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술 100전 100승

조회 수 2306 추천 수 17 2009.10.08 22:53:57
100전 100승

가끔 어리둥절하다. 우리내 전통 제조법으로 빚어지는 술의 가장 큰 단점으로 술이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말을 하기 때문이다. 정말로 야생효모를 이용하는 우리술이 실패할 확률이 높은가. 절대 그렇지 않다. 100번 빚으면 100번 다 성공하는 술이 우리술이다. 성공해야 맞는 술이 우리술이다.

우리술이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말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때의 제조법을 우리내 전통 제조법이라고 믿는 사람들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이 지금도 이뤄지고 있는 것을 매우 아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우리술은 실패할 수 없는 술이다. 어찌보면 오만이고 어찌보면 자신감이다. 나의 자신감이 아닌 우리 조상들의 자신감이라 생각해 주셨으면 한다.

술을 사람이 만들라 하기 때문에 실패하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온도 조작을 통해 술독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거나 급격히 냉각시키는 행위는 요즘 같은 한절기와 같이 미생물이 감기 걸리기 딱 좋은 제조법이다. 그러니 술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술을 빚었으면 미생물에 맡겨야지 왜 사람이 나서서 보이지도 않는 미생물을 괴롭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애들이 자라면서 건강하게 뛰어 노는 아이와 엄마 품에서 곱게 자란 사람의 차이랄까. 환경이 바뀌면 적응하는게 인간이지만 미생물들은 적응하기 전에 다 죽어버린다. 배양된 효모와 야생효모는 모양부터 다르다. 당연히 좋아하는 환경부터가 달라 술을 빚는데 한 가지 방법을 모든 술에 적용시키는 것은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이것만 잘 해주면 술이 실패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애들(미생물들) 밥만 잘 주면 된다.’ 어린애들 굶기지 말고 제때 밥 주면 무럭무럭 자라는 것처럼 미생물들도 굶기지 말고 제때 밥만 잘 주면 순식간에 자손을 번창시킨다. 그 자손이 많아져 알코올을 만들고 이산화탄소를 내뿜으니 다른 균들은 들어올 수 없게 된다.

추워도 자란다. 밥만 잘 주면 된다. 춥다고 술이 잘 안되고, 덥다고 술이 잘 안되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밥만 잘 주면 추워도, 더워도(너무 더우면 더워 죽는다.^^)잘 자란다. 이렇게 잘 자라서 미생물들이 성인이 되면 이제는 밥도 먹고 고기도 먹고 잘 씹히지 않은 생 곡물도 먹게 되는 것이다. 다 먹어 치우니 어느새 집안이 온통 알코올 천지로 만들고 우리는 그것을 먹으면 되는 것이다. 그 뿐이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애들 밥 잘 줄 생각만 하자. 언제 줄까. 애들이 배고프면 밥 달라고 한다. 말은 하지 못해도 배고프면 개 거품 물면서 소리낸다. 비오는 소리에 소나기 내리는 소리에 아주 시끄럽게 밥 달라고 한다. 이때 주면 된다. 이렇게 소리 내도 밥 안주면 삐져서 조용해지다가 계속 밥 안주면 술이 아닌 식초 먹어야 한다. 그러니 술을 만들려거든 밥 주는 시간을 철저하게 지켜 주는 것이 좋다.

밥 잘 주면 100% 성공한다. 자기는 밥 다 챙겨 먹으면서 미생물은 굶기면 되겠는가. 실패하지 않는 술, 실패할 수 없는 방법 그것이 우리 조상들이 방법이다. 그러니 앞으로 우리의 전통방식으로 빚어진 술이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말하는 것을 언론에서든 어디서든 듣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제는 대놓고 말해야겠다.

“애들 밥 좀 잘 주세요. ^^”



막걸리 한 잔 넘어 가네
또 한 잔 넘어 가네
꺼내놓은 열무김치 어디로 가고
막걸리 통만 넘쳐나네  

한 잔 배꽃술에
얼굴 비추니
어느새 붉은 노을




감기조심하세요.~~^^    酒人

도사

2009.10.09 06:50:15
*.159.12.185

모든 오류는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고 빨리 빨리 취하려는데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여유와 멋과 흥이있는 우리술 우리가 아끼고 사랑하면
우리술의 세계화는 멀지 않음을 확신한다.

