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산막효모 현상과 예방법 </b>

조회 수 8101 추천 수 67 2007.04.23 08:25:57


산막효모 현상이 발생할 때,,

최근에 부쩍 산막효모 발생에 대한 문의가 많이 왔습니다. 대부분은 전에는 그러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 술을 빚을 때 밑술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술을 빚고 2-3일 뒤에 술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술독을 열어 보면 광택이 없이 회백색으로 뒤덮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총칭하여 “산막효모”라고 하는 것입니다.

산막효모의 발육온도는 1도 ~ 38도 사이로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환경에서 산막효모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온도가 낮다고 해서, 또는 높다고 해서 산막효모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온도가 낮든, 높든 간에 산막효모 현상은 발생하는 것입니다.

산막효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를 철저하게 지켜야 합니다.

첫째는 젖산, 젖산은 초기 술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효모가 본격적으로 증식을 시작하기 전에는 술덧이 무방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술덧을 보호해 주는 것이 바로 젖산입니다. 양조장에서 젖산을 따로 투입하여 주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젖산을 따로 투입하는 것 보다는 “밀가루”를 이용해 젖산을 넣어주면 됩니다.

겨울은 모든 균의 활동이 적기 때문에 산막효모가 발생하는 경우도 적습니다. 그러나 봄, 가을, 여름이 되면 균의 활동이 많기 때문에 자칫 발효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바로 산막효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봄과 가을, 여름은 겨울에 사용한 밀가루의 양 보다는 좀 더 많은 양을 투입하여 젖산의 수를 늘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는 누룩, 누룩에는 한 가지 종류의 효모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수 많은 종류의 효모가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간에 효모의 활동을 돕는가가 중요합니다. 술을 빚고 많이 혼합해 준다고 해서 효모가 빨리 활동을 시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효모는 어느 정도 일정한 시간 동안은 환경에 적응하는 “적응기”를 거치게 됩니다. 사람이 낯선 환경에 오게 되면 주변을 경계하며 살피듯 미생물도 환경에 적응할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효모의 활동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누룩을 좀 더 철저하게 관리하고 오래되거나 냄새가 좋지 않은 누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막효모는 술을 빚을 때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김치를 만들거나 고추장을 만들 때에도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일단 산막효모가 발생하면 위를 걷어내고 누룩이나 밀가루를 소량 첨가한 다음 큰 주걱으로 혼합해 주면 더 이상 산막효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밑술에 산막효모가 발생하면 똑 같은 밑술을 제조하여 혼합해 주면 좀 더 좋은 밑술을 제조할 수 있게 됩니다.

산막효모가 생겼다고 술이 실패했다가 단정짓지 마시고 수정 작업을 거쳐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도록 다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자신이 빚은 제조법을 정확히 기록해 두지 못하면 다음에 또 산막효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예방이 힘들어 지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빚고자 하는 술은 반드시 철저하게 기록에 남겨 두었다가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밀가루의 사용과 좋은 누룩으로 산막효모를 예방할 수 있다.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 "종초투입 시점"에 대한 문의

식초학교 제 4강 , 7.손쉽게 만드는 현미식초를 모두 2배의 양으로 레시피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1주일 지난 상태로 레시피에 따라 "덧술후 1주일 지나면 종초 200ml를 붓고 초산발효 시킨다"를 실행 하려는데 현재의 술 상태는 발효중으로 아직도 ...

애주(艾酒) 빚기 file

삼양주로 애주를 빚었습니다. 마지막 덧술했던 과정만 사진으로 올립니다^^ 그러고보니, 술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는 확인해야지요. ​ 덧술한지 이틀 후의 모습입니다. 고두밥이 꽤 많이 들어갔는데요, 덧술한지 하루 후에는 호화가 될런지 걱정될...

  • 줄리
  • 2016-05-16
  • 조회 수 4348

처음 시도한 동동주인데요...ㅠㅠ file

처음으로 동동주에 도전해봤는데 누룩은곱게 갈아서 물에 하루 담궜다가 꼭짜서 썼습니다. 양은 찹쌀 1kg 에 누룩 200g 물 1.5 리터로 했습니다. 하루가 지나니 물기는 없어지고 찹쌀만 불어있더라구요. 3-4일이 지나도 물기는 별로 없고 5일쯤 되니까 위에 곰...

  • aladinn
  • 2015-02-24
  • 조회 수 6774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안녕하세요. 아프리카 대륙에서 봉사활동중인 학생입니다ㅎ 꽤 장기간 거주할 계획이라 전통주를 만들어 볼까 생각중인데 아프리카이다 보니 한국과 같은 여건에서 담그는 건 무리겠더라구요. 우선 면보와 찜통이 없어 고두밥을 지을 수 없구요. 고도가 높아서...

무늬만 석탄주?? file

레시피는 석탄주를 따라 했습니다. 누룩은 앉은뱅이밀 누룩을 사용하고, 덧술할때 찹쌀과 맵쌀이 1:1로 섞인것을 사용했습니다. (쌀이 이것뿐이라서...^^) 용수 박을력고 술덧을 젖히니 맑은술이 올라오네요. 석탄주가 향이 좋고, 맛이 달다고 하는데 제가...

초보의 두번째 단양주 빚기. 이번엔 성공인 듯 합니다.

