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물

조회 수 3641 추천 수 39 2006.10.12 12:25:32
우리가 마시는 술은 사실 알코올 보다 물이 더 많습니다. 그쵸? 알코올 도수 20%라고 하는 것은 물 80%에 알코올 20%가 혼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술을 빚는데 있어서 물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입니다. 강남에서 빚는 술과 강북에서 빚는 술, 지하수를 이용하여 빚는 사람, 집 근처에 있는 약수물을 이용하는 사람 등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모두 다른데요. 당연히 물이 다르기 때문에 술의 맛도 달라집니다. 정확한 연구 결과를 여러분들에게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지만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술을 빚기 위해 사용하는 물 중에는 술 빚기에 좋은 물과 그렇지 않은 물이 있습니다. 발효에 필수적인 칼륨, 마그네슘, 등 무기질과 효소의 활동에 도움을 주는 칼슘, 염소 이 적당량 포함되어 있는 것은 발효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철이나 망간, 동 등의 중금속과 아질산, 암모니아, 유기물 등은 발효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물 속에 철 성분이 들어있는 물을 이용했을 경우 술의 색깔이 좋지 않고 향미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우리가 술을 빚을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쌀을 씻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쌀을 씻을 때 지하수 보다는 일반 수돗물을 많이 이용하기 되는데 이때 물에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가는 술의 맛과 향, 색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쌀을 씻는 동안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 성분들이 쌀에 흡수되고, 침지(쌀을 물에 담가 놓는 것)를 하는 것을 마치게 되면 약 25%-28%정도가 쌀에 흡수됩니다. 문제는 바로 여기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양조용수(술 빚을 때 사용하는 물)는 반드시 물을 끓여 사용하지만, 그 전에 쌀을 씻고 침지하는 동안 쌀에 흡수됐던 성분들은 나중에 발효 과정에서 액체와 혼합되게 되는 것입니다.

“물 맛이 좋아야 술 맛이 좋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수돗물에는 물에는 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데 소량은 술의 윤기와 맛을 좋게 하지만 많은 양의 염소는 살균력이 있어서 발효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염소는 물을 끓이는 동안 많이 사라지게 되어 상관없지만 그 이전에 쌀에 흡수되어 있는 성분들은 밥을 찌거나 익히는 과정에서도 쉽게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쌀을 씻고, 침지하는 물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 양조장에서는 다양한 화학 원료를 첨가하여 불 필요한 유해균이나 철 같은 것을 없애 버립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잖아요.^^ 일반 가정에서 이러한 것 까지 신경을 쓰면서 술을 빚을 수는 없습니다.

그럼 일반 가정에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물 맛이 좋다고 하는 곳에서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런 분들은 사실 행복한 것이지요.^^ 다음으로는, 쌀은 가능한 빨리 씻어 쌀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쌀을 침지할 때 사용하는 물은 끓여 식혀 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누가 이렇게 까지 신경을 쓰면서 술을 빚겠어요. ^^ 이러한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려 드리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물에 대해서는 많은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거의 끓여서 사용하니까요.

그러나 쌀을 씻거나 침지하는 동안 쌀에 흡수되는 물에 대해서는 사실 방관하고 있었습니다.  그 양이 얼마나 되겠냐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쌀 10리터를 물에 담가 놓으면 무려 2.5-2.8리터의 물이 흡수되는 것입니다. 결코 적은 양이 아닙니다. 25%가 넘으니까요.

일반 가정에서 이러한 것 까지 모두 신경을 쓰기에는 무리가 있구요. 제가 여러분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모르고 빚는 것 보다는 알고 빚는 것이 좋다.”라는 것 때문에 물과 관련된 글을 쓰는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의 가정에서 술을 빚는데 ‘다른 사람과 같은 방법으로 술을 빚는데, 술의 색이나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발효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생각이 든다면 ‘술 빚는다고 옆에서 뭐라뭐라해서 부정타서 술이 잘 안된다고 하지 마시고^^ 혹시, 우리 집에서 사용하는 물에 이상이 있지는 않을 까? 라는 생각을 해볼수도 있다는 점을 여러분께서 알고 계셨으면 하는 것입니다.

추신 : 글이 길면 재미 없는데…술 잘 빚으려면 읽어야죠 뭐..^^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날씨 좋다. 누룩 법제 중.^^

누룩은 옛 부터 약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누룩에 있는 효소가 음식물을 잘 소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죠. 오늘은 날씨가 따뜻해서 지난 3월에 만들어 놓았던 누룩을 꺼내 햇볕에 널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누룩을 좀 먹었죠. 어떤 맛일까요?^^ 아...

  • 酒人
  • 2007-04-23
  • 조회 수 2699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연락망

제 1기 회원 연락처입니다. 방화원 011-9712-8858 방소윤 010-9203-6721 신원철 011-213-4121 원삼규 011-205-3935 정해숙 011-9335-0152 이종인 010-4720-9292 홍필남 010-6236-7872 이승욱 018-292-4666 장혜숙 019-9220-9993 조용선 010-8292-4989 정선희 0...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702

제 1기 교육 참가회원 단체 사진입니다.^^ [6]

언제 이렇게 친해지셨는지,,,^^ 참가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이 공간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이니까요. 교육 중에 궁금했던 것을 질문해 주시면 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공간이 썰렁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 酒人
  • 2007-03-19
  • 조회 수 2705

오염현상이 [1]

오염현상이 해결되었어요 1차교육때 가져온 밑술 4일만에 1차덧술 오염없이 발효잘됨 4일만에2차덧술 향이아주좋아요

만전향주 [2]

위는 만전향주 덧술을 마친 상태입니다. 역시 색이 노랗습니다. 술이 익는기간동안 향 또한 기존의 누룩으로 익는 술보다 좋습니다. 아래는 완성된 만전향주입니다. 급한 마음에 미리 용수를 박는 바람에 용수가 떠버렸습니다. 그래서 나무로 막아 놨고요.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711

누룩이 어떻게 된건가요..... [1]

2번째 5번째는 약재 첨가한 누룩이고요 나머지는 그냥 만든 것인데 어떻게 된건지 잘 모르겠네요...

