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들어 본 초일주

조회 수 2932 추천 수 51 2007.03.07 12:20:54
초일주 담그기
*밑술재료: 쌀가루 1.6kg. 물7.2L. 누룩1kg

2월 10일
쌀을 깨끗하게 씻어서 3시간 쯤 물에 담그어 두었다가 방앗간에서 소금을 넣지 않고 가루로 만들어 와서 친구 장헌이네 집에서 길러온 물을 팔팔 끓여서 범벅을 만들었다
(이때 시각이 오후 9시쯤이었는데 범벅을 식히는데 무려 3시간정도가 소요됨)
범벅이 식은 후 누룩 1kg을 범벅과 잘 혼합해서 술독에 담은 시각이 밤 12시~

방의 온도가 20도쯤 되어서 술독을 보쌈 해 주고는 온도계를 안에 넣어 두고 수시로 온도를 체크 한바 25도로 안정이 되어 계속 보쌈을 해 놓음

2월 12일
오후 1시에 보쌈을 해제하고 술독 뚜껑을 열고 환기를 시켜줌

2월 13일(1차 덧술: 범벅으로)
깨끗하게 씻은 쌀 1.6kg을 3시간쯤 물에 담그어 두었다가 가루로 만들어서 물 7L를 팔팔 끓여 다시 범벅을 만들어서 충분히 식힌 다음 처음 만든 밑술과 잘 혼합해서 술독에 넣고 보쌈을 해 온도 25도를 맞추어 줌(오후2시)
*손으로 밑술과 1차 덧술의 술덧이 잘 혼합되도록 충분히 저어줌

2월 15일
1.새벽 2시에 보쌈을 풀고 뚜껑을 열어 환기를 시킨다음 뚜껑을 닫아 둠
2.오후 1시쯤에 찹쌀 10kg으로 고두밥을 쪄서 1시간 식힌 후(오후 2시경)에 2차 덧술을 함
2차 덧술을 할때는 술독에 바로 고두밥을 넣고 골고루 섞어 줌(술독이 충분히 큰 것으로 1차 덧술을 하였음)

*덧술을 하고 25도씨에서 약 10일쯤 지나야 술이 된다고함^^

2월20일
술독의 온도를 22~25도로 유지 관리를 하였는데 아직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지 않음/

2월23일
술덧이 약 1센치정도 아래로 내려갔음(2차 덧술한지 8일째)

2월25일
오늘이 덧술한지 열흘째이지만 아직 위로 술이 고이지 않음(온도가 낮아서 그런것 같다)

2월28일
술독 안에 라이터 불이 꺼지지 않음

3월 5일
용수를 박고 청주를 떠냄
아직 술맛이 덜 익은 듯하여 청주를 따로 서늘한 곳에 보관 하고 있음

3월7일
용수를 이용해서 청주를 충분히 떠 낸 다음 남아 있는 술에 물을 약간 붓고 막걸리로 걸러는데 술 맛을 아직 잘 몰라서 동네 어르신들을 찾아가서 술 맛을 봐 달라고 했습니다.
맛을 본 어르신들께서 모두가 한결 같이 술 맛이 좋고 도수도 높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오늘 저녁에는 시골에 있는 친구들을 불러서 막걸리 파티를 하기로 했습니다^^

술빚기에 성공 할수 있도록 도와주신 주인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酒人

2007.03.07 12:52:32
*.188.85.106

잘 하셨네요.^^

특히, 온도가 낮은 것을 염려하여 보쌈을 통해 25도 정도를 유지해 준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물론, 온도가 낮아도 발효가 잘 되지만 발효 기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또한, 친구 집에서 물을 길어 오셨다니 그 물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술 맛은 물 맛이기 때문에 물이 좋으면 당연히 술도 맛있습니다.

