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여름에는 낱개로 겨울에는 복수로... 2</b>

조회 수 3205 추천 수 66 2007.08.06 21:15:26
여름에는 낱개로 겨울에는 복수로... 2

지난번에 문제를 냈었죠. 아무도 답변을 하지 않아 제가 다시 답변을 쓰게 됐네요.^^ 어제 오늘 비가 오다가 말다가 또 덥다가… 많은 분들이 짜증이 났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도 힘 내시고요. 내가 짜증내면 내 주의 사람들은 두 배로 짜증이 나기 마련입니다. 짜증이 몰려 올 때는 우리술 한 잔 하고,, 선풍기 켜놓고 푹 잡시다. ^^

누룩을 띄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다 아시겠지만 온도와 습도입니다. 그 중에서 지난번에 낸 문제의 핵심은 습도에 있었습니다.

낱개로 누룩을 만들어 따로따로 띄울 때를 생각해 볼까요.

습도가 낮은 겨울이나 봄, 가을의 경우는 누룩을 2-3개 정도 함께 띄우게 되면 누룩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누룩 2-3개 정도에서 나오는 수분의 양이 아주 적고, 누룩 주변의 습도가 너무 낮아 누룩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빨리 증발되기 때문입니다.

누룩의 수분이 빨리 증발되면 더 이상 미생물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사람이 물 없으면 살 수 없듯이 미생물도 물이 없으면 더 이상 증식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봄과 가을, 겨울에 누룩을 띄울 때에는 되도록이면 많은 누룩을 함께 띄워 누룩을 띄우는 공간 내부의 습도를 최대한 높여 줘야 합니다.(당연히 따뜻한 곳에서 띄어야 겠죠.)

반대로 여름의 경우는 어떨까요.

온도와 습도가 높아 따로 누룩을 띄우는 공간을 만들기 보다는 낱개로 즉 2-3개 정도를 함께 띄어도 누룩을 잘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누룩을 둘러 싸고 있는 주변의 습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온도도 높기 때문에 다량을 함께 띄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다량을 함께 띄우게 되면 습도가 너무 높아져 검은 곰팡이가 피고, 정도가 심해지면 벌레가 생기고, 벌레가 커지면 나방이 되어 온 방안을 날아 다닙니다. 초등학생들 곤충 채집해도 될 정도로 많습니다. ^^

1. 습도가 낮은 계절은 다량을 함께 만들어 한 곳에서 띄어라.
2. 습도가 높은 계절은 낱개로 띄어 수분이 너무 높지 않게 관리한다.
3. 어느 일정한 기간(1-2주) 정도는 누룩에 수분이 남아 있어야 한다. (미생물 증식)
4. 계절마다 띄우는 방법을 달리하여 누룩을 띄우는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맞춰줘라.
5. 따뜻하게, 그리고 습도를 높여라.



2-3개의 적은 개수의 누룩을 띄울 경우.

1. 되도록이면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에 띄어라.
2. 봄, 가을에 띄울 경우에는 항아리 등을 이용해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3. 가능한 따뜻하게 관리한다.
4.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한지 등으로 감싸준다..



많은 수의 누룩을 띄울 경우.

1. 여름을 피하라.
2.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하라.
3. 반죽할 때 물의 양을 적게 하라.
4. 온도가 높은 경우와 습도가 높은 경우를 잘 관찰하라.
5.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관리하고,
습도가 너무 높으면 수분이 날아가도록 관리한다.



실패하며 배운다.   "술독"  www.suldoc.com


이창원

2007.08.07 00:16:34
*.112.252.38

^^*
좋은글 올리시느라 수고 많네요.
더위와 폭우가 괴롭히는데
어떻게 휴가는 다녀 왔나요?

酒人

2007.08.07 20:58:14
*.46.9.96

잘 지내시죠.^^?

