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독서리더클럽 강연 지상중계 -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

조회 수 2784 추천 수 0 2011.08.31 22:47:50
막 거른 막걸리 한 잔 하실래요?
한경 독서리더클럽 강연 지상중계 -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
2011년 7월호, 제77호 [조회수 : 46] 인재경영 기자 press@eduwill.net

◆ 독하지 않으면서도 술의 풍미를 간직했고, 인류 최고의 발견이라 할 수 있는 ‘발효’의 정점에서 만들어진 막걸리. 웰빙 트렌드에 따른 소비자들의 욕구가 이 전통주를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최근 몇 년 사이 막걸리 열풍이 뜨겁게 불고 있다. 작년까지 내수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에 이어, 올해는 중국 일본 등 해외시장의 성장세까지 매일 갱신 중이다.
한경 독서리더클럽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품에 대해 직접 체험하는 강의를 마련했다. 독서리더들과 함께 한국전통주교육원을 찾아『막걸리 수첩』의 저자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을 만났다.

   
▲ 막걸리 제조 과정을 체험하는 독서리더들.

만화 ‘식객’의 젊은 술꾼, 류인수
가양주연구소장이라는 직함이나 전통주라는 영역을 다루는 무게감을 생각했을 때, 흔히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개량 한복에 머리가 희끗하고 연륜이 묻어나는 미간의 주름 같은 것들 말이다. 류인수 소장을 만나보니 개량 한복까진 맞았는데 나머지는 모두 예상을 빗나갔다. 개량 한복을 입은 덥수룩한 검은 머리의 30대 젊은 청년이었던 것.
젊은 사람이 우리 전통주를 알면 얼마나 알까 싶다면 오산이다. 그가 만화 ‘식객’에 우리 전통주를 지키는 젊은 술꾼으로 소개되기도 했던 것처럼, 오히려 패기와 열정이 그를 전통주 전문가로 만들어 줬다.
“사실 제가 먹으려고 술을 담다가 전통주 전문가가 됐어요.”
농담처럼 던진 말 같지만 그것이 류인수 소장의 시작이었다. 그러다 전통주의 매력에 푹 빠져버린 것이다. 한경 독서리더클럽 도서로 선정된『막걸리 수첩』만 해도 저자가 일주일에 5천km를 달려 전국 각지의 양조장을 찾아다니며 발품을 팔고, 직접 마시며 ‘속품’을 판 덕에 나온 결과물이었다.
“막걸리 양조장을 찾아 한잔 얻어 맛을 보고, 가장 가까운 가게에서 한 병 사다가 먹어보고, 그렇게 다시 길을 떠나 다른 양조장을 찾고, 그러다 운전을 못하겠다 싶으면 그날은 그곳에서 잠들며 전국 막걸리 정보를 모았습니다.”
그 지역에 가지 않으면 맛보지 못하는 양질의 지역 막걸리들을 소개하고 싶은 마음이 이 책을 탄생시켰다. 각 지역의 조건이 모두 다르기에 각각의 풍미와 특색 또한 각양각색이니, 전국 막걸리를 한권으로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막걸리의 특색과 스토리는 물론 그에 어울리는 안주까지 친절하게 추천하고 있다. 그가 우리 술을 따라 떠난 여정은『전통주 수첩』이라는 책으로도 탄생했다. 우리 술의 대중화를 위해 전통주 만드는 교실도 운영하고 그 정보를 이름도 근사한 ‘술독닷컴(www.suldoc.com)’에 공개하고 있다.

노벨 술 상’이 있다면 1등! 막걸리 예찬론
그는 한국이 세계에서 유일한 탁주를 가진 나라이며 유일하게 많은 ‘균'들이 들어있는 술을 먹는 나라, 그 덕에 온갖 영양분이 들어있는 ’약술'을 가진 나라이기도 하다며 더없이 자랑스러워했다. 미생물이 가진 효소물질들이 막걸리의 항암기능을 높이는 것이기에 그야말로 살아있는 술, 완벽히 건강에 이로운 술을 가졌다는 자부심이었다.

   
▲ 막걸리를 더욱 즐겨 마시면 그것이 곧 세계의 술이 되는 길이라고 강조하는 류인수 소장.

