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b>왜 이 시대에 전통주인가. </b>

조회 수 2238 추천 수 2 2010.10.26 09:38:27
구구절절이 가슴이 찡~ 하네유
>왜 전통주인가.
>
>죄송한 말씀이지만 전 전통을 사랑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전통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 같은 것도 저에겐 아직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술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저로서도 이해되기 힘든 부분입니다.
>
>개인적으로 전통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있었다면 전통주를 하는 것 또한 당연한 것이겠지만 제가 전통주를 하는 이유는 무조건적인 사랑이 아닌 ‘좋기 때문에’ 전통주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전통주가 좋지 않았다면 아마도 와인이나 맥주, 위스키 같은 술을 공부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제가 처음 접한 술이 칵테일이나 와인, 맥주와 같은 서양의 술이었고 그 수 많은 술 가운데 최고의 술이라고 선택한 술이 바로 전통주였습니다.
>
>지금 우리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술들은 전통주라 할 수 없습니다. 우리술은 가양주문화에서 자란 순수하게 빚어진 술이었으며 나보다 이 술을 마시는 사람 입장에서 빚은 술이었습니다. 이렇게 나보다 남을 생각하며 빚은 술이다보니 술의 맛과 향이 좋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술 제조자와 유통업자에게 유리한 술이 아닌 소비자에게 유리한 술을 빚는 곳이 진정한 전통주업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럼 전통주란 무엇일까요. 누룩과 입국의 차이일까요. 아니면 시대의 차이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전통주를 무엇으로 단정지울 수 있을까요.
>
>누룩과 입국으로 전통주를 구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입국은 일본식이고 누룩은 한국식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술도 전통주여야 하는 것입니다. 세계의 모든 자국의 전통주는 단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자국에서 생산된 농산물만을 이용하여 술을 만든다는 것이죠. 이렇게 간단하게 풀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땅에서 우리 농부들이 생산한 곡물을 이용한 술, 이 술이 바로 전통주가 아닐까요.
>
>누룩을 사용하냐 입국을 사용하냐의 문제는 나중에 술을 마시는 대중들이 선택할 몫입니다. 대중들이 선택하면 그 술이 바로 전통이 되는 것이죠. 그러나 지금 제가 누룩을 이용한 전통적인 제조법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는 이유는 누룩으로 하는 술 만이 전통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제조법이 너무 바닥에 있기 때문입니다. 입국으로 하는 술이 100이라면 누룩을 이용한 방법은 아직 1도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대중들이 우리술의 진정한 맛을 볼 기회가 없는 것입니다.  
>
>좀 더 크자.
>
>입국으로 최첨단 시설을 갖춰서 지금까지 수 십년 동안 술을 만들었는데, 지금 명주가 나왔나요.? 그렇게 과학이다. 누룩을 무시하고 특정한 균을 배양해서 많은 투자를 통해 술을 만들지만 세계에 내 놓을 술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것을 지키고 연구하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똑 같은 방법으로는 일본을 따라 잡을 수 없습니다.
>
>좀 더 커야 합니다. 잘 만든 누룩으로 질 좋은 술을 빚을 수 있어야 합니다. 1900년 이후 우리술은 너무 무참히 짓밟혔습니다. 이제는 좀 더 키워야 합니다. 무시할 것이 아니라 한 번 뒤돌아 보고 우리것으로 연구/개발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으로 빚은 술과 입국으로 빚은 술과의 경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너무 뒤쳐졌기에 이것을 많이 올려 놓기 위해 지금 누룩만을 이용해 술 빚는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대중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우리의 진정한 입맛을 찾게 될 것입니다. 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의 맛을 선택해 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기에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
>국민들에게 우리의 맛을 느끼게 해 줘야 합니다. 그러기위해 전통주학교의 학생들과 졸업생들, 술독의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우리술을 알려줘야 합니다. 진정한 맛을 본다면 제가 맥주나 와인을 선택하지 않고 우리술을 선택한 이유를 여러분들도 함께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여러분들과 함께, 어떻게 보면 100년 후에 우리는 없을 수 있으나 우리가 뿌려놓은 씨앗은 꽃을 피우게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다 함께 노력합시다.