지난 주말에 부모님과 함께 서해안에 갔다 왔습니다. 비가와서 좀 거시기 했지만..^^ 시원해서 좋았어요. 이창원님께서도 즐거운 휴가 보내시구요. 조만간 뵙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효소와 효모의 생육 적온 [1]

효소..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적응하는 이상적인 온도는 25-35도 사이입니다. 이 온도가 되야 당화가 잘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식혜를 만들때 보면 높은 온도에서 끓여서 만듭니다. 왜그럴까요.? 바로 전분을 빨리 삭혀서 당화가 쉽도록 하기 위함이지...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3933

찹쌀과 멥쌀의 발효 속도 차이 [2]

이래 저래 시간이 빨리가서 준비한 것들 중에 못한 것도 많죠.?^^ 죄송합니다. 1. 찹쌀과 멥쌀 전분이 포도당과 포도당, 수없이 많은 포도당이 결합된 다당류라고 했죠. (벌써 잊은 것은 아니죠?^^) 사람도 자라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듯이 전분도 포도당이 연...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5454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단체 사진입니다.^^ [6]

언제 이렇게 친해지셨는지,,,^^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공간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이니까요. 교육 중에 궁금했던 것을 질문해 주시면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간이 썰렁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672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연락망

제 1기 회원 연락처입니다. 방화원 011-9712-8858 방소윤 010-9203-6721 신원철 011-213-4121 원삼규 011-205-3935 정해숙 011-9335-0152 이종인 010-4720-9292 홍필남 010-6236-7872 이승욱 018-292-4666 장혜숙 019-9220-9993 조용선 010-8292-4989 정선희 0...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652

<b>맛있는 증류주 그 비밀은...</b> [2] [1]

맛있는 증류주 그 비밀은 어디에 있는가... 맛 좋은 증류주를 먹어보지 못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말로 표현합니다. "실패한 술 처리", "맛이 없다.", "연료가 많이 든다." 등등.. 저는 개인적으로 알코올 도수 60% 이상의 고도주를 좋아하여 증류를 많이 해 ...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4417

80리터 술독에 가득히 담그었습니다^^ [3]

청주가 많이 나오는 술빚기에 들어갔습니다 주인님이 가르쳐준 비법의 량을 비율대로 늘려서 80리터 독에 가득 채웠습니다 밑술을 만들고 1차 덧술을 하고 2차 덧술을 13일 저녁에 하였습니다 술독 온도를 25도씨로 맞추고 있는데요 얼마정도쯤 걸려야 술이 완...

  • 두메
  • 2007-03-15
  • 조회 수 3494

<b>이양주의 실패와 삼양주의 성공</b>

이양주(밑술, 덧술)를 빚을 때는 매일 신맛때문에 고민하던 분들이 삼양주(이양주에 한 번 더 덧함)를 빚으면 신맛이 사라지고 맛이 좋은 술이 만들어 진다고 하는데요. 왜 이양주에서는 특별한 오염이 없는데도 신맛이 많이 나고 삼양주에서는 신맛 없이도 단...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3966

술독 교육프로그램 참가회원 전용 게시판

"나만의 술" 게시판은 술독의 교육에 참여하신 분들 만을 위한 공간입니다. 교육이 단시간에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니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 공간은 술독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2938

[re] 처음 만들어 본 초일주(사진 몇장 올려 봅니다) [2]

범벅을 만들고 있습니다 완성된 범벅^^ 범벅에 누룩을 혼합하고 있습니다~ 오래 주물렀지요^^ 밑술을 스텐 통에다가 담았지요~~ 밑술이 완성된 모습입니다 밑술에다 1차 덧술을 범벅으로 다시 술을 만든 후 찹쌀 고두밥을 넣었습니다 찹쌀 고두밥을 식히고 있...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3605

처음 만들어 본 초일주 [1]

초일주 담그기 *밑술재료: 쌀가루 1.6kg. 물7.2L. 누룩1kg 2월 10일 쌀을 깨끗하게 씻어서 3시간 쯤 물에 담그어 두었다가 방앗간에서 소금을 넣지 않고 가루로 만들어 와서 친구 장헌이네 집에서 길러온 물을 팔팔 끓여서 범벅을 만들었다 (이때 시각이 오후 ...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3013

증류기 [1]

새로 만든 증류기에 대해 자세히 좀 알려 주세요?