제가 도와드려서 술이 잘 된게 아니라 두메님께서 열심히 묻고 공부하셔서 좋은 술을 빚을 수 있게 된것이라 생각됩니다. 노력없이 좋은 술이 나올 수 없죠. 오늘 저녁 막걸리 파티 잘 하시길 바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실패기-2 file [1]

위의 실패기에 적었던 일주일 지난 술의 상태입니다. 누룩이 먹이를 먹지 못한 건지 고두밥이 충분치 못했는지 밥알과 함께 누룩들이 보입니다. 술맛은 아직 신 맛이 가시지 않았지만 주인장님 이야기처럼 계속 내버려 둬 볼랍니다. 고두밥을 좀 더 줘볼까 하...

<b>쌀 씻기에서 중요한 것은</b>

쌀 씻기의 기본 우리가 술을 빚을 때 가장 먼저 하는 일 중에 하나가 바로 쌀 씻기 입니다. 쌀을 씻는 가장 큰 이유는 쌀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술을 빚을 때 쌀을 씻는 것과 밥을 할 때 쌀을 씻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밥...

  • 酒人
  • 2007-01-29
  • 조회 수 4810

실패기 - 덧술 시기를 놓쳐 생긴 일 [1]

안녕하세요. 설날에 먹을 호산춘을 담그려다가 실패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덧술 시기를 놓쳐 버려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가 빚은 술이 호산춘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그냥 중양주를 담그려고 했는데 술이 시어 버려 소주로 만들어야 될듯합니다. 제...

호산춘 실패중인가? 성공하고 있는 건가? file [1]

안녕하십니까? 나만의 호산춘을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재료는 여러가지 문헌을 토대로 구성하였습니다. (남들이 시키는 대로하면 성공이야 하겠지만......) 그러다보니 낭패 또한 따르기 마련인가 봅니다. 1/20일 밑술 담았습니다. 1/25일 현재 사진과 같이 ...

<b>현재 빚고 있는 흑미주 </b> file [2]

현재 빚고 있는 흑미주입니다. 흑미는 소량만 넣어도 색깔이 진한데, 이번에 빚는 술은 흑미만을 이용해서 빚었습니다. 술이 완성되면 제조법과 주의해야 할 점등을 게시판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색이 정말 좋죠.~ ^^ 실내온도 21도에서 끓고 있는 모습입...

  • 酒人
  • 2007-01-24
  • 조회 수 3301

술독을 엎으면서... [2]

구정에 먹을려 시작했던 술이 밑술 과정에서 실패로 엎었답니다 왠지 아깝고 실패를 거듭하여 속상한 마음이었음니다만 덧술로 인하여 더많은 재료를 버리기 아까워 미련없이 버렸지요. 담은과정을 보면 1월 14일 물3.6리터에 맵쌀가루 1,5키로로 범벅을만들어...

<b>현재 띄우고 있는 백곡</b> file

우리밀을 이용한 백곡입니다. 모양은 이화곡 만들때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이번에는 우리밀을 이용해서 이화곡처럼 만들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누룩을 띄우는 일은 재미도 있지만 어려움도 많은 것이 누룩입니다. 현재 누룩 표면이 누렇게 떠 가고 있는 ...

  • 酒人
  • 2007-01-15
  • 조회 수 3452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 만들기 file [1]

안녕하세요..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이화곡)을 만들어 보려고 했었는데 아무래도 실패한 것 같습니다. 만든 것에서 신 냄새만 나고 (처음엔 곰팡이 냄새) 영 이상한 것 같습니다. 좋은 재료를 써야 했는데 멥쌀 가루 곰팡이 생긴걸 사용해서 그런건지 이유...

초일주에 대한 궁금증^^ [2]

초보라 이것저것 생소한 것이 많은데요~ 아직 한번도 술을 담아보지 못했는데 시작 하려니 겁이 나는군요^^ 초일주에 대한 공지 글을 읽었는데요 덧술을 할때는 물을 더 붓지 않아도 되나요? 물을 더 부으라는 내용은 없어서요^^

<b>삼양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b>

삼양주란? 술이 완성되기 전까지 세 번에 걸쳐 곡물을 혼합하여 빚는 술로서 밑술과 덧술에 이어 덧술에 한번 더 덧하여 빚는 술을 삼양주라고 한다. (예, 한 번 빚는 술=단양주,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술 = 이양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삼양주에는 삼해주,...

