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의 궁금증^^

조회 수 3403 추천 수 38 2006.12.28 07:20:44
어머니께서 농주(막걸리)를 만들던 모습이 떠 오르는데요
고두밥을 쪄서 식힌 후 누룩과 잘 섞어서 단지(독)에 넣고
적당량 물(좀 따뜻한 물이었던거 같습니다)을 부은 후
단지를 이불로 싸서 방안에 놓아 두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이곳에서는 술을 담글 때 술약이라는(뭔지 잘 모르지만 조그마한 병에 알갱이로 된 것이 들어 있었습니다) 약을 꼭 넣은 것으로 기억 되는데
이곳에서는 술약 이야기는 전혀 나오질 않네요^^

술약이란 것이 효모제일까요?
누룩만 넣으면 술약은 넣지 않아도 되는지요?

그리고 밑술이랑 덧술 이야기도 이곳에서 처음으로 접합니다
너무 초보가 건방지게 게시판에 글을 올렸나요?

죄송합니다
그래도 궁금한걸 어쩐다요 ㅎㅎㅎ

김창준

2006.12.28 08:26:35
*.199.36.238

아하~ 대충은 감이 잡히네요^^ 밑술을 담그는 것이 술약을 대신한다는 말씀이군요^^ 그런데요 밑술을 담그지 않고 한번에 하는 술에는 술약이 필요한건가요? 제가 너무 무식하죠? ㅎ

酒人

2006.12.28 08:30:10
*.188.87.34

안녕하세요. 김창준님~^^

글 안에 답이 있습니다. 먼저, 술약이라는 것은 말씀하신데로 효모를 말합니다. 그 시절에 누룩은 단지 발효제로서 쌀의 전분을 당으로 바꿔주는 역활이었기 때문에 술약(효모)을 넣어 만들어진 당에서 알코올을 만들게 된 것이죠.

그러나 일본넘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술약이라는 것이 없었어요. 대신 밑술(주모)이라는 것을 이용했는데요. 밑술(주모)은 누룩에 있는 소량의 효모를 배양해 놓은 것입니다.

즉, 누룩에 야생효모 1개가 있다면 이것을 1000개, 10000개로 증식시켜 놓은 것입니다. 이것을 주모 또는 이양주에서는 밑술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밑술을 이용해서 대량으로 효모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배양 건조시킨 효모 덩어리(술약)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럼 술약을 사용해도 좋지 않느냐..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요. 물론 사용해도 됩니다. 그러나 술약이라는 것이 특정한 효모를 배양건조시킨 것으로 술을 빚으면 거의 비슷한 맛을 만들게 됩니다. 알코올발효(당->알코올)를 하는 효모가 같기 때문이죠.

그러나 누룩에는 아주 많은 양의 야생효모가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효모에 의해 다양한 풍미를 가진 술이 만들어지게 되죠. 자유게시판에 프랑스의 와인에 관한 글을 올렸는데요. 우리술도 이전에는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진 술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술약을 사용하면서 양조장의 술들이 거의 비슷한 맛을 가진 술로 단순화 되어 버렸습니다. 물론 식품첨가물을 혼합하여 다양한 맛을 내는데, 이것은 술 본래의 맛이 아닌 만들어낸 맛이 되는 것입니다.

술독에서 주장하는 것은 양조장에서 모두 술약을 이용해서 술을 만드는데, 일반가정에서 좋은 술을 빚기 위해 만드는 술을 꼭 술약을 통해서 만들어야 하냐.. 옛 방법으로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는데, 술약으로 술을 만들거면 마트에서 사먹으면 더 편한데 .... 뭐.. 이런 것입니다.^^

술약대신 -> 야생효모를 증식시킨 주모(밑술)을 -> 증식시킨 밑술에 고두밥이나 곡물을 한 번 더 넣어 준다 하여 덧술이 되는 것입니다.

밑술(효모증식) -> 덧술(증식된 효모를 이용 알코올 생성)

酒人

2006.12.28 08:38:00
*.188.87.34

글을 쓰는 과정에서 댓글을 다셔서.. 제가 밑으로 와버렸네요.^^

잘 지적해 주셨습니다.

