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주가 아니라 백주다.

조회 수 6118 추천 수 0 2012.08.31 21:20:58

많은 사람들이 '탁주'라는 말을 사용한다. 말 그대로 '탁한 술'을 탁주라고 하고 맑은 술을 '청주'라고 한다. 주세법에도 막걸리라는 말 대신 탁한 술 '탁주'라고 되어 있다.  우리가 생각하지 않은 이 탁주라는 단어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가능하다면 탁주라는 말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과 함께 이러한 것을 많이 알렸으면 하는 바램에서 이 글을 쓴다.

 

'탁주'가 아니라 '백주'다. 즉, '탁한 술'이 아니라  '흰 술'이 맞는 말이다.

 

우리는 탁주라는 말을 너무 당연하게 사용한다. 누구도 이 탁주라고 하는 것에 이의를 달지 않는다. 주세법에도 탁주라고 되어 있고 모든 술 관련 책에도 '탁주'로 기록한다. 그러나 탁주라는 말과 백주라는 말이 갖는 의미는 전혀 다르다. 막걸리는 탁한 술이 아니고 흰 술이다. 흰 종이를 탁한 종이라고 하지 않는 것처럼 흰 색은 탁한 색이 아니다. 외국인들에게도 탁주라고 하는 것 보다는 백주 즉, 흰 술이라고 소개하는 것이 훨씬 이미지가 좋을 것이다.

 

사람이 첫인상이 중요한 것처럼 술 또한 첫인상이 중요하다. 그래서 디자인이 중요한 것이고 이름이 중요한 것이다. 일본에 의해 쓰여진 주세법에 '탁주'로 표기되어 있다고해서 계속 탁주를 쓰는 것은 술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이러한 단어 하나하나에 관심이 없었는지를 알려준다. 막걸리의 세계화를 외치면서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 단어하나 바꾸려는 노력도 없다.

 

예부터 서양에서는 우리나라의 애칭을 '백의민족'이라 칭했다. 유난희 흰색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이 흰색의 술은 탁하고 흐린 술이 아닌 '맑고 깨끗한 흰 색의 술' 이었을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단어가 바뀌지 않더라도 술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나씩하나씩 바꿔 나가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는 탁주를 백주라고 부르자. 더 나아가 흰술로 부르면 더 없이 좋을 것이다.

 

고려의 무신이자 문신 이규보가 쓴 '백주시(白酒詩)'라는 것이 있다.  이규보는 이 시를 쓴 배경에 대해서 서술한다. 

 

予昔少壯時喜飮白酒以其罕遇淸者而常飮濁故也及歷顯位所飮常淸則又不喜飮濁矣豈以所習之然耶近因致仕祿減往往有淸之不繼者不得已而飮白酒則輒滯在胷鬲間不快也昔杜子美詩云濁醪有妙理何也予昔常飮時慣飮而已實未知妙處况今乎蓋甫本窮者也亦豈其以習而言之耶遂作白酒詩云

 

내가 예전에 젊었을 때 막걸리[白酒] 먹기를 좋아한 것은, 맑은 술을 만나기가 드물어 늘 막걸리를 마셨기 때문이었는데, 높은 벼슬을 거치는 동안에 늘 맑은 술을 마시게 되매 또 막걸리를 좋아하지 않았으니, 습관이 되었기 때문인가. 요새는 벼슬에서 물러나 녹이 준 때문에 맑은 술이 계속되지 못하는 때가 있어 하는 수 없이 막걸리를 마시는데, 금방 얹혀서 기분이 나쁘다. 옛날에 두자미(杜子美 두보(杜甫))는 그의 시에서 막걸리에 묘리가 있다.[濁醪有妙理]’하였으니 웬지 모르겠다. 나는 옛날 늘 마시던 때에도 그저 마셨을 뿐이요 그 좋은 점을 몰랐었는데 하물며 지금이랴. 두보(杜甫)는 본래 궁했던 사람이라 역시 그 습관으로 인하여 말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드디어 백주시를 지었다.


종후니

2012.09.03 10:33:01
*.98.112.224

맥락을 보면 이규보는 탁주(현인)보다는 청주(성인)을 좋아한 거 같아요. 물론 궁하면 청탁불문하고 먹겠지만 아직은 두보가 탁료를 즐김을 이해못하는 거 같아요. 백주라하면 중국의 바이주랑 혼동될 거 같은데 막걸리로 부르지요.

酒人

2012.09.03 11:17:38
*.151.218.8

주세법상 '탁주'라고 되어 있는 것을 '백주'라고 했으면 해서 쓴 글입니다. 당연히 막걸리는 그대로 써야죠. 막걸리와 탁주는 개념 자체부터가 다른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탁주를 막걸리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탁주' 대신 '막걸리'라고 쓰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쉽지 않은 일이기때문에 탁주를 외국인들에게 해석했을때보다는 '백주'라는 의미가 더 좋을 것 같아 드리는 말씀입니다. ^^ 그리고 중국의 백주는 대부분 증류주를 말하고 우리나라의 백주는 발효주를 의미하죠.

