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발효력이다.

조회 수 4248 추천 수 43 2006.03.28 00:21:59

모든 것은 미생물이 결정한다.



술을 빚어 실패하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 단양주(한번빚는술)이거나 밑술이 잘못되어 더이상 술을 빚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단양주 술빚기가 쉽지 않은데, 그것은 처음부터 많은 양의 곡물을 분해시킬 수 있는 미생물의 수와 그 미생물 하나 하나가 가지고 있는 힘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곧 잡균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여 술을 변질시키게 됩니다.

그럼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술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까!

술이 잘 되지 않는 이유를 반대로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즉, 미생물의 수를 늘리고 그 미생물 하나 하나가 가지고 있는 힘을 키워주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알코올 생성이 빨라지게 되어 술이 안전한 계도에 오를때까지 잡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1.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

서김, 밑술, 부본, 주모 등이 바로 미생물의 수, 특히 효모의 증식을 통해 술을 안정적으로 발효시키게 만드는 역활을 하는 제조법입니다. 이러한 제조법의 공통점은 술을 빚을 때, "곡물의 가루"를 사용하고, "가루를 익히"고, "물을 적게 사용"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곡물을 가루내고 익혀 사용하는 이유는 술빚기 초기 누룩 속에는 미생물의 수가 적고 힘이 약하기 때문에 그들(미생물)이 잘 소화할 수 있도록 가루로 만들어 주고, 더 잘 소화할 수 있도록 이 가루를 익혀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태어난지 얼마 안된 아이에게 밥부터 먹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또, 물을 적게 사용하는 이유는 '만들어지는 알코올에 비해 물의 양이 많으면 전체적인 알코올 도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초산발효와 잡균의 침입을 막을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을 적게 사용하여 전체적인 알코올 도수를 높여 침입하려는 잡균을 막아 술의 안정적 발효를 돕는 것입니다.

2. 미생물의 힘을 키운다.

미생물의 힘이란 곧 "발효력"을 말합니다. 미생물의 수를 늘리는 것은 앞에 설명을 하였고, 여기서는 어떻게 하면 좋은 미생물로 술을 빚을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누룩 속의 미생물은 자연에서 오는 것입니다. 공기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누룩(미생물의 집)에 모여들어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즉, 누룩이 좋으면 누룩 속에 살아가는 미생물도 건강하게 되는 것입니다.

집안이 더러운데 사람 몸이 건강하겠습니까..^^

아쉽게도 일반가정에서 누룩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힘이 듭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누룩을 어떻게 만들어라는 생략하고 구입한 누룩을 잘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첫째, 시장에서 구입하는 누룩

시장에서 팔고 있는 누룩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공장에 찍어낸 것이니 이런 것은 절대 구입하지 마세요.  둘째는 넓게 만든 누룩이 있는데, 자세히 보면 반질반질한게 있고, 누룩 한쪽면에 볕짚이 있었던 자국이 남아있는 누룩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볕짚 자국이 남아 있는 것을 고르면 좋습니다.

둘째, 누룩을 구입하였다면..

누룩을 사왔는데 어떻게 보관할까.. 물론 잘 보관하면 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누룩을 구입해서 바로 사용하기 때문에 누룩의 보관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다만, 오래 보관할 수 밖에 없는 경우인데요.

이럴 경우에는 작은 항아리가 있으면 그곳에 넣어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두고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습기가 많은 곳을 피하세요. 누룩이 썩을 수 있습니다.

셋째, 술을 빚을 때

술을 빚으면서 누룩을 넣을 때 바로 누룩을 꺼내 넣지 말고, 하루 전에 사용할 만큼의 누룩을 꺼내어 햇볕에 내 놓았다가 누룩의 잡냄새를 제거하여 사용해야 술에서 누룩 잡냄새를 없앨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법제'라 합니다.

공기가 좋은 곳이면 몇일동안 꺼내놓아도 좋지만, 차가 많이 다니는 도시에에 있는 분들은 오랫동안 꺼내 놓지 말고, 바람이 잘 부는 곳에 놓아 잡냄새를 제거하고 사용합니다.