>
>
><b>2010년 3월    酒人 류인수 올림. </b>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6035
744 봇뜰네 file [5] 모락산(진 2008-06-23 1639
743 봇뜰네 시계꽃 file [3] 모락산(진 2008-06-23 1645
742 술독모임다녀와서 [2] 본치 2008-06-23 1651
741 멋있는 6월 정기모임 이었습니다...^^ [5] 봇뜰 2008-06-23 1857
740 <b>2008년 술독 “누룩 교실”(마감) </b> [13] 酒人 2008-06-26 2185
739 아~! 감향주 [4] 동숙취월 2008-06-27 2107
738 감향주 제조 노트 [3] 동숙취월 2008-06-27 1834
737 6월 정기모임 복분자주와 산딸기주 잘 되어가는 모습입니다...^^ [3] 봇뜰 2008-07-04 2013
736 유월 마지막 날에 쓴 산골일기 [2] 도연명 2008-07-09 1642
735 처음 막걸리 담았습니다. [2] 반딧불 2008-07-09 1733
734 누룩 잘 디디세요~~~~ [2] 최소희 2008-07-10 1666
733 안녕하세요~ [2] 인생의달인 2008-07-11 1646
732 마늘주 시험 file [2] 도사 2008-07-13 2179
731 "누룩교실" 재밌게 잘 마쳤네요. ^^ [5] 酒人 2008-07-14 1709
730 회원님들 누룩 16일,수요일 3일째 입니다...^^ [2] 봇뜰 2008-07-15 1678
729 부부팀으로 시작~~ file [3] 봇뜰 2008-07-16 1656
728 밀가루 수분 흡수... file [1] 봇뜰 2008-07-16 2262
727 짝꿍 끼리... file [1] 봇뜰 2008-07-16 1649
726 이뿐 손 file [1] 봇뜰 2008-07-16 1653
725 열심히 하는 모습... file [1] 봇뜰 2008-07-16 1645
724 열강~~~ file [3] 봇뜰 2008-07-16 1683
723 다른생각 하는 팀들... file 봇뜰 2008-07-16 1647
722 본격적으로 시작~~~ file 봇뜰 2008-07-16 1665
721 틀에 밀가루 담기... file 봇뜰 2008-07-16 1638
720 밀가루 꽉 채운 틀... file 봇뜰 2008-07-16 1659
719 누룩 디디기... file [1] 봇뜰 2008-07-16 1916
718 녹야님의 관심~~~ file [1] 봇뜰 2008-07-16 1907
717 즐거운 표정... file [1] 봇뜰 2008-07-16 1774
716 처음 오신분... file [3] 봇뜰 2008-07-16 1659
715 누룩 디디면서...^^ file [2] 봇뜰 2008-07-16 1650
714 완성된 누룩... file [2] 봇뜰 2008-07-16 1646
713 봇뜰에서 마지막 사진... file [1] 봇뜰 2008-07-16 1637
712 신문지가 젖었습니다 ... file [2] 봇뜰 2008-07-16 1668
711 신문 벗긴 누룩 입니다... file [2] 봇뜰 2008-07-16 1647
710 어제 작업했습니다. [4] 빨강머리앤 2008-07-17 1645
709 올해 두번째 술 file [1] 복드림 2008-07-18 1698
708 누룩만들기에 참여하지 못하고 언젠가 file [1] 복드림 2008-07-18 2168
707 백곡 뒤집기 1,,, file [2] 봇뜰 2008-07-19 1653
706 백곡 뒤집기 2,,, file [2] 봇뜰 2008-07-19 1650
705 백곡 뒤집기 3,,, file [2] 봇뜰 2008-07-19 165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