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의 궁금증^^

조회 수 3333 추천 수 38 2006.12.28 07:20:44
어머니께서 농주(막걸리)를 만들던 모습이 떠 오르는데요
고두밥을 쪄서 식힌 후 누룩과 잘 섞어서 단지(독)에 넣고
적당량 물(좀 따뜻한 물이었던거 같습니다)을 부은 후
단지를 이불로 싸서 방안에 놓아 두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는 술을 담글 때 술약이라는(뭔지 잘 모르지만 조그마한 병에 알갱이로 된 것이 들어 있었습니다) 약을 꼭 넣은 것으로 기억 되는데
이곳에서는 술약 이야기는 전혀 나오질 않네요^^

술약이란 것이 효모제일까요?
누룩만 넣으면 술약은 넣지 않아도 되는지요?

그리고 밑술이랑 덧술 이야기도 이곳에서 처음으로 접합니다
너무 초보가 건방지게 게시판에 글을 올렸나요?

죄송합니다
그래도 궁금한걸 어쩐다요 ㅎㅎㅎ

김창준

2006.12.28 08:26:35
*.199.36.238

아하~ 대충은 감이 잡히네요^^ 밑술을 담그는 것이 술약을 대신한다는 말씀이군요^^ 그런데요 밑술을 담그지 않고 한번에 하는 술에는 술약이 필요한건가요? 제가 너무 무식하죠? ㅎ

酒人

2006.12.28 08:30:10
*.188.87.34

안녕하세요. 김창준님~^^

글 안에 답이 있습니다. 먼저, 술약이라는 것은 말씀하신데로 효모를 말합니다. 그 시절에 누룩은 단지 발효제로서 쌀의 전분을 당으로 바꿔주는 역활이었기 때문에 술약(효모)을 넣어 만들어진 당에서 알코올을 만들게 된 것이죠.

그러나 일본넘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술약이라는 것이 없었어요. 대신 밑술(주모)이라는 것을 이용했는데요. 밑술(주모)은 누룩에 있는 소량의 효모를 배양해 놓은 것입니다.

즉, 누룩에 야생효모 1개가 있다면 이것을 1000개, 10000개로 증식시켜 놓은 것입니다. 이것을 주모 또는 이양주에서는 밑술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밑술을 이용해서 대량으로 효모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배양 건조시킨 효모 덩어리(술약)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럼 술약을 사용해도 좋지 않느냐..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요. 물론 사용해도 됩니다. 그러나 술약이라는 것이 특정한 효모를 배양건조시킨 것으로 술을 빚으면 거의 비슷한 맛을 만들게 됩니다. 알코올발효(당->알코올)를 하는 효모가 같기 때문이죠.

그러나 누룩에는 아주 많은 양의 야생효모가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효모에 의해 다양한 풍미를 가진 술이 만들어지게 되죠. 자유게시판에 프랑스의 와인에 관한 글을 올렸는데요. 우리술도 이전에는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진 술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술약을 사용하면서 양조장의 술들이 거의 비슷한 맛을 가진 술로 단순화 되어 버렸습니다. 물론 식품첨가물을 혼합하여 다양한 맛을 내는데, 이것은 술 본래의 맛이 아닌 만들어낸 맛이 되는 것입니다.

술독에서 주장하는 것은 양조장에서 모두 술약을 이용해서 술을 만드는데, 일반가정에서 좋은 술을 빚기 위해 만드는 술을 꼭 술약을 통해서 만들어야 하냐.. 옛 방법으로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는데, 술약으로 술을 만들거면 마트에서 사먹으면 더 편한데 .... 뭐.. 이런 것입니다.^^

술약대신 -> 야생효모를 증식시킨 주모(밑술)을 -> 증식시킨 밑술에 고두밥이나 곡물을 한 번 더 넣어 준다 하여 덧술이 되는 것입니다.

밑술(효모증식) -> 덧술(증식된 효모를 이용 알코올 생성)

酒人

2006.12.28 08:38:00
*.188.87.34

글을 쓰는 과정에서 댓글을 다셔서.. 제가 밑으로 와버렸네요.^^

잘 지적해 주셨습니다.

한 번에 하는 술은 술의 실패율이 많은데요. 그 이유는 누룩에 있는 소량의 효모로는 충분한 발효를 일으키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양주(한 번만 빚는 술)를 빚을 때에는 소량의 주모(밑술)를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혼합하는 것을 오래해 주어 공기를 주입하여 효모의 증식을 돕는 것도 좋습니다. 발효가 일어나면 공기가 밖으로 밀려나고 술독 안에는 이산화탄소만 가득차게 되는데 그러면 이때부터 효모는 증식을 멈추고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게 됩니다.