<b>3.1절 특집 알코올 도수 50% 순수 증류주^^</b>

어제 저녁에 남은 술이 조금 있어서 바로 증류를 했습니다. 새로 만든 증류기 성능 테스트도 좀 해야겠고 해서, 술은 약 2리터 정도만 넣었구요. 증류한 술은 약 400ml 정도 됩니다. 알코올 도수는 50% 약간 넘습니다.^^ 보통 소주를 내릴 때 넣은 술의 양에...

  • 酒人
  • 2007-03-02
  • 조회 수 3352

석탄주 재도전기 2 file [1]

덧술 한지 거의 10일이 다되어 갑니다. 실내 온도는 22도 정도가 유지되고 있고 사진에서 처럼 끝부분에 술이 올라올 기미가 생길 듯 말듯 하네요. 이번 석탄주 맛을 어떨지 궁금중이 생깁니다. 지난 번 맛보다 나을런지 아무튼 기대됩니다.

호산춘 1차 덧술후 8시간후 file [2]

호산춘 1차 덧술후 8시간후 끌어 넘었네요 발효가 멈추어 산패하여 버렸어요

<b>호산춘에 용수를 박았습니다.</b> file

용수 박고 하루 지나서 찍은 사진입니다. 20일 정도 지나면 아주 맑게 되는데 그때 다시 사진을 찍어 올리겠습니다. 술맛은 아주 맑은 옥구슬 같습니다. 달콤한 사탕을 먹는 느낌입니다. 3월 정기모임때 오시는 분들은 다 함게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 酒人
  • 2007-02-22
  • 조회 수 3123

석탄주 재 도전기 file [2]

제가 처음 술빚기에 도전했던 술이 석탄주였는데 맛은 책의 내용처럼 그렇게 향기롭고 맛이 있지가 못해서 다시 한 번 복습하기로 마음먹고 도전합니다. 처음 만들 때 보관에도 신경 못써서 탄산가스도 발생했는데 맛이 약간 탄산 음료 먹는 기분도 느끼게 해...

호산춘 따라하기 2 file [4]

호산춘을 그냥 방치하듯 내버려 두었는데 지금 온도를 확인하니 너무 낮네요 밤에는 11~12도 정도이고 낮에는 14도 정도되니 계속 내버려 둬야 할지 술덧에 변화가 거의 없는듯 합니다. 위의 사진이 6일전에 찍은 거고 아래의 사진이 현재의 상태입니다. 보쌈...

<b>술이 올라오고 있는 호산춘</b> file [1]

첫째 사진은 지난 2월 5일, 둘째 사진은 2월 10일 찍은 사진입니다. 보시면 술독과 술덧이 벌어진 틈으로 술이 올라와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지난 5일 보다 5일이 지난 10일 사진에서 더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10일 정도 더 지나면 술이 ...

  • 酒人
  • 2007-02-10
  • 조회 수 3310

호산춘 따라하기 file [1]

호산춘 2차 덧술 한지 8일 지났습니다. 2차 덧술은 1월 28일 저녁 8시쯤 고두밥을 해 넣었는데 현재 발효는 17~18도로 저온에서 숙성중에 있습니다. 그냥 술이 다 될때 까지 내버려 두려고 합니다.

<b>호산춘 술덧의 변화(사진)</b> file

1번 사진은 지난 1월 31일날 찍은 사진, 2번 사진은 2월 5일날 찍은 사진입니다. 빨간 점으로 된 부분을 보시면 2번 사진의 술덧이 많이 내려가 있다는 것을 쉽게 구별할 수 있죠. 시간이 지날수록 술덧은 밑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그리고 밑에 있던 맑은 술...

  • 酒人
  • 2007-02-05
  • 조회 수 39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