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이양주의 실패와 삼양주의 성공</b>

조회 수 4011 추천 수 50 2007.03.14 21:51:56
이양주(밑술, 덧술)를 빚을 때는 매일 신맛때문에 고민하던 분들이 삼양주(이양주에 한 번 더 덧함)를 빚으면 신맛이 사라지고 맛이 좋은 술이 만들어 진다고 하는데요. 왜 이양주에서는 특별한 오염이 없는데도 신맛이 많이 나고 삼양주에서는 신맛 없이도 단맛이 좋아질까요.

이 모든 것이 미생물의 수 때문입니다.

이양주에서 만들어진 많은 미생물들이 덧술에 들어오는 많은 양의 곡물을 분해할 수 있는 만큼의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쌀에서 얻어야 할 포도당을 얻지 못하고 결국에는 알코올 생성력도 저하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밑술에서 증식되 많은 미생물에 다시 한 번 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밥을 투입해 줌으로서 밑술에 증식된 미생물의 수보다 상대도 안될 만큼 많은 양의 미생울이 다시 생겨나고 이것이 결국에는 당화와 발효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쌀 속의 전분은 모두 당으로 바뀌고 당은 알코올로 만들어져 높은 도수의 술이 만들어 집니다. 그리고 알코올로 바뀌지 않은 당은 술에 단맛을 만들어 술에서 단맛이 나게 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신맛은 높은 알코올 도수와 단맛에 가려지게 되어 신맛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특별히 오염없이 술에서 신맛이 많이 난다면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응용하면 좋은 술을 빚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갈곳은 어디인가...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40 100%실패와 100%성공의 조건 酒人 2006-07-07 3472
139 봇뜰에서 빚은 쑥술 file [2] 봇뜰 2008-12-23 3476
138 <b>좋은 술 만드는 방법</b> [1] 관리자 2006-06-11 3503
137 1주일째 끓고 있는 술 酒人 2008-09-30 3518
136 호산춘 따라하기 2 file [4] 원삼규 2007-02-13 3526
135 <b>술이 실패한 항아리 관리법</b> [1] 酒人 2006-10-26 3527
134 누룩 [2] 최 원 2007-04-02 3529
133 추석에 마실 술 빚기..4 file [3] 2008-08-14 3531
132 80리터 술독에 가득히 담그었습니다^^ [3] 두메 2007-03-15 3533
131 <b>새로운 단양주의 표본 - 단백주 제조</b> file 酒人 2008-04-21 3539
130 우리술이야기..누룩편~☆ [3] 조영진(부엉이와인댁) 2007-04-11 3541
129 호산춘 1차 덧술후 8시간후 file [2] 강용진 2007-02-22 3544
128 설날에 마실 술을 채주하다. [4] 내사랑 2009-01-14 3544
127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酒人 2008-07-27 3548
126 <b>시간이없어 술빚기를 못하는 분들에게..</b> 酒人 2006-05-19 3556
125 <b>현재 띄우고 있는 백곡</b> file 酒人 2007-01-15 3566
124 <b>맑게 고인 상근백피주</b> file [2] 酒人 2007-09-08 3569
123 <b>여름에 술 잘 빚기 </b> 酒人 2008-06-30 3570
122 술 표면의 오염 酒人 2005-12-28 3574
121 술이 잘 익어가고 있습니다.. file [2] 도사 2008-12-19 36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