발효 초기에는 이러한 미생물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사람은 더러운 곳에서도 얼마 동안은 살 수 있지만  미생물(술에 필요한 미생물)은 더러운 곳을 아주 싫어합니다. 그냥 죽어버리죠.^^ 왕 대접을 받으려고 하죠. 또, 왕 대접을 해 줘야 좋은 술이 나옵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박관수

2006.04.12 08:46:06
*.104.141.198

깊이새겨 두겠읍니다

청양주가

2009.07.18 23:59:52
*.178.147.48

1번 내용 미생물의 수를 늘린다
- 정말 잘 이해가 됩니다.감사^^
그런데, 2번 내용의 전체적인 맥락은 이해가 가나
보관시, 항아리 뚜겅을 그냥 덮으면 되는지요?
또한 법제시 몇시간 정도 꺼내놓아야 하는지요

설명한 내용들 정말 주옥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올만에 빚은 술 [2]

한동안 술빚기를 눈으로 머리로만 했습니다. 올만에 술빚기를 해봅니다. 이번에 들어간 재료는 칡과 고구마 ,쌀 입니다. 국은 입국과 우리누룩을 같이 사용했구요. 신맛,쓴맛,단맛과 탄산맛 까지 적당히 어우러져 맛있습니다. 색깔은 카페오레 커피같기도 하...

삼백주 완성.. ^^ file [5]

10월 모임 가는날... 오전만 근무하고 보내준다는 고참의 말에.. 오케이 했건만.. 하루종일 일을 시키다니...ㅡ.ㅡ^ 미안하다며 평일 아무때나 쉬라고 해서.. 삼백주 거를시기에 맞춰 셨습니당... 항아리에 담고 김치냉장고에 넣으려고 했는데.. 이런.. 냉장...

  • 2008-11-06
  • 조회 수 3298

<b>햅쌀술을 빚어 보자.</b> [1]

햅쌀술을 빚어 보자. 요즘 햅쌀 아주 많이 나오죠. 햅쌀을 이용해서 술을 빚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올해 막 나온 햅쌀을 이용해서 술 빚는 방법을 알아 볼까요~~^^ 술 중에서 ‘청하’라고 있죠? 청하는 청주입니다. 이 술을 잘 보면 일반적으로 빚어지는 ...

  • 酒人
  • 2008-11-06
  • 조회 수 3258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2) [2]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요? - 물의 양이 잘못된 것일까요. 이전에는 멥쌀 4kg에 물을 6ℓ를 이용하여 범벅을 만들어었는데 상당히 뻑뻑하여 이번에는 2ℓ를 추가 하였는데 이것이 알콜을 더 희석시켜 잡균의 칩입케 했나요 그런데 한번도 발효통을 열지 않아 균이 ...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주인님께 자문을 청합니다.(1)

오늘 아침 주인님께 전화로 SOS로 상담을 구한 뒤 말씀하신데로 고드밥을 쪄 발효통에 앉힌 후 허탈감에 젖어 있습니다. 비록 많은 수의 술을 빚지는 않았으나 6번째 술을 빚으면서 실패없이 술맛이 괜찮은 술을 빚어 왔는데 오늘 발효통을 열어 맛을 보고는 ...

<b>가장 쉬운 술 빚기와 가장 어려운 술 빚기</b>

가장 쉬운 술과 가장 어려운 술 빚기 사실, 술 빚기 위해서는 많은 힘과 열정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쉽다, 쉽지 않다라고 판단해 버리는 것은 잘못이라 생각하고요. 얼마나 자신에게 맞는 술을 만드냐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맘대로 빚으세요....

  • 酒人
  • 2008-10-04
  • 조회 수 3971

1주일째 끓고 있는 술

지난번에 동영상으로 보셨던 그 술을 이용해 계속해서 술을 빚었습니다. 약 5-6일 동안 미생물을 굶긴 후에 술을 빚은 것이라 애들이 힘이 좋아 아직까지 끓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술은 도수가 상당히 높은 청주가 완성되리라 보여집니다. 주모가 완성된 후에...

  • 酒人
  • 2008-09-30
  • 조회 수 3444

원하던 밑술의 완성 [1]

끓어 넘침이 일어난 후에 바로 동영상으로 촬영한 것입니다. ^^ 본 제조법은 밑술의 미생물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입니다. 제조 방법은 "자료실 - > 가양주학"에 올려 놓았습니다.