“만약 '노벨 술 상'이 있었다면 막걸리가 받았을 거라 확신합니다. 우리는 살아 있는 사람이니 살아 있는 술을 먹어야죠. 미생물이 가진 ‘살아있음'을 막걸리가 품고 있으니, 저는 하루 막걸리 한 병이 장수의 지름길이지 않나 생각합니다.(웃음)”
류인수 소장은 동동주와 막걸리의 차이를 아느냐고 물었다. 쉽사리 떠오르지 않아 답이 궁색한데 정답은 의의로 간단했다. 발효를 하는 동안 밥알이 동동 떠 있다고 해서 동동주. 지금 막 걸러서, 대충 막 걸러서 먹는다고 막걸리라는 것이다. 술을 담근 상태나 술을 거르는 모습을 담은 언어 그대로 이름이 된 우리 술, 참 정겹다. 쌀알이 모여 떠있는 모습이 하얀 꽃 같다 해서 백화주, 그 꽃이 매화 핀듯해서 매화주, 발효되는 술의 색이 노란 황금빛이라 해서 황금주, 이렇게 형상과 빛깔 같은 것에 따라 막걸리는 다양한 이름으로 역사 속에 등장하기도 한다.
그는 막걸리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으로 ‘만들자마자 바로 마시는 것’을 추천했다. 빚어놓은 술에 물을 희석하면 알코올 도수가 낮아져 다른 잡균들의 증식이 일어나 빠르게 신맛이 나게 된다. ‘지금 바로 걸러 마시는 술’이 막걸리라는 점을 잊지 말고 맛이 변하기 전에 빨리 먹는 것이 상책이라는 것.
막걸리의 맛을 좌우하는 세 가지로는 쌀, 물, 혼을 꼽았다. 막걸리는 여느 술과는 다르게 곡물 전체를 먹는 것이기 때문에 곡물 맛이 곧 막걸리의 맛이기 때문이다. 또 막걸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물을 희석해야 하기에 물맛이 막걸리 맛을 좌우한다. 물 좋은 곳을 찾으려거든 막걸리 제조장을 찾으면 된다는 말이 그냥 나온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술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혼이라며, 혼이 들어간 술은 절대 술맛을 배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술을 빚는 장인의 특징은 언제 어느 곳에 가더라도 생각은 항상 발효조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한다. 정성을 다한 술은, 그 정신이 술에 배어 최고의 맛을 선사한다. 최근에는 여기에 기술력이 더해져야 맛 좋은 막걸리가 완성된다.

막걸리 유전자를 깨우는 막걸리 파티
『막걸리 수첩』에 나와 있는 전국 막걸리 정보를 살펴보다가, 필자가 먹어본 막걸리를 표시해보기 시작했다. 101가지 가운데 고작 다섯 가지 밖에 되질 않았다. 그러다 보니 다른 지역에 가게 되면 그 고장 막걸리를 유심히 보게 되고, 그곳에서 술을 나눌 기회가 생기면 꼭 지역 막걸리 한 병을 주문하게 된다. 이러한 관심은 어쩌면 류인수 회장이 말한 ‘막걸리 유전자’가 내 안에도 잠재되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과거 우리 막걸리는 지금처럼 단순히 즐기기 위한 술이 아닌, 땀 흘려 일하고 난 후 시원한 청량감으로 노동의 힘겨움을 씻어주는 탄산음료였으며, 먹을 게 없던 시절에는 배고픔을 달래주는 건강음료였습니다. 우리 몸속의 뜨거운 피에는 ‘막걸리 유전자’가 흐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한 동네 벗과 같은 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우리네 막걸리가 세계로 나가 그 기운을 떨치길 바라는 마음일 것입니다. 하지만 좀 더 ‘막걸리 식’으로 생각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막걸리를 굳이 세계의 술로 만들려 하기보다는, 우리가 막걸리를 더욱 즐겨 마시면 그것이 곧 세계의 술이 되는 길 아닐까요.”
전통주교육원에서 빚은 막걸리를 현장에서 직접 걸러 즉석 막걸리 잔치를 벌였다. 배고프던 시절, 주린 배를 채워주던 술에서 이제는 건강을 생각하고 입맛까지 다스리는 막걸리. 물맛 따라 다르고 쌀 맛 따라 다른 막걸리의 맛을 즐기고, 손맛 따라 다르고 함께하는 벗 따라 다른 막걸리의 향에 취해 잠시 눈을 감아도 좋을 일이다. 전통 제조장들이 손수 빚은 우리네 막걸리, 그 풍성한 맛과 그윽한 술 향기를 따라가 보면 어떨까.

