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와 시간에 따른 발효력 차이

조회 수 6534 추천 수 48 2009.02.24 10:07:08


온도와 시간에 따른 발효력 차이

오늘 쓸 내용은 찬 곳에서 발효시킨 밑술과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킨 밑술 중에서 어떤 것이 발효력이 더 좋을까 하는 내용입니다. 여러분도 함께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밑술 제조법 : 멥쌀 2되(1.6kg), 물 2되(2리터), 누룩 2되(1.2kg)

밑술 1 : 평균 온도 14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킴.

(밑술 1로 발효시킨 덧술, 술 위에 밥 알갱이가 많이 떠 있다. )

밑술 2 : 평균 온도 22도에서 20일간 발효시킴.

(밑술 2로 발효시킨 덧술, 발효가 덜 진행되어 윗막지가 많이 떠 있다.)

덧술 제조법 : 각각의 밑술에 멥쌀 1말(8kg)을 고두밥 쪄서 함께 혼합하였음.

이렇게 두 술을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놓고 발효를 시켰습니다. 본 밑술은 삼해주 제조법으로 약 1개월 간 발효를 시킨 후에 덧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습니다. 보통 덧술에는 찹쌀이나 쌀을 가루 내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나 이번에는 바로 멥쌀 고두밥을 투입하여 발효 정도를 살펴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14도에서 30일간 발효시킨 밑술이 발효력이 월등히 좋았습니다. 10일이 지난 후에 멥쌀을 다 잡아 먹고 위에 밥알이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22도 에서 발효시킨 밑술은 쌀 알을 완전히 삭히지 못한 모습으로 저온 발효시킨 밑술의 힘이 적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럼 두 술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이유 1 : 밑술 1이 밑술 2보다 약 10일 정도 더 오랜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미생물의 증식양이 더 많다고 추측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될텐데요..^^)

해석 – 발효가 빨리 진행되는 것과 발효가 늦게 진행되는 차이에서 미생물 특히, 효모의 증식 양 차이가 많이 나게 됩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증식하는 미생물의 특성에서 술이 산패하지 않고 발효가 진행되면 가급적 늦게 발효가 이뤄지는 방식으로 술을 빚을수록 미생물의 수가 더 많이 증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온도는 낮지만 10일 더 발효가 진행된 밑술 1의 미생물 수가 더 많이 증식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유 2 : 온도의 차 입니다. 낮은 온도에 있었던 밑술을 덧술과 혼합한 후에 약 10도 정도 높은 온도에서 발효를 시키니 미생물의 활성이 급격하게 진행됐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저온에서 느릿하게 움직이던 아이들이 따뜻한 곳에서 그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발효 속도를 빠르게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덧술 발효 온도와 비슷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밑술은 밑술 발효 온도와 덧술 발효 온도의 차가 없으므로 미생물의 활동이 저온에서 발효시킨 밑술보다 활발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재미난 술 빚기~  "술독"  www.suldoc.com

전통주 love

2009.02.25 11:32:28
*.133.47.126

참고
1) 밑술 1처럼 낮은 온도에서 발육을 할경우 발효일수는 길게 끝술록 주질은 더 좋아집니다. 하지만, 미생물 생육곡선을 이해하신다면 미생물의 증식속도는 느리리라 봅니다. 그만큼 발효시 미생물의 활성이라든가 효모의 활성을 천천히 올라가게 됩니다.
2) 밑술 2처럼 발효할 경우 2~3일정도 경과하면 효모수는 최대 1억이상 (실제측정)올라갑니다.(발효방법에 따라 효모수는 틀려짐). 그만큼 효모활성이라든가 미생물 활성은 빠르겠지요.

따라서 여러이유가 있겠지만 사진으로만은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밑술 1은 탁주보다는 청주나 약주쪽에 가까울정도로 발효한것 같고, 밑술 2는 탁주용으로 좋을듯 싶습니다..