  • 酒人
  • 2007-01-03
  • 조회 수 4068

초보의 궁금증^^ [4] [1]

어머니께서 농주(막걸리)를 만들던 모습이 떠 오르는데요 고두밥을 쪄서 식힌 후 누룩과 잘 섞어서 단지(독)에 넣고 적당량 물(좀 따뜻한 물이었던거 같습니다)을 부은 후 단지를 이불로 싸서 방안에 놓아 두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는 술을 담글 ...

<b>술의 양 늘리는 방법</b>

술의 양 늘리는 방법 일단 술의 양을 늘리는 방법을 이야기 하지 전에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꼭 술의 양을 늘리는게 좋은 방법일까… 사실 이양주(밑술과 덧술)에서 맛 좋은(단맛이 포함된) 술을 빚기 위해서는 양조용수(술빚을 때 사용하는 물)의...

  • 酒人
  • 2006-12-27
  • 조회 수 4444

<b>이기려면, 기다려라..</b> [2]

이기려면, 기다려라.. 2002년 월드컵 4강의 주인공 골키퍼 이운재 선수의 자서전 제목입니다.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빚고 나서 안절부절 합니다. 술독의 술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2749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5 file [1]

초일주 밑술을 안친지 벌써 2주가 가까워 졌습니다. 사진은 용수를 박은 초일주의 모습입니다. 색깔이 좀 이상하긴 한데.. 그래서, 조그만 컵에 술을 떠 보았습니다. 술 맛은 약간의 새콤한 맛(감칠맛)이 있고, 도수는 약간 독한 것 같기도 합니다. 병에 옮겨...

<b>대표적인 오염 현상 3가지</b>

1. 술 표면의 골마지 현상 주로 단양주나 덧술에서 발생한다. 효모증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 주로 단양주에서 많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대부분 누룩의 품질과 과도한 원료가 투입되어 발효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을 때 생긴다. 술독의 품온이 올라가면 발...

  • 酒人
  • 2006-12-13
  • 조회 수 4495

<b>덧술하는 시기에 대하여..</b>

덧술하는 시기에 대하여..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술의 상태를 인간의 활동과 비교해 보는 것도 술을 빚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술 마다 다 틀리니 술을 빚어보고 경험으로 아세요. 라고 말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그래도 술을 처음 빚는 분들이 있으셔서 ...

  • 酒人
  • 2006-12-13
  • 조회 수 3597

<b>산막효모(골마지)와 그 처방법</b>

산막효모(골마지)와 그 처방법 술 표면에 뿌옇게 핀 것(산막효모)은 누룩 속에 있는 효모중에 하나인 산막효모로 인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것을 그냥 두면 술의 맛과 향에 큰 지장을 주기 때문에 빠르게 처리를 해야 합니다. 술을 빚고 나서 산막효모가 생기...

  • 酒人
  • 2006-12-13
  • 조회 수 8253

언제 덧술 하는가에 대한 요약정리된것도 부탁합니다 [1]

밑술 담근후 밑술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기 힘들었습니다 또 기왕이면 산막효모 흰곰팡이 흰거품등 이상징후에 대한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했습니다.

<b>2006년 덧술 제조 방법</b>

덧술 빚는 법 이양주 이상의 술빚기에서 사용하는 제조법이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의 술빚기이다. 밑술과 덧술은 각각 그 목적을 달리한다. 밑술의 주 목적이 효모의 증식에 있다면 덧술은 밑술에 증식된 효모를 이용하여 충분한 알코올을 생성 시키는...

  • 酒人
  • 2006-12-12
  • 조회 수 3257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높은 술</b>

*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높은 술 지난번에는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에대해 공부했는데요. 이번에는 달면서도 알코올 도수까지 높은 술에 대해 공부해 보기로 하죠. 단맛이 나면서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밑술의 상태와 술...

  • 酒人
  • 2006-12-12
  • 조회 수 399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