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과 당화

조회 수 112921 추천 수 0 2007.04.02 20:03:29




1. 탄수화물

탄소(C), 수소(S), 산소(O)의 세 가지 원소로 구성되어있는 유기화합물 (지방,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


<탄수화물의 종류>

1) 단당류  

포도당(glucose - C6H12O6) : 다당류의 기본적인 구성분자, 전분의 가수분해로 얻음

갈락토오스(galactose - C6H12O6) : 유당을 분해하여 얻음, 포유동물의 젖에만 존재

과당(fructose - C6H12O6) : 이눌린의 가수분해, 설탕의 가수분해로 얻음


2) 2당류

자당(설탕 - sucrose -  C12H22O11) : 사탕수수, 사탕무로부터 얻는 가장 중요한 자원

인버타제 효소에 의해 포도당 + 과당으로 분해(인버타제 : 이스트, 췌액, 장액에 존재)

맥아당(maltose -  C12H22O11) : 전분이 분해되어 생산 α-아밀라제, β-아밀라제의 작용

말타제 효소에 의해 포도당 + 포도당으로 분해(말타제 : 이스트, 췌액, 장액에 존재)

유당(lactose -  C12H22O11 ) : 포유동물의 젖 중에 자연 상태로 존재

락타제 효소에 의해 포도당 + 갈락토오스로 분해(락타제 : 췌액과 장액에 존재)

(ex)유산균에 의한 유산
                              
★ 감미도 : 과당 >전화당 >설탕 >포도당 >맥아당


<다당류 - 전분, 셀룰로오스, 이눌린>

1) 전분(starches)

      식물계의 중요한 저장 탄수화물, 분자구조 - 아밀로오스 + 아밀로펙틴

      곡물전분 : 옥수수, 밀, 쌀

      구경전분 : 타피오카, 감자, 칡

  (1)아밀로오스(amylose)

       ① 포도당 단위가 직쇄로 연결(분자량 : 8만~32만)

       ② 알파 -1.4 결합으로 연결

       ③ β-아밀라제에 의해 맥아당으로 완전 분해

       ④ 쉽게 퇴화하고 침전하는 경향이 있음

 
  (2)아밀로펙틴(amylopectin)

       ① 포도당 단위가 직쇄로 연결(분자량 : 100만이상)

       ② 알파 -1.6 결합으로 연결

       ③ β-아밀라제에 의해 약 52%까지 분해

       ④ 퇴화하는 경향이 적음
  

  보통곡물 : 아밀로오스 17~28% + 아밀로펙틴 83~72%

  찹쌀, 찰옥수수 : 100% 아밀로펙틴


순수한 우리말로 녹말이라고도 하는 전분은 식물의 종자나 과실뿌리, 줄기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전분분자는 포도당분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작은 분자들이 화학적으로 이루어진 분자들의 고중합체이다. 전분입자의 크기는 대단히 작으며 2μ에서 150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전분의 종류로는 옥수수전분, 밀 전분, 보리전분, 쌀 전분 등의 곡물전부노가 고구마, 감자, 타피오카 등의 구경전분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식품산업에서부터 일반 공업용으로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전분은 찬물에는 변화가 없으나 끓는 물에 의해서는 유백색의 점성을 가진 전분풀로 변화되는데 이 변화를 호화라고 한다.


전분의 분자구조

식물체내의 전분분자는 2개의 기본 형태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것들은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그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 현저히 다르다.


1) 아밀로오스(Amylose)
① 요오드 용액에서 청색반응을 한다.
② 포도당분자 500~2,000개 등이 긴 사슬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직선형(Linear)이다.
③ 효소인 베타(β)아밀라아제에 의해 맥아당으로 100%까지 변화된다.
④ 알파(α)1.4결합이다.
⑤ 용액을 냉각시키면 쉽게 퇴화하고 침전하는 경향이 있다.
⑥ 부수적 특성으로 셀룰로오스에 흡착성이 크다.


2) 아밀로펙틴(Amylopectin)
① 요오드 용액에서 적자색 반응을 한다.
② 포도당분자(약 80,000~320,000)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긴 가지형으로 이루어진 가지형 전분이다.
③ 베타(β)아밀라아제에 의해 분자의 50~60%까지만 맥아당으로 바뀐다.
④ 1.6알파(α)결합이다.
⑤ 퇴화의 경향이 적다.