제가 술을 처음 빚는 사람들에게 "초일주"를 빚어 보시라고 하는 것은 동동주(단양주)보다 술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한 번에 빚으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술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량의 주모를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술을 빚을 때 꺼내어 사용하면 술약을 대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좀 귀찮더라도 한 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엔 술을 빚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김창준

2006.12.28 11:10:44
*.194.229.19

감사합니다^^* 이제 슬슬 이해가 되어집니다요^^
열심히 공부하겟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마늘주 시험-밋술과정 [1]

마늘주를 담아보았습니다. 마늘주 담그기 시험 재료 밋술(2월 8일) : 맵쌀가루 500g, 대추 100g, 감초 10g, 쑥 10g, 물 3L 1차덧술(2월 10일) : 맵쌀가루 500g, 끓인 물 2L 2차덧술(2월 11일) : 맵쌀 2Kg, 마늘 300g 가. 밋술과정(사진설명) 1. 맵쌀 1Kg을 준...

  • 도사
  • 2009-02-10
  • 조회 수 4287

모든 것은 발효력이다. [2]

모든 것은 미생물이 결정한다. 술을 빚어 실패하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 단양주(한번빚는술)이거나 밑술이 잘못되어 더이상 술을 빚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단양주 술빚기가 쉽지 않은데, 그것은 처음부터 많은 양의 곡물을 분해시킬 수 있는 미생물의 ...

  • 酒人
  • 2006-03-28
  • 조회 수 4252

술 걸러도 되는건지 망설여져요

삼양주랑 당귀 이양주 담갔습니다 삼양주는 마지막 덧술하고 3주 지났고 이양주는 2주 지났어요 쌀은 삭은것같은데 위에 맑은술이 확실히 올라와있진 않고 살짝 살짝 보여요 괜찮은것같아 이제 거를까 싶었는데 맛을보니 쓴맛이 나네요 ㅜ 고두밥 넣기전에는 ...

  • ddk
  • 2020-03-30
  • 조회 수 4249

백화주를 빚어보았습니다! file

요즘 날씨가 술빚기 딱 좋은 날씨인것같아서 처음으로 백화주를 빚어보았어요. 처음 빚어보는데 어떤 맛이 날지 궁금합니다 ㅎㅎ 삼양주 레시피에 마지막에 백화를 켜켜이 쌓아서 넣었습니다. 밑술 1:3 (범벅) 덧술 1:3 (범벅) 덧술 5 (고두밥) + 백화 백화...

  • 줄리
  • 2016-10-23
  • 조회 수 4235

봇뜰에서 빚은 석탄주 file [1]

※석탄 주 (1) ◈밑술 : 2008년 12월 6일. 멥쌀가루2되(1.6kg), 물 10리터, 누룩: 송학 500g, 백곡 500g. ◈덧술 : 2008년 12월 8일. 찹쌀 8kg. ※석탄 주 (2) ◈밑술 : 2008년 12월 12일. 멥쌀가루2되(1.6kg), 물 10리터, 누룩: 부산 500g, 백곡 500g. ◈덧술 : 20...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4230

해양 심층수로 탁주 만들기 [3]

요즘 바다 깊은 곳에서 채취한 해양심층수가 발효촉진을 도와 효모의 활성을 높여준다고 해서 .... 궁금해서 한번 해보기로 했습니다. 정말 해양 심층수로 하면 달라지는게 있을까?? 시중에 나와있는 해양심층수를 사용한 주류들.. 과연 그들은 얼마만큼의 해...

애주(艾酒) 빚기 file

삼양주로 애주를 빚었습니다. 마지막 덧술했던 과정만 사진으로 올립니다^^ 그러고보니, 술이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는 확인해야지요. ​ 덧술한지 이틀 후의 모습입니다. 고두밥이 꽤 많이 들어갔는데요, 덧술한지 하루 후에는 호화가 될런지 걱정될...

  • 줄리
  • 2016-05-16
  • 조회 수 4204

<b>술의 성공률 높이기 - 죽과 범벅</b>

죽과 범벅을 알자 죽이 퍼진 것이라면 범벅은 덜 퍼진 것이라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죽이나 범벅 모두 다 쌀 가루에 뜨거운 물을 섞어 만들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두 가지 제조법으로 밑술(덧술을 빚기 전 술)을 하게 되면 큰 차...

  • 酒人
  • 2006-07-24
  • 조회 수 4183

<b>일기 형식으로 쓴 술 빚는 과정</b> [2]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올립니다. ^^ 술이 빚는 과정 술을 만들기 위해서 쌀과 누룩을 준비했다. 물은 따로 준비할 필요없이 수도물을 끓여 사용할 생각이며, 술 18리터 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쌀의 양과 물의 양을 조절했다. 밑술은 범벅으로 만들 생각...