이군

2009.10.13 20:14:38
*.114.22.156

예전에 비해 변해버린 환경이 아마도 자꾸 효모를 사용하게끔 만드는것 같아 안타갑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시간에 자연스럽게 맞긴다면 그런일들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복드림

2009.10.23 18:49:54
*.73.63.31

술에 대한 애정이 가장 좋은 술 을 빚는 조건이겠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5771
704 주인님 덕분에 술 잘 빚었습니다!! [2] 최윤식 2006-05-24 2221
703 <b>친구에게 보내는 편지..희석식에게</b> [2] 酒人 2006-07-06 2221
702 증류기 공동구매 하고 싶습니다 [1] 성희 2007-03-15 2221
701 무한지대....ㅎㅎㅎ [2] 최소희 2006-11-20 2222
700 지역별 우리술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1] 달빛아래 2008-03-25 2223
699 배성운님의 "우리밀로 디딘 누룩" 酒人 2008-09-04 2225
698 <b>제 1기 교육을 마치면서...</b> [1] 酒人 2007-03-12 2225
697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저녁반 시음회 안주들 달마조 2017-09-15 2225
696 한해을 보내면서 좋은술을 빚기위해 찍은 사진입니다... file 봇뜰 2008-01-03 2228
695 저두 방송 봤어욤~~~ [1] 이명옥 2006-11-21 2228
694 <b>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b> [3] 酒人 2007-12-31 2229
693 [re] &lt;b&gt;왜 이 시대에 전통주인가. &lt;/b&gt; 우리술 2010-10-26 2229
692 여쭤봅니다 하늘이랑 2017-08-02 2229
691 <b>2009년 7월 18일 토요일 &#8211; 송순막걸리 </b> [8] 관리자 2009-07-10 2231
690 "술" 드디어 시작했습니다...^^ [1] 연꽃 2007-05-17 2234
689 주인장님 한번 해보세요☞북촌문화센터 전통주강좌개설 [2] 조영진(부 2008-02-14 2236
688 제4회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13.14일> 관리자 2006-05-04 2239
687 <b>오랫만에 좋아하는 쑥술을...^^</b> 酒人 2007-05-29 2240
686 아이스박스 술독 file [1] 대암 2007-01-29 2241
685 전통주교육센터 초대장 file [6] 관리자 2009-08-23 2243
684 <b>제 5회 국제주류박람회 무료초청장(마감)</b> 酒人 2007-02-27 2243
683 <b>제 1회 술독정기모임 11월 25일 토요일</b> [10] 酒人 2006-11-01 2244
682 우리에게 필요한 술은? 酒人 2017-08-04 2245
681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시음회 모습니다. 달마조 2017-10-09 2248
680 보름달, 쥐불놀이, 그리고 비 [2] 酒人 2007-03-04 2250
679 질문이 있습니다. [1] 묻지마투자 2017-08-23 2251
678 "나만의 술"게시판 말입니다! [4] 섬소년 2009-06-15 2257
677 회원분들과 주인장님께,, [1] 이승욱 2007-02-08 2260
676 밀가루 수분 흡수... file [1] 봇뜰 2008-07-16 2261
675 한국 전통 명주 올림픽 열린다 [1] 酒人 2007-03-10 2263
674 <b>'우리술 막걸리 세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b> file [3] 관리자 2009-12-15 2264
673 보람찬 하루..^_____^ [2] 장혜숙 2007-03-12 2269
672 <b>술방사람들이 나누는 전통술향기 </b> file 酒人 2006-11-11 2270
671 간만에 들러봅니다~ [2] 2010-06-26 2274
670 [오늘 날씨] 곳곳 소나기, 습도 높아 '후텁지근'…주말 장마전선 다시 북상, 전국에 '비 감빵굿 2019-06-28 2276
669 요즘 술독이 너무 조용하네요 ^^ [1] 술바치 2010-06-14 2277
668 햇볕에 건조중인 백곡 file [2] 모락산(진 2008-08-08 2282
667 <b>酒人의 고문헌 산책 1. 만전향주 </b> file [3] 酒人 2009-07-30 2283
666 오랜만에....ㅎㅎㅎㅎ [1] 최소희 2006-04-28 2284
665 1기 교육을 마치고 [2] 은비 2007-03-12 22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