생전분과 익힌 전분(호화전분)

생전분은 냉수에 풀어두면 바로 침전된다. 이것을 다시 건조시키면 전과 같이 되며, 전분을 물에 풀어 63~71℃정도로 가열하면 입자는 갑자기 물을 흡수하여 팽윤이 시작되어 풀이된다. 이것을 호화라 하며 전분입자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최고 온도인 88℃에 도달될 때까지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전분의 입자들은 부드럽고 탄력을 가지며 점성과 유동성을 갖는다. 익힌 전분이 냉각되었을 때 페이스트는 된 상태가 되며 굳은 젤리 상태로 응고된다.

익힌 전분 상태는 전분분자 내에 물의 분자가 들어가서 팽창이 되며 분자내의 배열상태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알파(α)전분이라 하며 이와 반대로 생전분은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런 상태를 베타(β)전분이라고 부른다.

알파전분은 소화되기가 쉬우나 베타전분은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맛도 다소 떨어진다. 전분이 알파전분으로 되려면 수분이 약 30%이상 있어야 하며 쌀로 밥을 지을 때 100℃에서 약 20분가열하면 쌀의 전분이 알파화되어 맛있는 밥이 되며 이것을 그대로 방치하면 서서히 맛없는 밥 즉 베타 전분으로 변한다.

일반적으로 알파전분이 된 것을 80℃이상에서 수분을 없애거나 또는 0℃이하로 식혀서 갑자기 수분을 15%이하로 감소시키면 베타전분으로 되지 않고 알파전분 그대로 보전할 수 있다.


전분의 화학적 성질

전분은 산 또는 효소 등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가 된다. 전분을 가수분해하면 그 분해정도에 따라 일부 고분자 가수분해물질과 가수분해 최종생성물인 포도당과 맥아당 등이 되며 이것을 제외한 모든 가수분해 생성물들을 총칭하여 덱스트린(Dextrin)이라고 한다.

① 산은 전분분자를 작은 분자로 분해시켜서 덱스트린을 만들며 마지막으로 전분분자들은 당류로 변화한다. 이것이 바로 맥아당을 거쳐 포도당이 된다.
이 변화를 정리하여보면
전분+산→작은 분자들→덱스트린→맥아당→포도당
포도당과 보통 전화물엿이라고 하는 것은 전분에 산을 작용시켜서 당류를 생성한다.

② 효소도 전분분자를 작은 분자로 분해시켜서 당류를 생성한다. 맥아, 밀가루, 효모, 박테리아에는 효소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분을 가수분해시켜서 당을 생성한다. 보통 전분을 최초로 분해시키는 효소는 디아스타제로서 전분을 덱스트린과 맥아당으로 만든다.
디아스타제는 맥아, 밀가루 등에 존재하며 디아스타제는 α-아밀라제와 β-아밀라제의 2개의 효소로 되어있다. 또한 맥아당은 효모에 존재하는 말타제란 효소에 의해 포도당을 생성한다. 이것을 정리하여보면
전분 + α-아밀라제→덱스트린+β-아밀라제→맥아당+말타제→2개의 포도당
즉, α-아밀라제는 전분을 분해하여 덱스트린을 생성하고 β-아밀라제는 덱스트린을 맥아당으로 생성하며 말타제는 맥아당을 2개의 포도당으로 분해한다. 고전화 물엿은 전분 또는 전화물엿에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진다. 참고로 밀가루에는 표백제로 염소가스를 사용하는데 염소가스의 효과는 전분의 호화온도를 낮추어 주게 된다.


모든 밀가루에는 많은 β-아밀라제를 함유하고 있으나 α-아밀라제는 경우에 따라 불충분하여 인위적으로 첨가하는데 보통 맥아(Malt)를 첨가한다. 맥아는 밀이나 보리는 수분이 충분한 따뜻한 곳에서 싹을 트게 하여 얻는다. 이것은 분말로 하든가 시럽상태의 것으로 하여 사용한다

동의보감

2007.04.02 20:32:32
*.176.109.13

사진 붙이는 기능이 없어서...걍 첨부를 했습니다....^^

조영진(부엉이와인댁)

2007.04.13 14:08:16
*.11.83.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사진과 설명과 기본적인 내용..어렵지만..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막걸리 발효중 이물질이 떠요 file

막걸리 20도 발효 8일찬데 이물질이 떠요 실패일까요,..?