  • 酒人
  • 2006-06-07
  • 조회 수 4164

설날에 장미술을 빚다. [2]

설날에 차례를 지내고 기 쌀가루가 있어 술을 빚기로 하였다. 여직 술은 많이 빚어 왔지만 명주다운 명주를 빚지 못하였기에 설날 마음을 가다듬고 신선한 기분으로 빚기로 하였다. 특히 이번 술은 설날에 빚는 술이니만치 가능하면 오래두어 깊은 맛과 좋은 ...

<b>삼양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b>

삼양주란? 술이 완성되기 전까지 세 번에 걸쳐 곡물을 혼합하여 빚는 술로서 밑술과 덧술에 이어 덧술에 한번 더 덧하여 빚는 술을 삼양주라고 한다. (예, 한 번 빚는 술=단양주,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술 = 이양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삼양주에는 삼해주,...

  • 酒人
  • 2007-01-03
  • 조회 수 4082

마지막 덧술을 끝내고......... file [1]

23일 마지막(2차) 덧술을 하였다. 맵쌀 9kg을 씻어서 술독이 작은 듯하여 1kg정도 덜어내고 밑술에 투입하고 1일 경과후에 보니 고두밥이 밋술을 모두 흡수해서 최대로 팽창하여 술독 입구 까지 올라왔다. 쌀을 모두 넣었으면 술이 넘쳐서 한바탕 큰 행사를 ...

  • 도사
  • 2009-04-24
  • 조회 수 4074

<b>*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높은 술</b>

*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높은 술 지난번에는 달면서 알코올 도수는 낮은 술에대해 공부했는데요. 이번에는 달면서도 알코올 도수까지 높은 술에 대해 공부해 보기로 하죠. 단맛이 나면서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밑술의 상태와 술...

  • 酒人
  • 2006-12-12
  • 조회 수 4015

석탄주 재도전기 2 file [1]

덧술 한지 거의 10일이 다되어 갑니다. 실내 온도는 22도 정도가 유지되고 있고 사진에서 처럼 끝부분에 술이 올라올 기미가 생길 듯 말듯 하네요. 이번 석탄주 맛을 어떨지 궁금중이 생깁니다. 지난 번 맛보다 나을런지 아무튼 기대됩니다.

실패기 - 덧술 시기를 놓쳐 생긴 일 [1]

안녕하세요. 설날에 먹을 호산춘을 담그려다가 실패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덧술 시기를 놓쳐 버려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가 빚은 술이 호산춘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그냥 중양주를 담그려고 했는데 술이 시어 버려 소주로 만들어야 될듯합니다. 제...

<b>급수율에 따른 술 맛의 변화</b>

급수율에 따른 술 맛의 변화 양조장의 술과 우리가 빚는(일반 가정에서)술의 가장 큰 차이점은 “팔기 위해 만드는 술”과 “내가 먹고자 하는 술”로 요약할 수 있다. 팔기 위해 만드는 술은 물의 양을 늘리게 되어 전체 술 양을 많게 한다. 그러니 술의 맛이 밍...

  • 酒人
  • 2007-04-08
  • 조회 수 3981

<b>가장 쉬운 술 빚기와 가장 어려운 술 빚기</b>

가장 쉬운 술과 가장 어려운 술 빚기 사실, 술 빚기 위해서는 많은 힘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쉽다, 쉽지 않다라고 판단해 버리는 것은 잘못이라 생각하고요. 얼마나 자신에게 맞는 술을 만드냐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맘대로 빚으세요....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3975

봇뜰에서 빚은 삼양주 file

※삼양주 ◈밑술 : 2008년 11월 28일. 오후8시 멥쌀 4되 3.2kg(가루), 누룩 4되 2kg, 물 12리터, ◈덧술(1) : 2008년 12월 1일. 오후6시 멥쌀 4되 3.2kg(가루), 물 13리터. ◈덧술 : 2008년 12월 4일. 찹쌀 16kg (2말) 고두밥. *위 사진은 밑술 사진입니다. *봇뜰...

  • 봇뜰
  • 2008-12-23
  • 조회 수 3926

<b>호산춘 술덧의 변화(사진)</b> file

1번 사진은 지난 1월 31일날 찍은 사진, 2번 사진은 2월 5일날 찍은 사진입니다. 빨간 점으로 된 부분을 보시면 2번 사진의 술덧이 많이 내려가 있다는 것을 쉽게 구별할 수 있죠. 시간이 지날수록 술덧은 밑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그리고 밑에 있던 맑은 술...

  • 酒人
  • 2007-02-05
  • 조회 수 3920

<b>이양주의 실패와 삼양주의 성공</b>

이양주(밑술, 덧술)를 빚을 때는 매일 신맛때문에 고민하던 분들이 삼양주(이양주에 한 번 더 덧함)를 빚으면 신맛이 사라지고 맛이 좋은 술이 만들어 진다고 하는데요. 왜 이양주에서는 특별한 오염이 없는데도 신맛이 많이 나고 삼양주에서는 신맛 없이도 단...

  • 酒人
  • 2007-03-14
  • 조회 수 39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