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일기 형식으로 쓴 술 빚는 과정</b>

조회 수 4502 추천 수 44 2006.06.07 16:34:06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올립니다. ^^


술이 빚는 과정


술을 만들기 위해서 쌀과 누룩을 준비했다. 물은 따로 준비할 필요없이 수도물을 끓여 사용할 생각이며, 술 18리터 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쌀의 양과 물의 양을 조절했다.

밑술은 범벅으로 만들 생각이다. 먼저 멥쌀가루 1.6kg을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담갔다가 방앗간에서 소금기 없이 곱게 가루냈다.

물 9리터를 팔팔끓여 쌀가루에 조금씩 부어 죽처럼 만들었다. 최대한 멍울이 지지 않게 섞어주고 범벅을 식혀주기 위해서 넓은 통에 찬물을 받고 그 위에 만들어 놓은 범벅을 올려 놓아 식혔다.

그동안 버무린 술덧(누룩+범벅)을 담을 항아리와 바가지, 주걱등을 뜨거운 물로 소독한 후에 마른 천으로 물기를 닦아 놓았다.

범벅이 다 식어서 누룩 800g을 넣어 30분 정도 고르게 섞어 주었다. 누룩 덩어리가 완전히 풀린 후에 밑술 담을 항아리를 옆에 갖다 놓고 작은 바가지를 이용해 술덧을 항아리에 조심히 담았다.

그릇에 남아있는 술덧은 깔끔이 주걱을 이용해서 모두 항아리에 넣고 항아리 주변에 묻은 술덧들은 마른 천을 이용해서 깨끗이 닦아 준 다음에 항아리 입구를 깨끗한 천으로 덮고 항아리 뚜껑을 덮었다.

햇볕이 들지 않는 방 한쪽에 항아리 받침대를 놓고 그 위에 항아리를 올려 놓았다. 항아리 온도가 높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쌈은 하지 않았다.

36시간 후에 술독 뚜껑을 열어보니 술 표면에 이상이 없이 발효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보였다. 좀 더 시원한 곳에 항아리를 갖다 놓았다. 하루정도 후에 덧술을 할 생각이다.

덧술 빚을 당일날 아침, 찹쌀 6.4kg을 깨끗이 씻어 물에 3시간 정도 담갔다가 시루에 올렸다. 40분 정도 지나니 시루 위로 증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 상태로 30분 정도 더 가열 한 후에 쌀 상태를 확인하니 잘 익은 것 같다.

주걱을 이용해서 잘 섞어 준 후에 더 가열시켜 새로 증기가 올라와서 불을 끄고 고두밥을 넓은 자리 위에 펴 놓았다. 날씨가 더워 잘 식지 않기 때문에 선풍기를 이용했다.

고두밥이 식는 동안 밑술과 덧술을 섞을 큰 그릇과 항아리를 소독시키고 마른 천으로 물기를 닦아 주었다.

큰 그릇에 식힌 고두밥을 넣고 그 위에 밑술을 천천히 부어 주었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손으로 천천히 40분 정도를 섞어주니 술덧에서 알코올 냄새가 나기 시작해서 버무리는 것을 멈췄다.

항아리를 옆에 갖다 놓고 술덧을 항아리에 조심히 넣었다. 항아리에 묻은 술덧은 잘 닦아 내고 깨끗한 천으로 항아리 뚜껑을 덮어 주었다.

밑술과 마찬가지로 밑술을 발효시켰던 곳에 받침대를 놓고 항아리를 놓았다. 밑술 상태가 좋아서 술은 잘 될 것 같다.

36시간 후에 술독 뚜껑을 열어보니 술 표면에 이상이 없고, 발효가 잘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술독 뚜껑을 열어 놓고 좀 더 시원한 곳으로 항아리를 옮겼다. 그런데 오늘 날씨가 더워 더이상 찬 곳이 없다. 그래서 덧술을 버무렸던 넓은 그릇에 찬물을 넣고 그 위에 항아리를 넣어 놓았다.

3일 후에 찬물을 갈아주고 다시 몇일 후에 물을 버리고 찬물로 바꿔 주었다.

이렇게 14일 정도 지나니 술독 주변에 술 벌레들이 생기기 시작한다. 발효가 끝난 것이다.

3일 정도 더 지나니 술덧 표면에 술이 고이기 시작해서 한복집에서 구입한 시야로 술을 걸렀다. 술 맛은 달콤하고 독하여 더이상 산패의 염려는 없어 보인다.

