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룩, 곡자(麯子)와 국자(麴子)에 대하여

조회 수 6221 추천 수 0 2015.04.01 00:49:44

누룩의 어원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꾹꾹 누룬다'는 의미가 전해져 지금의 누룩이 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한자로는 麯, 麴, 曲 으로 쓰기 때문에 누룩이라는 것은 순 우리말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누룩을 곡자와 국자로 분리하기 시작했다. 곡자(麯子)는 야생 효모와 곰팡이, 젖산균 등이 자연적으로 접종된 것, 국자(麴子)는 살균한 원료 배지에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것이라는 것이 논의의 핵심이다. 즉, 곡자는 우리나라 전통누룩을 말하고 국자는 입국을 말한다는 논리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면 곡자는 한국식, 국자는 일본식이라는 인식이 언제부턴가 전통주를 하는 사람들의 뇌리에 정답인 것처럼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큰 문제가 있다. 자칫 우리술의 반쪽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가설을 해보자. 곡자는 우리의 전통누룩이고 국자는 일본의 입국 방식이라면 조선시대 가장 대표적인 문헌들에는 누룩을 뜻하는 한자어가 모두 곡자(麯子)만 있어야 한다. 만약 조선시대에 곡자(麯子)와 국자(麴子)를 함께 썻다는 것을 밝히면 본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누구하나 본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없는 듯하다.


조선시대의 고식문헌들을 하나씩 살펴보았다. 한문본과 한글본 둘 모두를 살펴보고 이 문헌들에 누룩은 어떤 방식으로 쓰여졌는지 알아보고 한글본에는 우리말로 어떻게 기록되어 왔는지 살펴보자.


한문본

 

내역

문헌

누룩

1

1450년대 산가요록

2

1540년대 수운잡방

3

1611년대 동의보감

4

1613년대 고사촬요

5

1680년대 요 록

6

1671년 치생요람

7

1715년 산림경제

8

1737년 고사십이집

9

1752~1822년 민천집설

10

1771년 고사신서

11

1787년 증보산림경제

12

1788년 감저종식법

13

1800년대 초 주찬

14

1827년 임원십육지

15

1800년대 중엽 역주방문

16

1830년대 농정회요


조선시대 술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는 대표적인 한문본을 살펴보면 곡자(麯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16개 중에서 3개, 국자(麴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총 8개 그리고 曲자로 표기된 것이 5개이다. 이 중에서 曲자는 곡(麯)자를 좀 더 쉽게 쓰기 위함이기 때문에 실제 곡자는 총 8개가 된다. 총 16개 중에서 정확히 50%는 곡 나머지는 국이다. 이렇게 조선시대에는 국자와 국자를 '누룩'이라는 것을 혼용해서 사용해 왔다. 따라서 지금 현재 국자와 곡자를 나눠 생각하는 것은 오류가 있다.


한글본도 살표보자.


내역

문헌

누룩

1

1670년대 음식디미방

누룩

2

1600년대 말 주방문

누룩

3

1700년대 술만드는법

누룩

4

1700년대 초 음식보

누룩

5

1795년 주식방

국말

6

1700년대 말 온주법

국말

7

1800년대 초 고려대규합총서

누룩, 국말

8

1856년 정일당잡식

누룩

9

1860년 김승지댁주방문

누룩

10

1869년 간본규합총서

국말

11

1800년대 중 음식방문

곡말

12

1800년대 말 술빚는법

누룩

13

1915년 부인필지

누룩

 

한글본은 총 13개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13개 중에서 '누룩'으로 기록된 것이 8개로 가장 많았고, 국말이 3개, 곡물이 1개 순이었다. 1800년대 고려대규합총서는 누룩과 국말 둘 다 사용하였다. 실제 우리 조상들은 누룩을 제외하고 곡말 대신 국말이라는 용어로 기록하는 것이 더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조선시대 문헌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한문본에서는 국자와 곡자를 혼용해서 사용하였다. 한글본에서는 대부분 누룩으로 기록되었지만 곡자보다는 국자로 더 표기되었다. 따라서 현대에와서 국자와 곡자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특히, 곡자와 국자를 이야기하면서 마치 곡자는 우리것이고 국자는 일본것이라는 이미지를 심는 것은 매우 위험한 사고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우리것과 남의 것이 아닌 우리것의 반을 일본에 넘겨 주는 것과 같다.


