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산막효모 현상과 예방법 </b>

조회 수 8191 추천 수 67 2007.04.23 08:25:57


산막효모 현상이 발생할 때,,

최근에 부쩍 산막효모 발생에 대한 문의가 많이 왔습니다. 대부분은 전에는 그러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 술을 빚을 때 밑술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술을 빚고 2-3일 뒤에 술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술독을 열어 보면 광택이 없이 회백색으로 뒤덮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총칭하여 “산막효모”라고 하는 것입니다.

산막효모의 발육온도는 1도 ~ 38도 사이로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환경에서 산막효모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온도가 낮다고 해서, 또는 높다고 해서 산막효모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온도가 낮든, 높든 간에 산막효모 현상은 발생하는 것입니다.

산막효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를 철저하게 지켜야 합니다.

첫째는 젖산, 젖산은 초기 술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효모가 본격적으로 증식을 시작하기 전에는 술덧이 무방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술덧을 보호해 주는 것이 바로 젖산입니다. 양조장에서 젖산을 따로 투입하여 주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젖산을 따로 투입하는 것 보다는 “밀가루”를 이용해 젖산을 넣어주면 됩니다.

겨울은 모든 균의 활동이 적기 때문에 산막효모가 발생하는 경우도 적습니다. 그러나 봄, 가을, 여름이 되면 균의 활동이 많기 때문에 자칫 발효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바로 산막효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봄과 가을, 여름은 겨울에 사용한 밀가루의 양 보다는 좀 더 많은 양을 투입하여 젖산의 수를 늘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는 누룩, 누룩에는 한 가지 종류의 효모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수 많은 종류의 효모가 존재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간에 효모의 활동을 돕는가가 중요합니다. 술을 빚고 많이 혼합해 준다고 해서 효모가 빨리 활동을 시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효모는 어느 정도 일정한 시간 동안은 환경에 적응하는 “적응기”를 거치게 됩니다. 사람이 낯선 환경에 오게 되면 주변을 경계하며 살피듯 미생물도 환경에 적응할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효모의 활동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누룩을 좀 더 철저하게 관리하고 오래되거나 냄새가 좋지 않은 누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막효모는 술을 빚을 때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김치를 만들거나 고추장을 만들 때에도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일단 산막효모가 발생하면 위를 걷어내고 누룩이나 밀가루를 소량 첨가한 다음 큰 주걱으로 혼합해 주면 더 이상 산막효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밑술에 산막효모가 발생하면 똑 같은 밑술을 제조하여 혼합해 주면 좀 더 좋은 밑술을 제조할 수 있게 됩니다.

산막효모가 생겼다고 술이 실패했다가 단정짓지 마시고 수정 작업을 거쳐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도록 다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자신이 빚은 제조법을 정확히 기록해 두지 못하면 다음에 또 산막효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예방이 힘들어 지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빚고자 하는 술은 반드시 철저하게 기록에 남겨 두었다가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밀가루의 사용과 좋은 누룩으로 산막효모를 예방할 수 있다.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현재 상태 [1]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상태입니다. 오늘이 19일이니 벌써 8일이나 지났네요 덧술은 안했습니다. 매일 매일 사진을 찍어놓았어야 하는데 지난주 좀 정신없이 지나가서 이제 겨우 사진 한 장 올립니다. 실내온도 20~22도 사이에 두었는데 그렇게 큰 오염은 없...

오염현상이 [1]

오염현상이 해결되었어요 1차교육때 가져온 밑술 4일만에 1차덧술 오염없이 발효잘됨 4일만에2차덧술 향이아주좋아요

만전향주 [2]

위는 만전향주 덧술을 마친 상태입니다. 역시 색이 노랗습니다. 술이 익는기간동안 향 또한 기존의 누룩으로 익는 술보다 좋습니다. 아래는 완성된 만전향주입니다. 급한 마음에 미리 용수를 박는 바람에 용수가 떠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무로 막아 놨고요.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867

날씨 좋다. 누룩 법제 중.^^

누룩은 옛 부터 약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누룩에 있는 효소가 음식물을 잘 소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죠. 오늘은 날씨가 따뜻해서 지난 3월에 만들어 놓았던 누룩을 꺼내 햇볕에 널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누룩을 좀 먹었죠. 어떤 맛일까요?^^ 아...