술 18리터를 생수통에 넣어 냉장고에 넣어 두고, 1주일 정도 지나면 위에 맑은 청주가 생긴다. 그 청주를 따로 받아 놓고 밑에 있는 탁주는 물을 섞지 않고 조금씩 마신다.

김정옥

2006.06.09 12:53:07
*.228.15.81

더워지는 날씨에 술빚기를 정성으로 하셨네요. 또 글로 자세하게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덧술 하실때는 용수와 누룩을 사용하시지 않으셨는지요.
18리터는 가라앉힌 청주가 아니라 채주시 전채를 뜻하시는 건가요. 저는 어쩌다 술을 빚어보지만 술양이 그리 많이 나오지 않는것 같아서요.

酒人

2006.06.09 20:23:10
*.61.225.79

김정옥님 안녕하세요^^

소곡주 견학은 잘 다녀오셨는지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술이라 궁금했습니다.

덧술할때는 누룩도 용수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밑술의 발효상태가 좋기 때문에 덧술에 누룩을 넣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밑술 상태가 썻 좋지 못하면 100g 정도의 누룩을 넣어 주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겨울 이외에는 용수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자칫 술과 공기가 접촉하여 술 맛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자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겨울에는 술의 맛이나 산패의 걱정이 없어서 용수를 사용해 청주를 많이 얻는 편입니다.

18리터는 말씀하신데로 청주가 아닌 탁주입니다. 밑술이 잘 되면 술 양을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밑술을 보쌈하지 않고 따뜻할때까지 기다려서는 좋은 밑술을 만들 수 없습니다.

이것만 주의하시면 많은 양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7-8월에는 술독 누룩만들기 행사가 있을 예정입니다. 그때 뵙길 기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더블엑스의 왕초보 술 이야기~ [2]

단양주는 성공해서 냉장보관하고 놀러온 친구들에게 맛을 선보이고 있는중입니다...ㅋㅋ 그런데 1차로 걸러서 걸음망으로 짜서(용수사용안함) 냉장보관하고 찌게미로 다시 물을 찌게미 만큼 부어 2차로 걸러 볼려고 했으나 초냄새가 나서 다 버렸습니다..ㅜㅜ ...

<b>여름에 술 잘 빚기 </b>

여름에 빚는 술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를 가만히 두면 썩어 버립니다. 그것도 겨울이나 봄 보다 여름에 더 빨리 썩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죠. 여름이 겨울이나 봄 보다 공기 중에 “균”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술을 빚어 놓으면 겨울이나 봄,...

  • 酒人
  • 2008-06-30
  • 조회 수 3828

<b>효모의 생육곡선 이해하기</b> file [1]

좀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한 자료입니다. ^^ 1. 맨 위에 점선으로 된 파란 선은 "당도"입니다. 처음엔 당의 양이 많았다가 발효가 진행되면서(시간이 지나면서) 당의 양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이것은 효모(당->알코올)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생...

  • 酒人
  • 2008-07-11
  • 조회 수 5987

<b>송령(솔방울)주 - 고문헌 자료</b> file [3]

1600년대 속 송령주 제조법 1600년대 말 "주방문"과 1700년대 "술만드는법", "양주방"에는 각각 한 가지의 송령주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1700년대 술만드는법에 기록된 제조법으로 솔방울을 달여 그 달인 것을 이용해 술을 빚는 방...

  • 酒人
  • 2008-07-19
  • 조회 수 4876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

  • 酒人
  • 2008-07-27
  • 조회 수 3805

추석에 마실 술 빚기..1 file

주인님 레시피를 보고 따라해봤슴다... 양만 반으로 줄여서... 조금 불안불안.. 1차 밑술

  • 2008-08-14
  • 조회 수 3401

추석에 마실 술 빚기..2 file

1차 밑술 발효중인데.. 처음이라보니.. 잘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 없음...아놔~~

  • 2008-08-14
  • 조회 수 3189

추석에 마실 술 빚기..3 file

2차 밑술을 45시간후 했음다.. 시간계산이 맞겠죠???? 틀리면 우야노...

  • 2008-08-14
  • 조회 수 3579

추석에 마실 술 빚기..4 file [3]

고두밥+밑술1,2 후 옹기에 잘넣어둔 상태인데요.. 일단 밑술 2차 발효후 맛은 밍밍함... 향은 막걸리 냄새가... 지금 불안함이 가시질 않는것은... 1. 덧술시기가 좀 늦어진듯함.. 2. 아마도 제일 큰 이유... 쌀 1되는 쌀가루 약 1.5되 정도 되는거 같은데.. ...

