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b>왜 이 시대에 전통주인가. </b>

조회 수 2237 추천 수 2 2010.10.26 09:38:27
구구절절이 가슴이 찡~ 하네유
>왜 전통주인가.
>
>죄송한 말씀이지만 전 전통을 사랑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전통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 같은 것도 저에겐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술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저로서도 이해되기 힘든 부분입니다.
>
>개인적으로 전통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있었다면 전통주를 하는 것 또한 당연한 것이겠지만 제가 전통주를 하는 이유는 무조건적인 사랑이 아닌 ‘좋기 때문에’ 전통주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전통주가 좋지 않았다면 아마도 와인이나 맥주, 위스키 같은 술을 공부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제가 처음 접한 술이 칵테일이나 와인, 맥주와 같은 서양의 술이었고 그 수 많은 술 가운데 최고의 술이라고 선택한 술이 바로 전통주였습니다.
>
>지금 우리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술들은 전통주라 할 수 없습니다. 우리술은 가양주문화에서 자란 순수하게 빚어진 술이었으며 나보다 이 술을 마시는 사람 입장에서 빚은 술이었습니다. 이렇게 나보다 남을 생각하며 빚은 술이다보니 술의 맛과 향이 좋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술 제조자와 유통업자에게 유리한 술이 아닌 소비자에게 유리한 술을 빚는 곳이 진정한 전통주업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럼 전통주란 무엇일까요. 누룩과 입국의 차이일까요. 아니면 시대의 차이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전통주를 무엇으로 단정지울 수 있을까요.
>
>누룩과 입국으로 전통주를 구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입국은 일본식이고 누룩은 한국식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술도 전통주여야 하는 것입니다. 세계의 모든 자국의 전통주는 단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자국에서 생산된 농산물만을 이용하여 술을 만든다는 것이죠. 이렇게 간단하게 풀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땅에서 우리 농부들이 생산한 곡물을 이용한 술, 이 술이 바로 전통주가 아닐까요.
>
>누룩을 사용하냐 입국을 사용하냐의 문제는 나중에 술을 마시는 대중들이 선택할 몫입니다. 대중들이 선택하면 그 술이 바로 전통이 되는 것이죠. 그러나 지금 제가 누룩을 이용한 전통적인 제조법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는 이유는 누룩으로 하는 술 만이 전통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제조법이 너무 바닥에 있기 때문입니다. 입국으로 하는 술이 100이라면 누룩을 이용한 방법은 아직 1도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대중들이 우리술의 진정한 맛을 볼 기회가 없는 것입니다.  
>
>좀 더 크자.
>
>입국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춰서 지금까지 수 십년 동안 술을 만들었는데, 지금 명주가 나왔나요.? 그렇게 과학이다. 누룩을 무시하고 특정한 균을 배양해서 많은 투자를 통해 술을 만들지만 세계에 내 놓을 술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것을 지키고 연구하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똑 같은 방법으로는 일본을 따라 잡을 수 없습니다.
>
>좀 더 커야 합니다. 잘 만든 누룩으로 질 좋은 술을 빚을 수 있어야 합니다. 1900년 이후 우리술은 너무 무참히 짓밟혔습니다. 이제는 좀 더 키워야 합니다. 무시할 것이 아니라 한 번 뒤돌아 보고 우리것으로 연구/개발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으로 빚은 술과 입국으로 빚은 술과의 경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너무 뒤쳐졌기에 이것을 많이 올려 놓기 위해 지금 누룩만을 이용해 술 빚는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대중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우리의 진정한 입맛을 찾게 될 것입니다. 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의 맛을 선택해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기에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
>국민들에게 우리의 맛을 느끼게 해 줘야 합니다. 그러기위해 전통주학교의 학생들과 졸업생들, 술독의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우리술을 알려줘야 합니다. 진정한 맛을 본다면 제가 맥주나 와인을 선택하지 않고 우리술을 선택한 이유를 여러분들도 함께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여러분들과 함께, 어떻게 보면 100년 후에 우리는 없을 수 있으나 우리가 뿌려놓은 씨앗은 꽃을 피우게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다 함께 노력합시다.