◆ 한경 독서리더클럽은?
한국경제신문 ‘독서리더클럽’은 경제경영을 비롯해 문사철(文史哲)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독서경영 프로그램이다. 책을 사랑하는 이 시대의 리더들이 모여 매주 선정 도서를 읽고 저자 직강을 듣는 장으로 매년 3~5월, 9~11월 각 11주 동안 목요일 저녁 강의로 만나볼 수 있다. 2011년 9월 1일, 7기 과정이 개강될 예정이다. 수강료는 110만원. (문의)02-360-4042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sort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772 2018-12-17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매일경제 2006-05-01 14:56] 올 문화계 최고 히트상품은 영화 '왕의 남자'였다. '왕의 남자'는 사극 열풍을 불러일으키면서 광대놀이 등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창업시장에도 최근 전통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아...

  • 조회 수 2042
  • 2006-05-02

“남는 쌀 안동소주로”

[한겨레] “남아도는 쌀, 전통소주 한잔으로?” 수입개방과 쌀 소비 감소 등으로 농가의 어려움이 커지는 가운데 우리쌀로 만든 전통소주가 쌀 소비를 촉진하는 효자노릇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안동시는 80kg 쌀 한 가마니로 제조할 수 있는 주류별 생...

  • 조회 수 2682
  • 2006-04-19

“농업도시 괴산”

“농업도시 괴산” [대전일보 2006-04-09 23:33] [塊山]괴산군이 농업관련 특허를 잇따라 등록하고 있다. 괴산군은 지난달 고추를 발효시킨 ‘고추식초 제조법’이 특허를 받은데 이어 지난해 6월 출원한 ‘고추술 제조법’도 9개월여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최근 특...

  • 조회 수 1958
  • 2006-04-10

청명과 한식

청명과 한식 [대전일보 2006-04-05 23:33] 청명(淸明)은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4월 5-6 일쯤 온다. 따라서 식목일이나 한식(寒食)과 겹치곤 한다. ‘깨끗하고 맑다’는 청명은 이 무렵부터 날이 풀리고 화창해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 조회 수 2327
  • 2006-04-05

“서유구, 개인의 삶 질적향상 추구”

[경향신문] 지금까지 농학자 정도로 알려진 풍석 서유구(1764~1845)를 다산 정약용과 함께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정약용이 경학 연구 등을 통해 경세치용의 실학을 집대성했다면 서유구는 박지원·박제가 등의 북학...

  • 조회 수 2226
  • 2006-03-19

주세법에 의한 주류의 종류

1. 주정 가. 전분 또는 당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를 발효시켜 알콜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나. 알콜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를 알콜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 2. 발효주류 가. 탁주 (1) 곡류와 국 및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하지 아니하...

  • 조회 수 2203
  • 2006-03-08

“인공감미료가 암발생 높여”

저칼로리 음료와 식품 등에 널리 쓰이고 있는 인공감미료가 백혈병과 임파선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BBC방송은 14일 이탈리아 암연구소의 모란도 소프리티 박사가 암전문지 ‘유럽임상종양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

  • 조회 수 1727
  • 2006-03-08

2003년 2005년 개정세법해설 (주세법)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 조회 수 1781
  • 2006-02-17

국세청 사칭 환급금 사기 피해 주의하세요!

○ 지난 11월 방송 및 언론보도 이후 잠시 중단되었다가, 12월8일부터 다시 국세청 징세과를 사칭하여 환급해준다며 아래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발송 하고 있습니다. - "국세청입니다. 연말정산 환급이 있사오니 국세청 징수과로 연락바랍니다. 063-228-0877, 03...

  • 조회 수 1847
  • 2006-02-17

"양조기술교실" 을 운영합니다.

국세청기술연구소에서는 2005년에 이어 금년 1차 “양조기술교실”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기로 하였으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양조기술교실 o 취지 : “국민과 함께하는 열린세정”의 일환으로 우리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제고와 주류산업의 ...

