. 그냥 방바닥에 술독이 닿는것이 온도변화가 많을 것 같아서 누룩틀을 밑에 받쳐두었습니다. 그랬더니 누룩틀에 검정액체가 묻어날 정도로 새어나오네요. 아직 술은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술...

생의 첫 동동주가~~~ file [2]

안녕하세요^^ 매일 조금씩 지식을 얻어가는 박현술입니다. 초보자 교실에서 큰 용기를 얻어 동동주,초일주에 도전했습니다. 독,물,장비을 소독하고, 10월8일 20시20분 에 완성했습니다. 나름 지하실이 온도도 일정하여 술맛에 도움이될것이라 생각했...

효모 사진 400배, 1000배 file

  • 酒人
  • 2012-01-13
  • 조회 수 15321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집에서 누룽지와 아카시아꽃을 재료로 단양주를 담아봤습니다. 3일 정도 지났는데 술익는 냄새도 별로없고 소리도 조용합니다. 술독을 열어보니 위에 뜬부분에 흰색 곰팡이가 조금보입니다. 어찌해야 될까요??? 재료:누룽지 1.4kg 누룩(산성누룩)800g...

  • 空有
  • 2012-05-16
  • 조회 수 5317

주인님이 댓글 달아 주셔요^^ [1]

성공&실패 158번 "햅쌀술을 빚어 보자."에서 맑은 술을 만들기 위해서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꼭,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해야 물처럼 아주 맑은 술이 나오는 건가요? 밑술에 떡을 이용하는 이유는 단맛이 강한 술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을...

술에서 포도 냄새가 나면

잘 끓는것 같더니 며칠 후 신 맛이 나더라구요. 다음 날이 지방 내려가는 날이라서 일주일 여 손을 못쓰고 서울에 돌아왔더니 표면은 윤기없이 푸석해보이지만 별다른 특징은 없었고 포도냄새가 나네요. 식초 된 건가요? 너무 시어버리면 소주로 증류도 못하는...

두꺼운 산막효모 생긴 밑술도 서김으로 한방에 보내고.. file [1]

오랫만에 술을 담그다보니 문제가 많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적어봅니다. 1. 밑술 (48시간 후 열어보니) 제조: 죽 ( 멥쌀가루 1Kg, 누룩 400g, 물 4리터), 이 누룩은 재래시장에서 산 누룩입니다. 냄새: 덜 발효된듯 하면서도 냄새가 좀 달콤하지도 않...

진달래주를 담그려고 하는데요. file [1]

진달래주를 담을 계획중입니다. 자료에 재료가 밑술: 멥쌀가루 2말(약 36L), 물 1말(약 18L), 누룩 1되 3홉(약 2.3L), 밀가루 3홉(약 0.5L), 덧술: 멥쌀 3말(약 54L), 찹쌀 3말(약 54L), 끓여 식힌 물 6말(약 108L) 이렇게 나와있는데 양이 너무 방대하네요 ...

막걸리를 깔끔하게 걸러내는 방법 [1]

안녕하세요~ 요즘들어 집에서 막걸리를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오늘째로 3번을 만들어봤는데요 맛은 갈수록 좋아지는데 일이 점점 많아지네요. 이번엔 작은 항아리에 7리터정도를 담았는데.. 걸러내는데 1시간 걸렸습니다. 현재 뜰채를 사용해서 뜰채에 붓고 ...

첫 막걸리 빚기. 실패인지 성공인지..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려요. [1]

처음으로 아내와 저 둘이서만 막걸리를 만들어 봤습니다. 초짜가 이곳 '술독'을 알기 며칠 전, 박록담님의 '다시쓰는 주방문'을 보면서 전전긍긍하면서 만들었습니다. 발효 7일째 생각보다 맛있어서 환호하다가 술 거른 8일째 날, 실망으로 바뀐 기록입니다...

  • anakii
  • 2013-10-17
  • 조회 수 19830

초보의 두번째 단양주 빚기. 이번엔 성공인 듯 합니다.

아래 글쓴 것처럼 첫 막걸리가 시어졌지만, 거른 동동주는 병입해서 김치 냉장고에 넣어 두고 물 타 막거른 막걸리는 김치통에 넣어서 3일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십니다. 어제 비정제 유기농 설탕(마스코바도)을 700ml당 두숟갈씩 넣었습니다. 하루 반...

  • anakii
  • 2013-10-21
  • 조회 수 9973

무늬만 석탄주?? file

레시피는 석탄주를 따라 했습니다. 누룩은 앉은뱅이밀 누룩을 사용하고, 덧술할때 찹쌀과 맵쌀이 1:1로 섞인것을 사용했습니다. (쌀이 이것뿐이라서...^^) 용수 박을력고 술덧을 젖히니 맑은술이 올라오네요. 석탄주가 향이 좋고, 맛이 달다고 하는데 제가...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안녕하세요. 아프리카 대륙에서 봉사활동중인 학생입니다ㅎ 꽤 장기간 거주할 계획이라 전통주를 만들어 볼까 생각중인데 아프리카이다 보니 한국과 같은 여건에서 담그는 건 무리겠더라구요. 우선 면보와 찜통이 없어 고두밥을 지을 수 없구요. 고도가 높아서...

처음 시도한 동동주인데요...ㅠㅠ file

처음으로 동동주에 도전해봤는데 누룩은곱게 갈아서 물에 하루 담궜다가 꼭짜서 썼습니다. 양은 찹쌀 1kg 에 누룩 200g 물 1.5 리터로 했습니다. 하루가 지나니 물기는 없어지고 찹쌀만 불어있더라구요. 3-4일이 지나도 물기는 별로 없고 5일쯤 되니까 위에 곰...

  • aladinn
  • 2015-02-24
  • 조회 수 6566

애주(艾酒) 빚기 file

삼양주로 애주를 빚었습니다. 마지막 덧술했던 과정만 사진으로 올립니다^^ 그러고보니, 술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는 확인해야지요. ​ 덧술한지 이틀 후의 모습입니다. 고두밥이 꽤 많이 들어갔는데요, 덧술한지 하루 후에는 호화가 될런지 걱정될...

  • 줄리
  • 2016-05-16
  • 조회 수 4075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 "종초투입 시점"에 대한 문의

식초학교 제 4강 ,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를 모두 2배의 양으로 레시피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1주일 지난 상태로 레시피에 따라 "덧술후 1주일 지나면 종초 200ml를 붓고 초산발효 시킨다"를 실행 하려는데 현재의 술 상태는 발효중으로 아직도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