  • 酒人
  • 2008-09-19
  • 조회 수 3641

추석에 마실 술 빚기..6 file [3]

술거르고 냉장 보관중... 첫날 마셨을때는 조금 신맛이 있었는데.. 3일 지난 오늘 마셔보니..신맛은 거의 안나고.. 맛있네요.. 우왕~~ 굳~^^ 3잔 마시고 기분 좋아라..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2008-09-04
  • 조회 수 2852

<b>걸죽한 술, 맑고 묽게 만드는 방법 </b> [3]

단점을 장점화 시키는 방법 - 걸죽한 술 묽고 맑게 만들기 우리술의 단점이라 말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걸죽함”입니다. 술을 마시거나 흔들어 보면 술이 걸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술에 당도가 높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물을 적게 사용했기 때...

  • 酒人
  • 2008-09-01
  • 조회 수 4350

추석에 마실 술 빚기..5 file

10정도 지난 모습인데.. 아직 윗쪽에 술이 고여있지는 않습니다.. 잘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불안불안한데.. 언제쯤 위에 술이 고이나요?? 이미 고였어야 하나요??

  • 2008-08-22
  • 조회 수 2819

추석에 마실 술 빚기..4 file [3]

고두밥+밑술1,2 후 옹기에 잘넣어둔 상태인데요.. 일단 밑술 2차 발효후 맛은 밍밍함... 향은 막걸리 냄새가... 지금 불안함이 가시질 않는것은... 1. 덧술시기가 좀 늦어진듯함.. 2. 아마도 제일 큰 이유... 쌀 1되는 쌀가루 약 1.5되 정도 되는거 같은데.. ...

  • 2008-08-14
  • 조회 수 3453

추석에 마실 술 빚기..3 file

2차 밑술을 45시간후 했음다.. 시간계산이 맞겠죠???? 틀리면 우야노...

  • 2008-08-14
  • 조회 수 3272

추석에 마실 술 빚기..2 file

1차 밑술 발효중인데.. 처음이라보니.. 잘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 없음...아놔~~

  • 2008-08-14
  • 조회 수 2863

추석에 마실 술 빚기..1 file

주인님 레시피를 보고 따라해봤슴다... 양만 반으로 줄여서... 조금 불안불안.. 1차 밑술

  • 2008-08-14
  • 조회 수 3088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

  • 酒人
  • 2008-07-27
  • 조회 수 3474

<b>송령(솔방울)주 - 고문헌 자료</b> file [3]

1600년대 속 송령주 제조법 1600년대 말 "주방문"과 1700년대 "술만드는법", "양주방"에는 각각 한 가지의 송령주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1700년대 술만드는법에 기록된 제조법으로 솔방울을 달여 그 달인 것을 이용해 술을 빚는 방...

  • 酒人
  • 2008-07-19
  • 조회 수 4557

<b>효모의 생육곡선 이해하기</b> file [1]

좀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한 자료입니다. ^^ 1. 맨 위에 점선으로 된 파란 선은 "당도"입니다. 처음엔 당의 양이 많았다가 발효가 진행되면서(시간이 지나면서) 당의 양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이것은 효모(당->알코올)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생...

  • 酒人
  • 2008-07-11
  • 조회 수 5587

<b>여름에 술 잘 빚기 </b>

여름에 빚는 술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를 가만히 두면 썩어 버립니다. 그것도 겨울이나 봄 보다 여름에 더 빨리 썩어 버립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죠. 여름이 겨울이나 봄 보다 공기 중에 “균”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술을 빚어 놓으면 겨울이나 봄,...

  • 酒人
  • 2008-06-30
  • 조회 수 3500

더블엑스의 왕초보 술 이야기~ [2]

단양주는 성공해서 냉장보관하고 놀러온 친구들에게 맛을 선보이고 있는중입니다...ㅋㅋ 그런데 1차로 걸러서 걸음망으로 짜서(용수사용안함) 냉장보관하고 찌게미로 다시 물을 찌게미 만큼 부어 2차로 걸러 볼려고 했으나 초냄새가 나서 다 버렸습니다..ㅜㅜ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