한 번에 하는 술은 술의 실패율이 많은데요. 그 이유는 누룩에 있는 소량의 효모로는 충분한 발효를 일으키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양주(한 번만 빚는 술)를 빚을 때에는 소량의 주모(밑술)를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혼합하는 것을 오래해 주어 공기를 주입하여 효모의 증식을 돕는 것도 좋습니다. 발효가 일어나면 공기가 밖으로 밀려나고 술독 안에는 이산화탄소만 가득차게 되는데 그러면 이때부터 효모는 증식을 멈추고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게 됩니다.

제가 술을 처음 빚는 사람들에게 "초일주"를 빚어 보시라고 하는 것은 동동주(단양주)보다 술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한 번에 빚으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술의 실패율이 높아지고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량의 주모를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술을 빚을 때 꺼내어 사용하면 술약을 대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좀 귀찮더라도 한 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엔 술을 빚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김창준

2006.12.28 11:10:44
*.194.229.19

감사합니다^^* 이제 슬슬 이해가 되어집니다요^^
열심히 공부하겟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더블엑스의 왕초보 술 이야기~ [2]

단양주는 성공해서 냉장보관하고 놀러온 친구들에게 맛을 선보이고 있는중입니다...ㅋㅋ 그런데 1차로 걸러서 걸음망으로 짜서(용수사용안함) 냉장보관하고 찌게미로 다시 물을 찌게미 만큼 부어 2차로 걸러 볼려고 했으나 초냄새가 나서 다 버렸습니다..ㅜㅜ ...

<b>여름에 술 잘 빚기 </b>

여름에 빚는 술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를 가만히 두면 썩어 버립니다. 그것도 겨울이나 봄 보다 여름에 더 빨리 썩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죠. 여름이 겨울이나 봄 보다 공기 중에 “균”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술을 빚어 놓으면 겨울이나 봄,...

  • 酒人
  • 2008-06-30
  • 조회 수 3559

<b>효모의 생육곡선 이해하기</b> file [1]

좀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한 자료입니다. ^^ 1. 맨 위에 점선으로 된 파란 선은 "당도"입니다. 처음엔 당의 양이 많았다가 발효가 진행되면서(시간이 지나면서) 당의 양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이것은 효모(당->알코올)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생...

  • 酒人
  • 2008-07-11
  • 조회 수 5664

<b>송령(솔방울)주 - 고문헌 자료</b> file [3]

1600년대 속 송령주 제조법 1600년대 말 "주방문"과 1700년대 "술만드는법", "양주방"에는 각각 한 가지의 송령주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1700년대 술만드는법에 기록된 제조법으로 솔방울을 달여 그 달인 것을 이용해 술을 빚는 방...

  • 酒人
  • 2008-07-19
  • 조회 수 4613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

  • 酒人
  • 2008-07-27
  • 조회 수 3537

추석에 마실 술 빚기..1 file

주인님 레시피를 보고 따라해봤슴다... 양만 반으로 줄여서... 조금 불안불안.. 1차 밑술

  • 2008-08-14
  • 조회 수 3137

추석에 마실 술 빚기..2 file

1차 밑술 발효중인데.. 처음이라보니.. 잘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 없음...아놔~~

  • 2008-08-14
  • 조회 수 2920

추석에 마실 술 빚기..3 file

2차 밑술을 45시간후 했음다.. 시간계산이 맞겠죠???? 틀리면 우야노...

  • 2008-08-14
  • 조회 수 3335

추석에 마실 술 빚기..4 file [3]

고두밥+밑술1,2 후 옹기에 잘넣어둔 상태인데요.. 일단 밑술 2차 발효후 맛은 밍밍함... 향은 막걸리 냄새가... 지금 불안함이 가시질 않는것은... 1. 덧술시기가 좀 늦어진듯함.. 2. 아마도 제일 큰 이유... 쌀 1되는 쌀가루 약 1.5되 정도 되는거 같은데.. ...