  • 조회 수 2152
  • 2006-02-17

부산일보 기사에서........

사랑방 아랫목에 담요로 둘둘 말아 놓은 술독. 거품이 뽀글뽀글 커지면,하늘의 달도 차올랐다. 술독 위에 뜨는 맑은 술을 걷어내 대병 한 병 가득 채울 무렵,대보름이 되었다. 어른 아이 없이 겨울 냉기로 쟁인 차가운 술에 귀밑이 벌개졌다. 귀병을 낫게 하고...

  • 조회 수 2483
  • 2006-02-16

‘스펀지’ 때문에 화재·화상 줄이어 [1]

‘스펀지’ 때문에 화재·화상 줄이어…‘진드기퇴치법’ 따라하다 시청자들 ‘봉변’ [쿠키사회] ○…KBS2TV의 정보성 오락프로 ‘스펀지’에서 방송된 ‘진드기 퇴치법’을 따라하던 다수의 시청자들이 화재,화상 등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고 있다. ‘스펀지’...

  • 조회 수 2312
  • 2006-02-14

여보 오늘 밤 한잔 어때

[중앙일보 이훈범] 인류의 역사는 곧 술의 역사다. 수렵시대에는 과실로, 유목시대에는 가축의 젖으로 술을 만들었으며 농경시대에는 곡물을 원료로 술을 빚었다. 이집트에서는 이미 기원전 3000년에 맥주를 만들었고, 6세기 중엽 중국의 양조법은 오늘날과 차...

  • 조회 수 2046
  • 2006-02-11

<오후여담>귀밝이술

[문화일보 2006-02-11 13:11] 우리 민족의 음주 기록은 멀리 부족국가 시대까지로 거슬러 올라 간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의 집단 행사 때면 술을 마셨다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백제의 ‘수수...

  • 조회 수 1995
  • 2006-02-11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미치지(狂) 않으면 미치지(及) 못한다.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 일이란 없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모 교수의 책에서 읽은 글귀이다. 어떤 한 가지 일에 모든 정성을 쏟고 인생을 내던지는 사람들을 보면 갑자기 숙연해...

  • 조회 수 6513
  • 2006-02-09

주류관련 학과가 새로 생겨 알려드립니다 [1]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http://www.suv.ac.kr)라는 곳인데요. 2006년3월부터 발효식품과학과가 신설되었습니다. 이 과를 소개하는 내용을 조금 옮겨 보면 <주류산업의 리더, 건강 기능성식품의 미래를 개척하는 첨단 발효식품과학과 우리나라의 주류산업 및...

  • 조회 수 3347
  • 2006-02-09

소주 순해지고 전통주 독해지고 [1]

소주업체와 전통주 업체가 알코올 도수를 놓고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소주 업체들은 알코올 도수를 낮추는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전통주 업체들은 오히려 높여 가고 있다. 양측 모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판매를 높여보겠다는 전략이지만 시장에서 어...

  • 조회 수 2011
  • 2006-02-09

"술방사람들" 전통술 발표회 [1]

한국전통주연구소 내 모임인 ‘술방사람들’은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서호갤러리에서 전통 술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연꽃 향이 나는 ‘하향주’를 비롯해 과하주 송화주 등 전통 술 수십 종을 맛볼 수 있다. 동아일...

  • 조회 수 2124
  • 2006-02-07

안성 술박물관 박영덕 관장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게,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청하옴세, 백년덧 시름 잊을 일 의논코자 하노라.’ 경기 안성에 위치한 술박물관에 들어서면 눈에 띄는 시조이다. 한잔 두잔 오가다보면 슬픔을 지워주고 기쁨을 더해주는 술. 낯선 사람...

  • 조회 수 3850
  • 2006-02-07

"전통주 비법 211가지’ 펴낸 전통주연구가 박록담씨 [1]

<br><br> "전통주 비법 211가지’ 펴낸 전통주연구가 박록담씨 “일제가 맥끊은 가양주 800가지 발굴” / 오철우 기자 이정용 기자 “우리 전통주는 누룩에 앞서 향입니다. 그런데 지금 전통주는 누룩이 중심이고 향기는 뒤로 밀려 있죠. 제대로 빚은 전통주에선 ...

  • 조회 수 2120
  • 2006-02-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