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왜 이 시대에 전통주인가. </b>

조회 수 2385 추천 수 17 2010.03.06 13:04:50
왜 전통주인가.

죄송한 말씀이지만 전 전통을 사랑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전통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 같은 것도 저에겐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술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저로서도 이해되기 힘든 부분입니다.

개인적으로 전통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있었다면 전통주를 하는 것 또한 당연한 것이겠지만 제가 전통주를 하는 이유는 무조건적인 사랑이 아닌 ‘좋기 때문에’ 전통주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전통주가 좋지 않았다면 아마도 와인이나 맥주, 위스키 같은 술을 공부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제가 처음 접한 술이 칵테일이나 와인, 맥주와 같은 서양의 술이었고 그 수 많은 술 가운데 최고의 술이라고 선택한 술이 바로 전통주였습니다.

지금 우리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술들은 전통주라 할 수 없습니다. 우리술은 가양주문화에서 자란 순수하게 빚어진 술이었으며 나보다 이 술을 마시는 사람 입장에서 빚은 술이었습니다. 이렇게 나보다 남을 생각하며 빚은 술이다보니 술의 맛과 향이 좋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술 제조자와 유통업자에게 유리한 술이 아닌 소비자에게 유리한 술을 빚는 곳이 진정한 전통주업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전통주란 무엇일까요. 누룩과 입국의 차이일까요. 아니면 시대의 차이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전통주를 무엇으로 단정지울 수 있을까요.

누룩과 입국으로 전통주를 구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입국은 일본식이고 누룩은 한국식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술도 전통주여야 하는 것입니다. 세계의 모든 자국의 전통주는 단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자국에서 생산된 농산물만을 이용하여 술을 만든다는 것이죠. 이렇게 간단하게 풀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땅에서 우리 농부들이 생산한 곡물을 이용한 술, 이 술이 바로 전통주가 아닐까요.

누룩을 사용하냐 입국을 사용하냐의 문제는 나중에 술을 마시는 대중들이 선택할 몫입니다. 대중들이 선택하면 그 술이 바로 전통이 되는 것이죠. 그러나 지금 제가 누룩을 이용한 전통적인 제조법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는 이유는 누룩으로 하는 술 만이 전통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제조법이 너무 바닥에 있기 때문입니다. 입국으로 하는 술이 100이라면 누룩을 이용한 방법은 아직 1도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대중들이 우리술의 진정한 맛을 볼 기회가 없는 것입니다.  

좀 더 크자.

입국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춰서 지금까지 수 십년 동안 술을 만들었는데, 지금 명주가 나왔나요.? 그렇게 과학이다. 누룩을 무시하고 특정한 균을 배양해서 많은 투자를 통해 술을 만들지만 세계에 내 놓을 술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것을 지키고 연구하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똑 같은 방법으로는 일본을 따라 잡을 수 없습니다.

좀 더 커야 합니다. 잘 만든 누룩으로 질 좋은 술을 빚을 수 있어야 합니다. 1900년 이후 우리술은 너무 무참히 짓밟혔습니다. 이제는 좀 더 키워야 합니다. 무시할 것이 아니라 한 번 뒤돌아 보고 우리것으로 연구/개발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으로 빚은 술과 입국으로 빚은 술과의 경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너무 뒤쳐졌기에 이것을 많이 올려 놓기 위해 지금 누룩만을 이용해 술 빚는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대중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우리의 진정한 입맛을 찾게 될 것입니다. 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의 맛을 선택해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기에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민들에게 우리의 맛을 느끼게 해 줘야 합니다. 그러기위해 전통주학교의 학생들과 졸업생들, 술독의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우리술을 알려줘야 합니다. 진정한 맛을 본다면 제가 맥주나 와인을 선택하지 않고 우리술을 선택한 이유를 여러분들도 함께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여러분들과 함께, 어떻게 보면 100년 후에 우리는 없을 수 있으나 우리가 뿌려놓은 씨앗은 꽃을 피우게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다 함께 노력합시다.


2010년 3월    酒人 류인수 올림.

술바치

2010.03.07 14:04:55
*.20.87.4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네요!

수수보리

2010.03.09 00:35:56
*.154.9.218

저도 전통주가 좋기 때문에 조금씩 빚고 있습니다.
글 읽고 , 전통주의 의미를 다시 되새기고 갑니다.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의주마을

2010.03.27 07:12:03
*.118.40.165

전통주 정의에 대한 나의 생각
1. 그 지역의 술 재료를 사용할 것.
2.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해왔던 방식(기술)으로, 또는 그 방식을 원형으로 해서 기술을 현대적으로 변형하되 근간은 바꾸지 않는 방식으로 양조할 것.
3, 미생물을 활용하는 발효식품일 경우, 그 지역의 미생물에 뿌리를 둘 것.