누가 어떻게 해서 국자와 곡자를 분리하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히 찾지 못했다. 다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전통주를 너무 사랑하는 마음에 우리것과 우리것이 아닌 것이라는 극단적 사고에 의해서 나뉘어진 시대의 한 모습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나 개인의 이러한 생각이 모두 맞다고는 할 수 없다. 이 글을 읽는 사람마다 해석이 다룰 수 있다. 그 판단은 이 글을 읽는 사람의 몫으로 남겨두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3771
1064 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 강마에 2009-02-24 1622
1063 민속주가 무엇입니까? 농부의 아 2009-03-17 1622
1062 술을 다시 빚다. [2] 내사랑 2008-11-14 1623
1061 전통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酒人 2008-11-19 1623
1060 기축년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녹야 2009-01-02 1623
1059 저희 누룩입니다. [1] 빨강머리앤 2008-08-22 1624
1058 4월 정기모임 쑥술 중간 보고 드립니다...^^ file [2] 봇뜰 2008-05-18 1624
1057 백곡 뒤집기 1,,, file [2] 봇뜰 2008-07-19 1625
1056 누룩 완성도(아래것 부터 완성도가 높은 것이라 함) file [3] 모락산(진 2008-08-25 1625
1055 술 흘리는 술독.. ^^ 100점 짜리 주모 [2] 酒人 2008-09-19 1625
1054 <b>축하는 10년 후에, 안녕하세요. 酒人입니다.</b> file [1] 酒人 2009-02-01 1625
1053 <b>8월 정기모임, 즐거웠습니다. </b> [3] 酒人 2008-08-24 1626
1052 오랜만이네요 ^ㅡ^~! [1] 한국인 2009-06-09 1626
1051 제 7회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3] 전통주 lov 2009-04-15 1627
1050 2008년 송년모임 file [5] 도사 2008-11-30 1631
1049 너무나 즐거운 모임이었습니다!! [3] 인생의달인 2008-04-28 1631
1048 반갑고 고마웠습니다! file [3] 책에봐라 2008-04-27 1631
1047 회원님들 누룩 16일,수요일 3일째 입니다...^^ [2] 봇뜰 2008-07-15 1631
1046 교육안내 file [1] 강마에 2009-04-13 1634
1045 완연한 봄날입니다.^^ [3] 오야봉 2009-04-08 1636
1044 술독에서 술이 끓고 있다. file [3] 도사 2009-04-22 1636
1043 파란잠은 오지않고.. [1] 도연명 2008-06-02 1636
1042 4월 남양주 봇뜰 모임(사진7) file [7] 책에봐라 2008-04-27 1637
1041 전통주 love 님 감사합니다... [1] 강마에 2009-04-09 1640
1040 세월의 어딘가엔 file [2] 도연명 2008-05-17 1641
1039 매우 유익한 모임 감사드립니다. [2] 도사 2008-04-27 1643
1038 다녀오겠습니다!! [3] 인생의달인 2008-05-29 1643
1037 신문지가 젖었습니다 ... file [2] 봇뜰 2008-07-16 1645
1036 봄 정기모임 사진모음 4 [1] 酒人 2008-05-01 1645
1035 <우리술의 향연> 술독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file [1] 술아술아 2008-05-30 1645
1034 추석술 따라하기 file [3] 하늘공간 2008-08-16 1646
1033 NGO등록 고대하겠습니다. [1] 반딧불 2008-05-19 1646
1032 술독 교육프로그램에 관하여 [1] 공주 2008-02-15 1648
1031 술독 새해 福 마니마니 받으세요... [1] 봇뜰 2008-01-02 1648
1030 유익한 강좌 잘 들었습니다. [1] 미루 2007-11-25 1649
1029 전주전통술박물관에서 가양주반 13기생을 모집해요!~ [1] 술독에 빠 2008-05-29 1652
1028 11월 정기모임에서 얻은 수확 [5] 도사 2008-11-30 1653
1027 <b>미소원님, 봇뜰님!! 신문에도 나오셨네요. ^^</b> file [3] 酒人 2008-11-11 1656
1026 열강~~~ file [3] 봇뜰 2008-07-16 1658
1025 술독 봄맞이 정기모임을 맞이하면서,,,,,,,^^ [3] 봇뜰 2008-04-23 16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