십양주 [1]

3월에 시작하여 1차 밑술 맵쌀죽1kg + 물 3L 2차 덧술 맵쌀죽1kg + 물 3L 3차 찹쌀 고두밥1kg 4차 찹쌀 고두밥1kg 5차 찹쌀 고두밥1kg 6차 찹쌀 고두밥1kg 7차 물 1L 8차 현재 찹쌀 고두밥1kg 까지 왔는데 맛을보니 살짝 산미가 도는거 같은데...

매번 과실주만 담구다가 처음으로 곡주에 도전했는데요 [1]

하루만에 신내가 납니다 딱봐도 망한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온도조절을 너무 얕본거 같습니다 성능안좋은 궁뎅이전용 전기난로에 천씌어놨는데 이게 아무래도 쉰거같습니다... 살릴길이나 다른걸로 써먹을방법은 없을까요 나름 온갖정성으로 불...

석탄주 하얀 점들 멀까요? file [1]

7일 정도 뚜껑이 덜닫아진 상태로 있었습니다

삼양주 채주하기전에 생긴 쓴맛

멥쌀로 삼양주를 만들고 있습니다. 시작한지 30여일이 되어 표면에 맑은 약주가 생겼고 맛을 보니 단맛과 감칠맛이 나 성공한 술이었구나 하고 며칠 후 채주를 하리라 했습니다. 3일이 지난 오늘, 맛을 보니 쓴맛이 낫습니다. 채주 시간이 지난 것인가요...

석탄주 채주하려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석탄주 빚었는데요 10월 9일에 쌀 1k 물5k 누룩600g 10월 10일 쌀 3k 이렇게 비율은 맞췄습니다 밑술은 죽으로 했고요 덧술할때 쌀이 부족해서 1대1 비율을 못맞췄네요 채주하려고 맛을 보니 톡쏘고 매운맛이 나네요 시거나 다른맛은 없습니다 쌀이...

이양주 밑술 상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양주 밑술을 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레시피 밑술 : 멥쌀/범벅 1K, 탕수 4L, 진주곡자 우리밀 누룩 400g 덧술 : 찹쌀/고두밥 3K 위 레세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밑술을 12일 완성하고 지켜보던 중 블로그의 사진과 같이 검은...

술 걸러도 되는건지 망설여져요

삼양주랑 당귀 이양주 담갔습니다 삼양주는 마지막 덧술하고 3주 지났고 이양주는 2주 지났어요 쌀은 삭은것같은데 위에 맑은술이 확실히 올라와있진 않고 살짝 살짝 보여요 괜찮은것같아 이제 거를까 싶었는데 맛을보니 쓴맛이 나네요 ㅜ 고두밥 넣기전에는 ...

  • ddk
  • 2020-03-30
  • 조회 수 4462

소주 만들기 도전

소주를 만들기 위해 여기에서 본 레시피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도전이 3번째인데 앞선 두번은 실패를 했습니다. 준비물: 찹쌀가루 1kg, 찹쌀 4kg, 쌀 누룩 2kg, 이스트 효모 5g, 1차 밑술: 찹쌀을 물 10리터에 잘 섞어준후 죽을 쑨 후 하루 식힌후 누...

주류 제조를 위한 효소 당화에 쌀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전통 양조법을 활용하여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단맛이 보완된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문헌에 기록된 주류 제조 시 쌀의 전처리 8가지 방법 즉, 죽, 범벅, 설기떡, 구멍떡, 물송편, 인절미, 개떡, 고두밥과 누룩에 존재하는 당화효소인 α-, β- gluco...