아래 글쓴 것처럼 첫 막걸리가 시어졌지만, 거른 동동주는 병입해서 김치 냉장고에 넣어 두고 물 타 막거른 막걸리는 김치통에 넣어서 3일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십니다. 어제 비정제 유기농 설탕(마스코바도)을 700ml당 두숟갈씩 넣었습니다. 하루 반...

  • anakii
  • 2013-10-21
  • 조회 수 10261

첫 막걸리 빚기. 실패인지 성공인지..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려요. [1]

처음으로 아내와 저 둘이서만 막걸리를 만들어 봤습니다. 초짜가 이곳 '술독'을 알기 며칠 전, 박록담님의 '다시쓰는 주방문'을 보면서 전전긍긍하면서 만들었습니다. 발효 7일째 생각보다 맛있어서 환호하다가 술 거른 8일째 날, 실망으로 바뀐 기록입니다...

  • anakii
  • 2013-10-17
  • 조회 수 20298

막걸리를 깔끔하게 걸러내는 방법 [1]

안녕하세요~ 요즘들어 집에서 막걸리를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오늘째로 3번을 만들어봤는데요 맛은 갈수록 좋아지는데 일이 점점 많아지네요. 이번엔 작은 항아리에 7리터정도를 담았는데.. 걸러내는데 1시간 걸렸습니다. 현재 뜰채를 사용해서 뜰채에 붓고 ...

진달래주를 담그려고 하는데요. file [1]

진달래주를 담을 계획중입니다. 자료에 재료가 밑술: 멥쌀가루 2말(약 36L), 물 1말(약 18L), 누룩 1되 3홉(약 2.3L), 밀가루 3홉(약 0.5L), 덧술: 멥쌀 3말(약 54L), 찹쌀 3말(약 54L), 끓여 식힌 물 6말(약 108L) 이렇게 나와있는데 양이 너무 방대하네요 ...

두꺼운 산막효모 생긴 밑술도 서김으로 한방에 보내고.. file [1]

오랫만에 술을 담그다보니 문제가 많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적어봅니다. 1. 밑술 (48시간 후 열어보니) 제조: 죽 ( 멥쌀가루 1Kg, 누룩 400g, 물 4리터), 이 누룩은 재래시장에서 산 누룩입니다. 냄새: 덜 발효된듯 하면서도 냄새가 좀 달콤하지도 않...

술에서 포도 냄새가 나면

잘 끓는것 같더니 며칠 후 신 맛이 나더라구요. 다음 날이 지방 내려가는 날이라서 일주일 여 손을 못쓰고 서울에 돌아왔더니 표면은 윤기없이 푸석해보이지만 별다른 특징은 없었고 포도냄새가 나네요. 식초 된 건가요? 너무 시어버리면 소주로 증류도 못하는...

주인님이 댓글 달아 주셔요^^ [1]

성공&실패 158번 "햅쌀술을 빚어 보자."에서 맑은 술을 만들기 위해서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꼭, 밑술에 백설기를 이용해야 물처럼 아주 맑은 술이 나오는 건가요? 밑술에 떡을 이용하는 이유는 단맛이 강한 술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을...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집에서 누룽지와 아카시아꽃을 재료로 단양주를 담아봤습니다. 3일 정도 지났는데 술익는 냄새도 별로없고 소리도 조용합니다. 술독을 열어보니 위에 뜬부분에 흰색 곰팡이가 조금보입니다. 어찌해야 될까요??? 재료:누룽지 1.4kg 누룩(산성누룩)800g...

  • 空有
  • 2012-05-16
  • 조회 수 5573

효모 사진 400배, 1000배 file

  • 酒人
  • 2012-01-13
  • 조회 수 15594

생의 첫 동동주가~~~ file [2]

안녕하세요^^ 매일 조금씩 지식을 얻어가는 박현술입니다. 초보자 교실에서 큰 용기를 얻어 동동주,초일주에 도전했습니다. 독,물,장비을 소독하고, 10월8일 20시20분 에 완성했습니다. 나름 지하실이 온도도 일정하여 술맛에 도움이될것이라 생각했...

이건 뭘까요? file

1년 반된 술독이 있습니다. 맛이 아주 기가 막혔어요. 그냥 방바닥에 술독이 닿는것이 온도변화가 많을 것 같아서 누룩틀을 밑에 받쳐두었습니다. 그랬더니 누룩틀에 검정액체가 묻어날 정도로 새어나오네요. 아직 술은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술...

mouldy alcohol 2.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왜 제목에는 한글이 안되죠?

실패한 술 사진 1 file

작년 11월에 만든 술인데 곰팡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술독 버릴 생각도 하면서 함 가는데까지 둬보자고 놔두었습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열어봤더니 아주 가득하니 곰팡이가 많네요.

여름 술빚기의 성공 조건

술 빚는 사람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 중 하나가 여름에 술 빚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술을 빚지 않는 분도 있는데요. 사실, 여름에 술 빚기가 더 쉽습니다. 다음 몇 가지 사항만 지켜준다면요. 1. 단양주보다는 이양주로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 酒人
  • 2011-07-10
  • 조회 수 7725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이번엔 집에서 빚은 분곡으로 술을 빚어 보았습니다. 때깔이 이쁜 것이 향도 좋은 것이 괜찮아 보이더군요. 맛을 보았죠. 아주 큰 기대를 하고서... 헌데 맛이 좀 이상합니다. 무어라 형용할 수가 없는 맛입니다. 미끈한 맛도 나는 것 같기도 하고 여하튼 특이...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