이렇게 정의하면 외국농산물을 사용하고, 외국(특히 일본) 균주를 배양(효모는 아예 수입하여 사용하는 곳이 많죠)하여 입국 방식으로 주조하는 현재의 대다수 양조장 술은 전통주가 아니죠. ^*^

酒客

2010.04.05 18:20:54
*.218.89.97

내가 생각하는 전통주란 우리 조상들의 초심입니다. 부디 지기님도 초심을 잊지마시고 서울만이 아니라 지방의 술꾼 확보를 위한 좋은 강의도 부탁드리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7243
544 25일날 막걸리 축제 가시는분~ [1] 전통주 lov 2009-04-24 1675
543 막걸리 축제를 다녀와서.... file [1] 강마에 2009-04-27 1789
542 고향 내음이 그리워서... 대감 2009-04-27 1668
541 서울국제주류박람회 file [3] 강마에 2009-05-01 2070
540 파주시 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교육 file [1] 강마에 2009-05-06 2104
539 감사인사 [1] 대감 2009-05-06 1720
538 2009서울국제주류박람회 다녀왔습니다. file [3] 강마에 2009-05-08 2035
537 안성 술 박물간 kbs 2 다큐 30분!! [1] 전통주 lov 2009-05-15 2160
536 2009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참관기 file [1] 강마에 2009-05-18 1809
535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1] 오야봉 2009-05-18 1666
534 <b>6월 13일(토) 술독정기모임:막걸리란 이런 것</b> file [22] 관리자 2009-05-20 3051
533 한국잡곡산업협회 창립식에 다녀왔습니다. file 酒人 2009-05-22 2755
532 오랜만이네요 ^ㅡ^~! [1] 한국인 2009-06-09 1676
531 6월, 7월 제천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강의 [2] 관리자 2009-06-10 2194
530 주류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2] 강마에 2009-06-10 2216
529 <b>정기모임 잘 마쳤습니다. ^^ </b> file [6] 酒人 2009-06-14 1903
528 "나만의 술"게시판 말입니다! [4] 섬소년 2009-06-15 2274
527 좋은 소식입니다.... 강마에 2009-06-16 1720
526 막걸리속의 유산균... file [3] [1] 전통주 lov 2009-06-17 4384
525 6월 정모요약 file [4] 도사 2009-06-17 1894
524 쑥술 담기에 대한 질문? [3] 국태 2009-06-22 2161
523 전통주산업진흥법안 발의 [3] 강마에 2009-06-24 1777
522 탁주삼총사(?) file [4] 섬소년 2009-06-28 1979
521 와인에는 소믈리에, 전통주에는 누구? [4] 해모수 2009-07-02 2095
520 기다리면 봄은 올까요??? file [2] 섬소년 2009-07-04 2036
519 부산산성마을 - 전통누룩디디기 [6] 酒人 2009-07-10 3355
518 <b>2009년 7월 18일 토요일 &#8211; 송순막걸리 </b> [8] 관리자 2009-07-10 2252
517 개나리꽃술 [2] 시나브로 2009-07-15 2617
516 송순막걸리...먹는 시기??? [4] 국태 2009-07-21 2213
515 <b>(사)한국가양주협회 전통주교육센터 내부사진</b> file [5] 酒人 2009-07-28 3496
514 <b>酒人의 고문헌 산책 1. 만전향주 </b> file [3] 酒人 2009-07-30 2312
513 동아일보에 이곳이 실렸네요. ..~ file [2] 사과쨈 2009-07-31 1943
512 오랜만이네요~! [3] 한국인 2009-08-01 1817
511 궁금합니다 [3] 장인되자 2009-08-03 2116
510 감사합니다 장인되자 2009-08-03 1726
509 여름에 전통주?? [2] 전통주최고 2009-08-09 2048
508 막걸리 스페셜을 보구... [2] 작은 주 2009-08-10 2066
507 제2회 전주전통주대향연 국(麴)선생선발대회 [4] 강마에 2009-08-11 2107
506 애주! [1] 시나브로 2009-08-12 1912
505 우리술 사전을 만들어 보는건...! [2] 이군 2009-08-18 194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