酒人

2009.02.26 07:33:45
*.66.164.248

전통주 러브님의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말씀하신 것처럼 술을 빚는데 중요한 것은 미생물이죠.
앞으로도 회원님들을 위해 좋은 정보 많이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주 뵙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 "종초투입 시점"에 대한 문의

식초학교 제 4강 ,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를 모두 2배의 양으로 레시피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1주일 지난 상태로 레시피에 따라 "덧술후 1주일 지나면 종초 200ml를 붓고 초산발효 시킨다"를 실행 하려는데 현재의 술 상태는 발효중으로 아직도 ...

애주(艾酒) 빚기 file

삼양주로 애주를 빚었습니다. 마지막 덧술했던 과정만 사진으로 올립니다^^ 그러고보니, 술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는 확인해야지요. ​ 덧술한지 이틀 후의 모습입니다. 고두밥이 꽤 많이 들어갔는데요, 덧술한지 하루 후에는 호화가 될런지 걱정될...

  • 줄리
  • 2016-05-16
  • 조회 수 4333

처음 시도한 동동주인데요...ㅠㅠ file

처음으로 동동주에 도전해봤는데 누룩은곱게 갈아서 물에 하루 담궜다가 꼭짜서 썼습니다. 양은 찹쌀 1kg 에 누룩 200g 물 1.5 리터로 했습니다. 하루가 지나니 물기는 없어지고 찹쌀만 불어있더라구요. 3-4일이 지나도 물기는 별로 없고 5일쯤 되니까 위에 곰...

  • aladinn
  • 2015-02-24
  • 조회 수 6761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안녕하세요. 아프리카 대륙에서 봉사활동중인 학생입니다ㅎ 꽤 장기간 거주할 계획이라 전통주를 만들어 볼까 생각중인데 아프리카이다 보니 한국과 같은 여건에서 담그는 건 무리겠더라구요. 우선 면보와 찜통이 없어 고두밥을 지을 수 없구요. 고도가 높아서...

무늬만 석탄주?? file

레시피는 석탄주를 따라 했습니다. 누룩은 앉은뱅이밀 누룩을 사용하고, 덧술할때 찹쌀과 맵쌀이 1:1로 섞인것을 사용했습니다. (쌀이 이것뿐이라서...^^) 용수 박을력고 술덧을 젖히니 맑은술이 올라오네요. 석탄주가 향이 좋고, 맛이 달다고 하는데 제가...

초보의 두번째 단양주 빚기. 이번엔 성공인 듯 합니다.

아래 글쓴 것처럼 첫 막걸리가 시어졌지만, 거른 동동주는 병입해서 김치 냉장고에 넣어 두고 물 타 막거른 막걸리는 김치통에 넣어서 3일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십니다. 어제 비정제 유기농 설탕(마스코바도)을 700ml당 두숟갈씩 넣었습니다. 하루 반...

  • anakii
  • 2013-10-21
  • 조회 수 10242

첫 막걸리 빚기. 실패인지 성공인지..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려요. [1]

처음으로 아내와 저 둘이서만 막걸리를 만들어 봤습니다. 초짜가 이곳 '술독'을 알기 며칠 전, 박록담님의 '다시쓰는 주방문'을 보면서 전전긍긍하면서 만들었습니다. 발효 7일째 생각보다 맛있어서 환호하다가 술 거른 8일째 날, 실망으로 바뀐 기록입니다...

  • anakii
  • 2013-10-17
  • 조회 수 20268

막걸리를 깔끔하게 걸러내는 방법 [1]

안녕하세요~ 요즘들어 집에서 막걸리를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오늘째로 3번을 만들어봤는데요 맛은 갈수록 좋아지는데 일이 점점 많아지네요. 이번엔 작은 항아리에 7리터정도를 담았는데.. 걸러내는데 1시간 걸렸습니다. 현재 뜰채를 사용해서 뜰채에 붓고 ...