말술이좋아

2012.10.07 00:01:44
*.137.220.60

탁주,백주 보다 '막걸리'에 한표 던집니다.
'막걸리'로 표현하는 것이 훨신 정겹고 느낌이 옵니다.
여러 전통주 단체에서 모두 같은 생각이기를 바래 봅니다.

크게될년

2013.02.26 15:08:14
*.164.31.115

백주에 한표 던집니다^^
정겨운것도 좋지만 너무 전통을 지키는것 보단 이제 전통주도 서서히 조금씩 변해야 널리 알릴수있습니다~ 그래야 고급스러우면서도 널리퍼지고 세계화 되야 되지 않겟습니까? 그러려면 저희나라에서만 통하는 막걸리(탁주)보단 쉽게 따라 할 수 있고 고급스러운 백주가 낳을꺼 같네요~^^ 전통주의 이름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름의 따라 마시느냐 안마시느냐도 달려있죠 그러니 이름을 잘지으냐에 따라 다른나라들도 저희나라를 우습게 안보고 전통을 지키면서도 저희만의 술을 만들면 저희나라가 더 높이 세계화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전통주의 이름도 굉장히 중요하다는걸 아셧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11기 이은경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9231
1144 간만에...... [1] 최소희 2005-09-29 6732
1143 식혜가 먹고싶어서... [1] 머그 2005-10-18 5659
1142 자연은 내 인생의 스승 酒人 2005-10-19 4761
1141 <font color='339999'>과하주의 원리 酒人 2005-11-20 4993
1140 한자는 우리글이다. 관리자 2006-01-01 4943
1139 술 빚을 때 옹기를 사용하는 이유?? 酒人 2006-01-13 10024
1138 18년 동안 전통주 사랑을 이어 온 사람 酒人 2006-02-09 4585
1137 진드기가 알코올의 역사를 생각하게 한다. [1] 酒人 2006-02-14 4805
1136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酒人 2006-02-16 3864
1135 국세청 "양조기술교실"(접수끝) [2] 酒人 2006-02-17 4157
1134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술빚기 "보경가주" [4] 酒人 2006-02-20 4796
1133 밥알 띄우기 "부렵주" [8] 酒人 2006-02-23 4820
1132 <b>술에서 신맛나는 이유 총정리</b> 酒人 2006-02-24 4883
1131 술독 "보온" 쉽게 끝내기 酒人 2006-02-27 5506
1130 맑은 술, 밥알 띄우기 [3] 酒人 2006-03-02 4764
1129 술을 다 빚어 보라는 것이 아닙니다. 酒人 2006-03-03 3640
1128 구입... [1] 주광성 2006-03-03 4040
1127 역사속으로 - 1. 삼일주와 부의주 [3] 酒人 2006-03-08 7561
1126 청주에 약재를 넣어 중탕하는 법. [2] 酒人 2006-03-11 5560
1125 드디어 완성된 삼양주 호산춘 file [2] 酒人 2006-03-12 3874
1124 ............... 이상훈 2006-03-12 3215
1123 자주에 대하여......답글입니다.(길어서.^^) [4] 酒人 2006-03-13 3895
1122 도소주에 대하여............. [2] 酒人 2006-03-13 4589
1121 법주(法酒)에 대하여...... 酒人 2006-03-15 3595
1120 옥수수술 [1] 박승현 2006-03-16 3698
1119 집에서도 특등급의 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酒人 2006-03-18 3827
1118 <제민요술><임원16지>그리고<규합총서> 酒人 2006-03-19 3628
1117 <b>즐겨쓰는 밑술법</b> [3] 酒人 2006-03-22 3522
1116 낙향한 선비의 술 "손처사하일주"에 대하여 [2] 酒人 2006-03-24 4510
1115 300년전의 청서주(淸暑酒)를 만나다. [4] [1] 酒人 2006-03-27 3558
1114 발효주의 알코올 도수가 낮은 이유 [1] 酒人 2006-03-30 7641
1113 가래로 고생하는 분을 위한 약주 "소자주" 酒人 2006-04-01 3381
1112 <b>초일주(初日酒) 무작정따라하기</b> 酒人 2006-04-06 3508
1111 복분자 만든는법좀 알려주세요... [1] 유근숙 2006-04-06 2959
1110 <b>봄 술빚기 1. 진달래술(杜鵑酒)</b> 酒人 2006-04-10 3640
1109 <b>봄 술빚기 2. 쑥술(艾酒)에 대하여</b> 酒人 2006-04-11 3039
1108 여러분~ 축하해주세요.^^ file [5] 酒人 2006-04-11 3120
1107 동동주는 실력이 많이 쌓이면 빚으세요.~~ 酒人 2006-04-13 3609
1106 완성된 복분자주 file 酒人 2006-04-14 2666
1105 <b>쌀을 불리는 시간 @ 1시간이면 충분하다. </b> [2] 酒人 2006-04-18 1148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