  • 니모
  • 2018-04-14
  • 조회 수 80382

오디주 신맛 없에는 방법문의

문의드립니다. 집에서 오디주를 '2016년에 담궜습니다. 설탕이 부족했는지...신맛이 강해서 마시기가 도저히 힘듭니다. 혹..오디주의 신맛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scksck
  • 2018-03-30
  • 조회 수 7318

다섯가지 삼해주 빚기5. 역주방문 삼해주 레시피 file

이번 삼해주 레시피 소개의 마지막, 역주방문 삼해주레시피입니다. 음식디미방에 나오는 레시피만 하는거아니었냐구요? 아니요 ㅎㅎ 기왕에 만들꺼면.. 가양주연구소에서 우리술빚기 과정을 명주-명인-주인반 까지 마치신 분들이 꼭 배우고 넘어가는 역 ...

다섯가지 삼해주 빚기4. 음식디미방 삼해주 레시피(5번째) file

올해 삼해주를 만들면서 한번에 가장 많은 구멍떡을 으깨 넣어야 했던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음식디미방에서 5번째로 나오는 레시피, 이름은 그냥 '삼해주' 사실 레시피가 차이나는 것이 아니라면 다른 술들 사이에서 그냥 묻혀버렸겠지요. 이 술을 특이하게 ...

다섯가지 삼해주 빚기3. 음식디미방 삼해주 레시피(4번째) file

.......이 술은 제가 술빚기를 끝낸 후 일주일 넘게 어깨통증에 시달리게 한 주범입니다. 술빚기를 하시던 분들은 잘 아실테지만.. 그 원인은 레시피를 보시면 바로 딱 아실거라 믿어요. 밑술은 된죽, 즉 범벅인데 첫번재 덧술, 두번째 덧술은 구멍떡입니...

다섯가지 삼해주 빚기2. 음식디미방 삼해주 열말빚기 레시피 file

겁없이 삼해주 5가지를 한꺼번에 빚겠다고 나선 이후 사실 제가 자장 걱정햇던 레시피가 바로 이 레시피엿습니다. 쌀양과 물양의 비율이 1:1.5이거든요. 이 비율로 빚은 술은 날 따뜻할 때 빚었을때는 대부분 신맛이 강한편이었어서.. 사실 기대도 많이 ...

다섯가지 삼해주 빚기1. 음식디미방 삼해주 스무말빚기 레시피 file

겁없이 다섯가지 삼해주를 한꺼번에 빚어보기로 계획을 세운 후, 일단 레시피를 현실적인 수준까지 줄여서 빚어보았습니다. 빚는다고 해도...스무말은 너무 많아요. 다 빚어서 맛있는 술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술 담을 냉장고를 따로 사야할 판입니다.. ㅋㅋ...

연속실패의 이유가 있겠죠? [1]

23기 수강 후 계속 술을 담고 있는데 술만드는 것이 넘넘 잼나서 요즘은 술통을 3개를 이용해서 연속으로 담고 있습니다. 1개는 스텐레스 통 20ℓ, 도 1개는 플라스틱통 20ℓ, 또 하나는 스텐레스통 30ℓ 정신없이 담그다 보니 집안은 온통 술냄새가 장악해서 ...

백화주 빚기 file

갑자기 많이 쌀쌀해진 날씨가 좀 부담이되기는 하지만..요즘 술 빚기에는 이만한 날씨도 없는 것같아요. 그래서.. 참.. 또 일을 저질러보았습니다. 전 요즘 양조장 놀이가 재미있더라구요. 밑술 5: 20: 가루누룩5: 밀가루 1.5 덧술 5: 20 덧술 찹쌀 40 (고두밥...

백화주를 빚어보았습니다! file

요즘 날씨가 술빚기 딱 좋은 날씨인것같아서 처음으로 백화주를 빚어보았어요. 처음 빚어보는데 어떤 맛이 날지 궁금합니다 ㅎㅎ 삼양주 레시피에 마지막에 백화를 켜켜이 쌓아서 넣었습니다. 밑술 1:3 (범벅) 덧술 1:3 (범벅) 덧술 5 (고두밥) + 백화 백화...

  • 줄리
  • 2016-10-23
  • 조회 수 4439

천연발효식초를 만들기위한 종초만들기 문의

지난 6월11일 생막걸리 1.7리터 7병, 시중 판매 자연발효현미식초1.2리터, 과일주용35도 소주1.2리터를 혼합하여 3달 동안 처음 1달동안은 하루2번씩 교반, 이후 2달은 하루1번씩 교반하여 3달이 거의 다되었을때 산도측정을 해보니 3.9정도가 나오네요. 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