>
>
><b>2010년 3월    酒人 류인수 올림. </b>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5994
744 2015년 4월 우리술 빚기 - 국비지원 (모집중) 누룩 2014-05-01 3297
743 술독회원 찹쌀 특별가 20kg 42,500(택배포함) file [4] 酒人 2007-02-15 3294
742 아쉬운 첫 회식.... [2] 얌얌이 2011-09-08 3284
741 학생커뮤니티 입장을 위한 등업 요청드립니다. [1] 연인의삶 2011-04-21 3272
740 가래로 고생하는 분을 위한 약주 "소자주" 酒人 2006-04-01 3267
739 한산 소곡주 양조장 견학 file [3] [1] 모수 2010-07-25 3262
738 술 빚는 양에대해 질문드립니다. [1] 잉맨 2011-04-19 3261
737 <b>술독 회원님들 참 대단하다.^^</b> [2] 酒人 2007-04-30 3246
736 흐음? 따로 술 강좌가 1월에 오픈하나요? [3] 술바치 2010-11-12 3245
735 생전처음 단양주에 도전합니다 [3] 목장장 2019-01-14 3244
734 시스템 장애 안내(복구 완료) 관리자 2010-12-20 3241
733 이제서야 들어와봅니다. [1] 모래요정 2011-04-11 3232
732 등업이요 ^^* [1] 산길 2011-06-27 3219
731 아버지와 아들의 누룩 이야기 file 酒人 2011-09-25 3215
730 대학교 축제때 주막에서 직접 만든 술을 팔아도 괜찮을지 여쭤보려고 합니다. [1] 새내기 2015-04-25 3211
729 이제 연말이네요 ㅎㅎ [4] 술바치 2010-12-22 3200
728 안녕하세요 ~~전통형식의 누룩방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 [2] 누룩방 누룩방 2018-04-17 3197
727 동영상 자료를 올리려고 하는데 [2] 금린어 2011-04-18 3194
726 유리병 라벨지 다운받아가세요.~~ file [2] 酒人 2007-02-14 3194
725 하향주 [1] 재드 2007-03-08 3186
724 권주가 [2] 도사 2009-10-08 3181
723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 [1] 酒人 2010-09-20 3180
722 한 여름밤의 막걸리 콘서트 - 별빛 달빛 콘서트 file [5] 술바치 2010-07-28 3157
721 전통주학교 카페 개설 섬소년 2010-04-07 3152
720 혹시 과일주를 증류한 술은 있나요? 거위 2013-12-14 3150
719 4월~ 드디어 인터넷 전통주 판매... [1] 술바치 2010-04-04 3134
718 막걸리, 항암물질 맥주·와인의 최대25배 [5] 音美 2011-04-14 3127
717 제 15기 졸업식에 초대합니다. 酒人 2014-03-15 3121
716 증류기 공동구매 안하나요..~ [2] 이미연 2006-12-19 3119
715 당도계 구입하고 싶어요 [1] 바오 2015-07-10 3116
714 순한 술 만들기 [3] 윤승구 2007-02-17 3113
713 한산 소곡주의 맛 [1] 강마에 2009-04-04 3113
712 현재 울산에서는 .....^^ file 누룩 2011-09-25 3107
711 <b>설화주(雪花酒)</b> [2] 酒人 2008-02-16 3103
710 콩나물국밥집에서 파는 모주는 어떤 술인가요? [2] 술취한호랑 2008-10-09 3094
709 가양주 명주반 시간 변경 요청 [1] k지니 2014-08-07 3093
708 2월 4일은 정월 첫 오일 - 삼오주 빚는날 file 酒人 2014-02-02 3093
707 추석의 연휴처럼 ! [1] 술이열리는나무 2011-09-12 3091
706 이화곡 뒤집기 2,,, file [3] 봇뜰 2008-07-20 3089
705 적선 이태백의 시 - 장진주 酒人 2006-09-27 30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