  • 酒人
  • 2007-04-23
  • 조회 수 2875

누룩 이야기 5 [2]

5. 일제하의 곡자 소수의 전업자를 제외하고 곡자의 제조는 대부분 농가의 부업이었으나 일제하의 주세법에서는 곡자의 제조도 면허제도로 되어 1927년에 김천개량곡자 조합이 생기게 되었다. 1930년 일본인이 쓴 종합농산 제조학 중 조선주에 나타나는 누룩에...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연락망

제 1기 회원 연락처입니다. 방화원 011-9712-8858 방소윤 010-9203-6721 신원철 011-213-4121 원삼규 011-205-3935 정해숙 011-9335-0152 이종인 010-4720-9292 홍필남 010-6236-7872 이승욱 018-292-4666 장혜숙 019-9220-9993 조용선 010-8292-4989 정선희 0...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889

언제 덧술 하는가에 대한 요약정리된것도 부탁합니다 [1]

밑술 담근후 밑술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기 힘들었습니다 또 기왕이면 산막효모 흰곰팡이 흰거품등 이상징후에 대한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했습니다.

누룩 이야기 6

6. 현재의 발효제 현재는 종전의 곡자와 일본식 입국(粒麴)과 1960년대 이후 사용되고 있는 분곡류가 있으며, 1970년대 이후에는 조정제된 정제효소 또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의 다양하고 우수했던 곡자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시중에는 아...

매달아 띠우는 누룩 [2]

문헌에 있는대로 고증한 경우 입니다. 제비쑥과 짚, 또는 종이나 닥나무 잎 도꼬마리 잎으로 감싸 매달아 띠우는 모습입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902

누룩이 어떻게 된건가요..... [1]

2번째 5번째는 약재 첨가한 누룩이고요 나머지는 그냥 만든 것인데 어떻게 된건지 잘 모르겠네요...

석탄주 하얀 점들 멀까요? file [1]

7일 정도 뚜껑이 덜닫아진 상태로 있었습니다

여러 누룩을 이용한 술 [4]

위쪽 사진은 각기 다른 누룩을 이용한 술들입니다. 왼쪽 위부터->만전향주, 신국주, 여국주 아래 왼쪽부터->흑미주, 춘란꽃술, 연엽주 위 세개는 직접 만든 누룩을 이용한 술이고 아래는 공장용 곡자로 만든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술이 맑지 않은 것도 ...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912

누룩

위 사진은 종이봉지에 넣어 매달아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둥근 누룩을 짚을 갈고 띄우는 중이고요. 그런데 여러분들은 종이로 포장해 띄우는 것에 대해 궁금하실 것입니다. 위 솔잎이나, 마른 짚을 깔고 박스에 넣어서 띄우는 것과 종이에 담아 띄우는 방...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912

누룩

역시 위 사진은 둥글게 성형된 누룩을 솔잎에 감싸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제비쑥으로 감싸서 띄우고 있습니다.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927

<b>1450년대 <산가요록> 양국법<良麴法></b>

1450년대 1. 양국법 : 좋은 누룩 만드는 법 만드는 시기 : 삼복(三伏) 초복 : 기울 1말, 녹두 1되 중복 : 기울 1말, 녹두 2되 말복 : 기울 1말, 녹두 3되 녹두 처리법 1. 1. 녹두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 불린다. 2. 찜기를 이용해 녹두를 찐다. 녹두 처리법 ...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960

누룩 이야기 2

2. 삼국시대 및 신라시대의 누룩 중국문헌「유양잡조」의 주식편에 낙랑주법이란 말이 나오는 것을 봐서는 낙랑시대엔 술빚기의 체계가 이미 서 있었던 것 같다.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 의하면 수수보리에 의해 백제의 누룩과 술을 빚는 법이 일본에 전해졌...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4 file [1]

12월 1일 월요일 밤에 초일주 덧술은 한지 3일이 지났습니다. 보관된 곳의 온도는 21도 내외이며 우려와는 달리 술이 상한 것 같지는 않으며 잘 발효되고 있는 듯합니다. 휴지를 꼬아 만든 실에 불을 당겨서 술독에 넣으니 바로 불이 꺼져 버립니다. 위 사진...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에는 매화나 진달래, 아카시아 꽃 등 향기가 좋은 꽃들이 많고요. 쑥이나 봄에 나는 나물을 이용해서 약술을 빚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꽃 술과 봄에 나는 약술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술을 빚고, 어떻게 온도...

  • 酒人
  • 2008-03-05
  • 조회 수 2975

<b>이기려면, 기다려라..</b> [2]

이기려면, 기다려라.. 2002년 월드컵 4강의 주인공 골키퍼 이운재 선수의 자서전 제목입니다.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빚고 나서 안절부절 합니다. 술독의 술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2976

유리보다 맑아진 진상주 file [1]

약 한달이 조금 넘은 시점의 진상주 사진입니다. 유리처럼 아주 맑아진것이 먹음직 스럽습니다.

  • 酒人
  • 2006-09-27
  • 조회 수 30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