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술 빚기

조회 수 2149 추천 수 17 2009.08.19 18:58:50
내사랑 222.109
참으로 여름에 술빚기는 어렵다. 온도가 높다보니 품온관리가 어렵고 그러다 보니 자칫 잘못하면 술이 쉬어지고 부패 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 그래 품온을 30도 밑으로 유지하여야 미생물 즉, 효모가 죽지 않고 알코올을 생성하기 때문에 늘 온도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품온(발효통 내부의 온도)이 30도 이상 올라가면 효모가 생존하지 못하고 사멸하기 때문에 발효통을 장악하였던 효모의 개체수가 줄어 들고 이를 틈타 외부의 세균들이 침범하여 술이 상하게 된다.)

-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름철의 술통(항아리 등)은 가능한 서늘한 장소에 놓아야 한다. 때로는 대야에 물을 받아두고 그 안에 술통을 놓기도 하고 수건으로 술통을 싸고 수건에 물을 계속 흐르게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또는 술통에 얼린 물통을 넣어 두기도 한다.

- 그러나 이와 달리 미생물을 배양한 주모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을 한다. 본인은 금번 미생물을 6차 또는 11차까지 배양한 주모를 이용하여 술을 빚었는데 이 경우 미생물의 개체수가 많고 활동도 활발하다 보니 앞의 방법을 다 이용하지 않고도 성공적으로 술을 빚을 수 있었다.

- 여름철 술 빚기에 가장 힘든 계절이고 많은 분들이 포기를 한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 술독식구들은 여름철 술빚기에 도전해 보자. 다른 계절보다 어려움만큼 성공의 보람이 더 있을 수 있다.

- 그 방법중 가장 좋은 것은 배양을 하여 미생물의 개체수를 늘려서  왕성한 미생물 활동에 의한 술 빚기라 생각을 한다. 이럴 경우 최소의 누룩을 이용 최상의 맛을 내는 술을 빚을 수 있다. 더운 여름 미생물을 배양해 보자.

강마에

2009.08.21 21:10:53
211.114

좋은 제조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정성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지요....
내사랑님의 말씀데로 여름에는 쉽게 술이 시어집니다.
이유는 잡균(세균)들의 증식이 빨라서죠.
효모는 1개체의 증식시간이 90분인 반면 세균은 20분입니다.
같은 시간이면 세균의 증식속도가 4배 이상이죠.
좋아하는 온도는 효모가 25-30도씨, 세균은 35-37도씨입니다.
pH는 효모가 3-5, 세균은 pH5-7의 조건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더운 여름철에는 세균의 증식이 활발히 일어나게 됩니다.
다행인것은 먼저 증식한 개체가 우점하게 되면 다른 개체가 살기 힘들기 때문에 내사랑님과 같이 주모를 배양하여 효모의 양을 늘리면 술이 시어질 수 있는 세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방법의 술 제조법이 전해졌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2948
1143 보슬보슬내리는비에 약주한잔 생각나는 하루 [1] 민주누 2021-01-26 177066
1142 <b>담양 대다무 용수(1세트 남음)</b> [7] 관리자 2007-02-12 57480
1141 재미있는 건배사 [1] 音美 2011-06-10 17348
1140 쌀 누룩의 효능 yung 2014-03-17 13685
1139 산주-예봉산 감로주 [1] 최동환 2006-10-19 12772
1138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3일째 (검은 반점같은것들은뭔가요) 술승민 2021-01-20 12032
1137 [오늘 날씨] 곳곳 소나기, 습도 높아 '후텁지근'…주말 장마전선 다시 북상, 전국에 '비 감빵굿 2019-06-28 11418
1136 <b>쌀을 불리는 시간 @ 1시간이면 충분하다. </b> [2] 酒人 2006-04-18 11011
1135 주정분온도환산표 다운받기 file 누룩 2011-05-13 10624
1134 청소년 많은 거리서 수차례 음란행위…프로농구선수 정병국 영장 감빵굿 2019-07-19 10554
1133 이스트 막걸리 도전기 [1] 조나골드 2020-02-12 10430
1132 쌀 흩임누룩과 이화곡 file [3] 酒人 2012-04-30 9965
1131 쌀누룩 알고싶어요 [3] 곰킹짱 2011-05-11 9550
1130 술 빚을 때 옹기를 사용하는 이유?? 酒人 2006-01-13 9424
1129 우리술 이야기꾼 '전통주해설사자격증' 생겼다. 누룩 2012-01-23 9308
1128 술 관련 자격증 file 音美 2011-05-24 9034
1127 양주방-뿌리깊은 나무 잡지를 구했네요. ^^ file [5] 酒人 2012-03-12 8900
1126 오랜만에 들ㄹㅕ요. 이지예 2019-06-04 8870
1125 9월 대구 술공방 모임. file [5] 김선호 2011-09-30 8823
1124 명주특강 - 조선최고의 名酒 백화주(마감) file [10] 누룩 2012-02-03 8402
1123 넌센스퀴즈 ~ [2] 김우빈 2019-11-22 8281
1122 실패하여 시어진 막걸리로 식초 만들기 [펌] [3] 소동파 2009-01-20 8246
1121 <b>초파리 제거하는 방법</b> [3] 酒人 2006-10-25 8224
1120 국비지원 - 전통주소믈리에과정(전통주소믈리에 자격증 수여) [12] 누룩 2013-01-07 8201
1119 제 8기 정규과정(전통주기능사) 모집 3월 5일 개강(마감) 누룩 2012-01-27 7851
1118 7월 13일 초복 누룩만들기(벼누룩 시연) 행사 (마감) file [3] 누룩 2013-06-25 7813
1117 MBC 특집 < 한국의 전통주 > [4] 아리랑 2012-03-07 7782
1116 <b>2월 28일(토) "술독정기모임" - 잣술 빚기</b> file [14] 관리자 2009-02-04 7648
1115 막걸리-천상병 [1] 音美 2011-04-27 7524
1114 식초학교 '제 2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마감) file [4] 누룩 2012-11-06 7485
1113 증류시 메틸알콜을 버리는 시점은? [2] 비야 2007-12-06 7457
1112 名酒 시음회 - 백수환동주(백발의 노인이 아이가 된다는 술) [12] 누룩 2012-02-05 7428
1111 전통주 전문가과정 마스터반 교육생 모집(마감) file 누룩 2011-12-26 7203
1110 독일 프랑크푸르트 알트-작센하우젠 전통주~ file [2] 모수 2010-06-22 7162
1109 발효주의 알코올 도수가 낮은 이유 [1] 酒人 2006-03-30 7158
1108 역사속으로 - 1. 삼일주와 부의주 [3] 酒人 2006-03-08 7029
1107 <b>술독이 제작한 알코올도수 측정 증류기</b> 酒人 2007-03-06 7018
1106 국비지원 - 9월 농림부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 file 누룩 2013-05-29 6899
1105 <b>상근백피주(뽕나무뿌리껍질)</b> file 酒人 2006-05-30 68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