누룩 이야기 5 [2]

5. 일제하의 곡자 소수의 전업자를 제외하고 곡자의 제조는 대부분 농가의 부업이었으나 일제하의 주세법에서는 곡자의 제조도 면허제도로 되어 1927년에 김천개량곡자 조합이 생기게 되었다. 1930년 일본인이 쓴 종합농산 제조학 중 조선주에 나타나는 누룩에...

매달아 띠우는 누룩 [2]

문헌에 있는대로 고증한 경우 입니다. 제비쑥과 짚, 또는 종이나 닥나무 잎 도꼬마리 잎으로 감싸 매달아 띠우는 모습입니다.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729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현재 상태 [1]

1기 교육때 만든 주모의 상태입니다. 오늘이 19일이니 벌써 8일이나 지났네요 덧술은 안했습니다. 매일 매일 사진을 찍어놓았어야 하는데 지난주 좀 정신없이 지나가서 이제 겨우 사진 한 장 올립니다. 실내온도 20~22도 사이에 두었는데 그렇게 큰 오염은 없...

누룩 이야기 6

6. 현재의 발효제 현재는 종전의 곡자와 일본식 입국(粒麴)과 1960년대 이후 사용되고 있는 분곡류가 있으며, 1970년대 이후에는 조정제된 정제효소 또한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의 다양하고 우수했던 곡자를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고 시중에는 아...

누룩

위 사진은 종이봉지에 넣어 매달아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둥근 누룩을 짚을 갈고 띄우는 중이고요. 그런데 여러분들은 종이로 포장해 띄우는 것에 대해 궁금하실 것입니다. 위 솔잎이나, 마른 짚을 깔고 박스에 넣어서 띄우는 것과 종이에 담아 띄우는 방...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752

여러 누룩을 이용한 술 [4]

위쪽 사진은 각기 다른 누룩을 이용한 술들입니다. 왼쪽 위부터->만전향주, 신국주, 여국주 아래 왼쪽부터->흑미주, 춘란꽃술, 연엽주 위 세개는 직접 만든 누룩을 이용한 술이고 아래는 공장용 곡자로 만든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술이 맑지 않은 것도 ...

  • 최 원
  • 2007-04-02
  • 조회 수 2761

누룩

역시 위 사진은 둥글게 성형된 누룩을 솔잎에 감싸 띄우고 있습니다. 아래는 제비쑥으로 감싸서 띄우고 있습니다.

  • 최 원
  • 2007-04-07
  • 조회 수 2764

언제 덧술 하는가에 대한 요약정리된것도 부탁합니다 [1]

밑술 담근후 밑술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기 힘들었습니다 또 기왕이면 산막효모 흰곰팡이 흰거품등 이상징후에 대한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했습니다.

<b>이기려면, 기다려라..</b> [2]

이기려면, 기다려라.. 2002년 월드컵 4강의 주인공 골키퍼 이운재 선수의 자서전 제목입니다.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겠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을 빚고 나서 안절부절 합니다. 술독의 술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

  • 酒人
  • 2006-12-22
  • 조회 수 2827

<b>1450년대 <산가요록> 양국법<良麴法></b>

1450년대 1. 양국법 : 좋은 누룩 만드는 법 만드는 시기 : 삼복(三伏) 초복 : 기울 1말, 녹두 1되 중복 : 기울 1말, 녹두 2되 말복 : 기울 1말, 녹두 3되 녹두 처리법 1. 1. 녹두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 불린다. 2. 찜기를 이용해 녹두를 찐다. 녹두 처리법 ...

  • 酒人
  • 2007-04-02
  • 조회 수 2842

누룩 이야기 2

2. 삼국시대 및 신라시대의 누룩 중국문헌「유양잡조」의 주식편에 낙랑주법이란 말이 나오는 것을 봐서는 낙랑시대엔 술빚기의 체계가 이미 서 있었던 것 같다.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 의하면 수수보리에 의해 백제의 누룩과 술을 빚는 법이 일본에 전해졌...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 술 빚기 이렇게 하면 좋다. 봄에는 매화나 진달래, 아카시아 꽃 등 향기가 좋은 꽃들이 많고요. 쑥이나 봄에 나는 나물을 이용해서 약술을 빚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꽃 술과 봄에 나는 약술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술을 빚고, 어떻게 온도...

  • 酒人
  • 2008-03-05
  • 조회 수 2868

현재 누룩의 상태를 알려주세요 [6]

누룩 교실에서 만들었던 누룩을 지금 숙성시키고 있는데 오늘이 나흘째 되는 날이 건만 누룩이 따뜻해 지지 않는 것 같은데.. 집안 온도는 20도 근방이고 겨울 옷(오리털 점퍼)으로 잘 덮어 두었는데.. 다른 분들은 누룩이 잘 익어(?) 가는지 궁금합니다. 약간...

초보 회원 초일주 따라하기 4 file [1]

12월 1일 월요일 밤에 초일주 덧술은 한지 3일이 지났습니다. 보관된 곳의 온도는 21도 내외이며 우려와는 달리 술이 상한 것 같지는 않으며 잘 발효되고 있는 듯합니다. 휴지를 꼬아 만든 실에 불을 당겨서 술독에 넣으니 바로 불이 꺼져 버립니다. 위 사진...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