  • 2008-08-14
  • 조회 수 3804

추석에 마실 술 빚기..5 file

10정도 지난 모습인데.. 아직 윗쪽에 술이 고여있지는 않습니다.. 잘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불안불안한데.. 언제쯤 위에 술이 고이나요?? 이미 고였어야 하나요??

  • 2008-08-22
  • 조회 수 3165

<b>걸죽한 술, 맑고 묽게 만드는 방법 </b> [3]

단점을 장점화 시키는 방법 - 걸죽한 술 묽고 맑게 만들기 우리술의 단점이라 말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걸죽함”입니다. 술을 마시거나 흔들어 보면 술이 걸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술에 당도가 높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물을 적게 사용했기 때...

  • 酒人
  • 2008-09-01
  • 조회 수 4702

추석에 마실 술 빚기..6 file [3]

술거르고 냉장 보관중... 첫날 마셨을때는 조금 신맛이 있었는데.. 3일 지난 오늘 마셔보니..신맛은 거의 안나고.. 맛있네요.. 우왕~~ 굳~^^ 3잔 마시고 기분 좋아라..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2008-09-04
  • 조회 수 3186

원하던 밑술의 완성 [1]

끓어 넘침이 일어난 후에 바로 동영상으로 촬영한 것입니다. ^^ 본 제조법은 밑술의 미생물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입니다. 제조 방법은 "자료실 - > 가양주학"에 올려 놓았습니다.

  • 酒人
  • 2008-09-19
  • 조회 수 3976

1주일째 끓고 있는 술

지난번에 동영상으로 보셨던 그 술을 이용해 계속해서 술을 빚었습니다. 약 5-6일 동안 미생물을 굶긴 후에 술을 빚은 것이라 애들이 힘이 좋아 아직까지 끓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술은 도수가 상당히 높은 청주가 완성되리라 보여집니다. 주모가 완성된 후에...

  • 酒人
  • 2008-09-30
  • 조회 수 3787

<b>가장 쉬운 술 빚기와 가장 어려운 술 빚기</b>

가장 쉬운 술과 가장 어려운 술 빚기 사실, 술 빚기 위해서는 많은 힘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쉽다, 쉽지 않다라고 판단해 버리는 것은 잘못이라 생각하고요. 얼마나 자신에게 맞는 술을 만드냐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맘대로 빚으세요....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4289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1)

오늘 아침 주인님께 전화로 SOS로 상담을 구한 뒤 말씀하신데로 고드밥을 쪄 발효통에 앉힌 후 허탈감에 젖어 있습니다. 비록 많은 수의 술을 빚지는 않았으나 6번째 술을 빚으면서 실패없이 술맛이 괜찮은 술을 빚어 왔는데 오늘 발효통을 열어 맛을 보고는 ...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2) [2]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요? - 물의 양이 잘못된 것일까요. 이전에는 멥쌀 4kg에 물을 6ℓ를 이용하여 범벅을 만들어었는데 상당히 뻑뻑하여 이번에는 2ℓ를 추가 하였는데 이것이 알콜을 더 희석시켜 잡균의 칩입케 했나요 그런데 한번도 발효통을 열지 않아 균이 ...

<b>햅쌀술을 빚어 보자.</b> [1]

햅쌀술을 빚어 보자. 요즘 햅쌀 아주 많이 나오죠. 햅쌀을 이용해서 술을 빚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올해 막 나온 햅쌀을 이용해서 술 빚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술 중에서 ‘청하’라고 있죠? 청하는 청주입니다. 이 술을 잘 보면 일반적으로 빚어지는 ...

  • 酒人
  • 2008-11-06
  • 조회 수 3589

삼백주 완성.. ^^ file [5]

10월 모임 가는날... 오전만 근무하고 보내준다는 고참의 말에.. 오케이 했건만.. 하루종일 일을 시키다니...ㅡ.ㅡ^ 미안하다며 평일 아무때나 쉬라고 해서.. 삼백주 거를시기에 맞춰 셨습니당... 항아리에 담고 김치냉장고에 넣으려고 했는데.. 이런.. 냉장...

  • 2008-11-06
  • 조회 수 3671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