진달래주를 담그려고 하는데요. file [1]

진달래주를 담을 계획중입니다. 자료에 재료가 밑술: 멥쌀가루 2말(약 36L), 물 1말(약 18L), 누룩 1되 3홉(약 2.3L), 밀가루 3홉(약 0.5L), 덧술: 멥쌀 3말(약 54L), 찹쌀 3말(약 54L), 끓여 식힌 물 6말(약 108L) 이렇게 나와있는데 양이 너무 방대하네요 ...

두꺼운 산막효모 생긴 밑술도 서김으로 한방에 보내고.. file [1]

오랫만에 술을 담그다보니 문제가 많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적어봅니다. 1. 밑술 (48시간 후 열어보니) 제조: 죽 ( 멥쌀가루 1Kg, 누룩 400g, 물 4리터), 이 누룩은 재래시장에서 산 누룩입니다. 냄새: 덜 발효된듯 하면서도 냄새가 좀 달콤하지도 않...

술에서 포도 냄새가 나면

잘 끓는것 같더니 며칠 후 신 맛이 나더라구요. 다음 날이 지방 내려가는 날이라서 일주일 여 손을 못쓰고 서울에 돌아왔더니 표면은 윤기없이 푸석해보이지만 별다른 특징은 없었고 포도냄새가 나네요. 식초 된 건가요? 너무 시어버리면 소주로 증류도 못하는...

주인님이 댓글 달아 주셔요^^ [1]

성공&실패 158번 "햅쌀술을 빚어 보자."에서 맑은 술을 만들기 위해서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꼭,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해야 물처럼 아주 맑은 술이 나오는 건가요? 밑술에 떡을 이용하는 이유는 단맛이 강한 술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을...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집에서 누룽지와 아카시아꽃을 재료로 단양주를 담아봤습니다. 3일 정도 지났는데 술익는 냄새도 별로없고 소리도 조용합니다. 술독을 열어보니 위에 뜬부분에 흰색 곰팡이가 조금보입니다. 어찌해야 될까요??? 재료:누룽지 1.4kg 누룩(산성누룩)800g...

  • 空有
  • 2012-05-16
  • 조회 수 5551

효모 사진 400배, 1000배 file

  • 酒人
  • 2012-01-13
  • 조회 수 15572

생의 첫 동동주가~~~ file [2]

안녕하세요^^ 매일 조금씩 지식을 얻어가는 박현술입니다. 초보자 교실에서 큰 용기를 얻어 동동주,초일주에 도전했습니다. 독,물,장비을 소독하고, 10월8일 20시20분 에 완성했습니다. 나름 지하실이 온도도 일정하여 술맛에 도움이될것이라 생각했...

이건 뭘까요? file

1년 반된 술독이 있습니다. 맛이 아주 기가 막혔어요. 그냥 방바닥에 술독이 닿는것이 온도변화가 많을 것 같아서 누룩틀을 밑에 받쳐두었습니다. 그랬더니 누룩틀에 검정액체가 묻어날 정도로 새어나오네요. 아직 술은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술...

mouldy alcohol 2.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왜 제목에는 한글이 안되죠?

실패한 술 사진 1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여름 술빚기의 성공 조건

술 빚는 사람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 중 하나가 여름에 술 빚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술을 빚지 않는 분도 있는데요. 사실, 여름에 술 빚기가 더 쉽습니다. 다음 몇 가지 사항만 지켜준다면요. 1. 단양주보다는 이양주로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 酒人
  • 2011-07-10
  • 조회 수 7715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이번엔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술을 빚어 보았습니다. 때깔이 이쁜 것이 향도 좋은 것이 괜찮아 보이더군요. 맛을 보았죠. 아주 큰 기대를 하고서... 헌데 맛이 좀 이상합니다. 무어라 형용할 수가 없는 맛입니다. 미끈한 맛도 나는 것 같기도 하고 여하튼 특이...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