  • 2008-08-14
  • 조회 수 3520

추석에 마실 술 빚기..5 file

10정도 지난 모습인데.. 아직 윗쪽에 술이 고여있지는 않습니다.. 잘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불안불안한데.. 언제쯤 위에 술이 고이나요?? 이미 고였어야 하나요??

  • 2008-08-22
  • 조회 수 2887

<b>걸죽한 술, 맑고 묽게 만드는 방법 </b> [3]

단점을 장점화 시키는 방법 - 걸죽한 술 묽고 맑게 만들기 우리술의 단점이라 말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걸죽함”입니다. 술을 마시거나 흔들어 보면 술이 걸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술에 당도가 높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물을 적게 사용했기 때...

  • 酒人
  • 2008-09-01
  • 조회 수 4422

추석에 마실 술 빚기..6 file [3]

술거르고 냉장 보관중... 첫날 마셨을때는 조금 신맛이 있었는데.. 3일 지난 오늘 마셔보니..신맛은 거의 안나고.. 맛있네요.. 우왕~~ 굳~^^ 3잔 마시고 기분 좋아라..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2008-09-04
  • 조회 수 2919

원하던 밑술의 완성 [1]

끓어 넘침이 일어난 후에 바로 동영상으로 촬영한 것입니다. ^^ 본 제조법은 밑술의 미생물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입니다. 제조 방법은 "자료실 - > 가양주학"에 올려 놓았습니다.

  • 酒人
  • 2008-09-19
  • 조회 수 3689

1주일째 끓고 있는 술

지난번에 동영상으로 보셨던 그 술을 이용해 계속해서 술을 빚었습니다. 약 5-6일 동안 미생물을 굶긴 후에 술을 빚은 것이라 애들이 힘이 좋아 아직까지 끓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술은 도수가 상당히 높은 청주가 완성되리라 보여집니다. 주모가 완성된 후에...

  • 酒人
  • 2008-09-30
  • 조회 수 3505

<b>가장 쉬운 술 빚기와 가장 어려운 술 빚기</b>

가장 쉬운 술과 가장 어려운 술 빚기 사실, 술 빚기 위해서는 많은 힘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쉽다, 쉽지 않다라고 판단해 버리는 것은 잘못이라 생각하고요. 얼마나 자신에게 맞는 술을 만드냐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맘대로 빚으세요....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4031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1)

오늘 아침 주인님께 전화로 SOS로 상담을 구한 뒤 말씀하신데로 고드밥을 쪄 발효통에 앉힌 후 허탈감에 젖어 있습니다. 비록 많은 수의 술을 빚지는 않았으나 6번째 술을 빚으면서 실패없이 술맛이 괜찮은 술을 빚어 왔는데 오늘 발효통을 열어 맛을 보고는 ...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2) [2]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요? - 물의 양이 잘못된 것일까요. 이전에는 멥쌀 4kg에 물을 6ℓ를 이용하여 범벅을 만들어었는데 상당히 뻑뻑하여 이번에는 2ℓ를 추가 하였는데 이것이 알콜을 더 희석시켜 잡균의 칩입케 했나요 그런데 한번도 발효통을 열지 않아 균이 ...

<b>햅쌀술을 빚어 보자.</b> [1]

햅쌀술을 빚어 보자. 요즘 햅쌀 아주 많이 나오죠. 햅쌀을 이용해서 술을 빚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올해 막 나온 햅쌀을 이용해서 술 빚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술 중에서 ‘청하’라고 있죠? 청하는 청주입니다. 이 술을 잘 보면 일반적으로 빚어지는 ...

  • 酒人
  • 2008-11-06
  • 조회 수 3310

삼백주 완성.. ^^ file [5]

10월 모임 가는날... 오전만 근무하고 보내준다는 고참의 말에.. 오케이 했건만.. 하루종일 일을 시키다니...ㅡ.ㅡ^ 미안하다며 평일 아무때나 쉬라고 해서.. 삼백주 거를시기에 맞춰 셨습니당... 항아리에 담고 김치냉장고에 넣으려고 했는데.. 이런.. 냉장...

  • 2008-11-06
  • 조회 수 3377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