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지금 우리가 이곳에 모인 이유</b>

조회 수 2152 추천 수 11 2009.01.13 21:32:54
전통주의 대중화는 어떻게 시킬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전통주의 대중화를 외칩니다. 대부분은 술을 잘 만들어 저렴하게 많은 사람들이 마실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요. 전통주의 대중화란 사람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술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의 전통주는 이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끝이 보이지 않는 바닥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전통주의 대중화 방법은 단 하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술”

전통주의 대중화란 좋은 술이 무엇인지 알려서 찾게 만드는 것입니다. 보통 소주(참이슬, 처음처럼 등)를 가리켜 대중주라고 합니다. 저렴한 가격에 어디서든 손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전통적으로 빚는 술은 절대로 이러한 제품들과 가격 경쟁이 되지 못합니다. 가격도 비싸고 쉽게 접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술의 대중화는 쉽지 않은 것입니다. 큰 기업에서 기계로 대량으로 뽑아내는 술과는 가격 경쟁에서 이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전통주를 대중화 시키자?   말이 되지 않는 소리

전통주의 대중화는 사람들이 손 쉽게 구입하여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닌 질 좋은 우리의 술을 대중들이 찾게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기계로 뽑아내는 술과 경쟁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통을 시키고 싶어도 시킬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손 쉽게 집 근처에서 먹을 수는 없어도 그들이 먹고 싶고 찾을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찾는 것이 대중화의 길이라는 것입니다.

먹이기 위해 만드는 술이 아닌 먹고 싶게 만드는 술

한국의 주류를 연구하는 국세청모모모의 모 소장의 인터뷰 내용을 보니 “소장은 난데없이 소주를 예찬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위스키 마시면 그 다음날 머리가 안 아프고, 소주 마시면 머리가 아프다고 하는데 다 거짓말입니다. 그런 말은 순전히 위스키 마셨다고 자랑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는 “소주는 순수한 알코올만 희석시킨 것이기 때문에 몸에 해로운 성분이 없다”면서 “위스키, 고량주 등은 향을 내기 위해 각종 색소 등 물질을 첨가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 한겨레신문 인터뷰내용 중에서

그래도 한국의 술을 책임진다는 곳의 소장이 전통주에 대한 홍보는 못할망정 희석식 소주가 좋다고 홍보나 하고 있으니 대한민국 국민들의 머리가 아플 수 밖에 없습니다.
주류를 책임지는 사람의 인식이 이러한데 우리술의 앞날이 어떨지 상상이 가지 않습니다. 일반 주점에서 소주 가격이 3000원, 위스키 가격이 10만원이 넘죠.. 즉, 위스키 1병 먹을 돈으로 소주 30병을 넘게 마시게 됩니다. 그러니 소주 먹으면 머리가 아픈거죠. 싸고 쉽게 찾을 수 있으니까 많이 먹는 것이고 그러니 머리가 아픈 것입니다. 소장은 국민들이 돌대가리인줄 아는 것 같습니다.

술이 나쁜 것이 아니라 많이 먹어 나쁜 것이다.

이것은 소주가 나쁜 술이 아니라(사실 나쁩니다. 식품첨가물이 들어가는데 좋을리가 있나요. 물론 소장은 좋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어디서든 손 쉽게 싼 술을 구입할 수 있도록 대중화 시킨 것이 문제라는 것을 모르는 것입니다. 싸니까 많이 먹고 많이 먹게 되니까 머리가 아프고 머리가 아프니까 소주 먹으면 머리가 아프다는 소리가 나오는 것입니다. 조금 먹으면 어떤 술이 나쁘겠습니까. 비싸니까 아껴서 먹고 아껴서 먹으려니까 조금 마시게 되고 조금 마시니까 머리가 아프지 않은 것이지요. 이처럼 대중화라는 것은 싼 술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술을 빚는 것이 곧 대중화의 첫 걸음이다.

우리술을 대중화 시키기 위해서는 맨 먼저 여러분들께서 술을 빚어야 합니다. 그래야 좋은 술이 어떤 술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정말 좋은 술을 빚는 사람들은 소규모 양조장을 만들어 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찾게 만들어야 하고, 이 중에서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술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로 까지 뻗어가게 될 것입니다.

그 나라에 가면 반드시 먹어야 할 술이 있고, 그 나라의 각 지역에 가면 지역을 대표하는 술이 있고, 지역에 가서는 한 집안을 대표하는 술을 접할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이어야 합니다. 이것이 곧 대중화의 길입니다. 쉽게 먹게 하는 술이 아닌 찾고 싶은 술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대중화의 길입니다.

집집마다 '내' 술이 있는 곳, 이런 곳에 살고 싶다.

‘술이 있는 집’, 그 집만의 술이 있고 손님이 찾아 왔을 때 그 집만의 술을 대접할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느 집을 가도 맛이 다르고 어느 집을 가도 그 집만의 술을 마실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싼 술을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것은 좋습니다. 이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누구나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지요. 그러나 술은 그냥 술이 아닌 한 나라의 음식이고 문화입니다. 우리나라에 고급술이 있다는 것과 고급술문화가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많이 알려야 하고 많이 마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것입니다.

조금을 먹더라도 아까워서 조금씩 오래 먹을 수 있는 술이 좋은 술이다.

집 앞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술을 아까워서 조금씩 오래 보관하며 먹는 사람은 없습니다.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소비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 술은 먹이기 위해 빚어지는 술이 아닌 “사람들이 찾는 술”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이러한 술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홍보하고 지원하는 것이 곧 대중화의 한가지 방법이 될 것입니다.



마치면서…

싸게 만들기 위해 싼 재료를 사용하고 싼 재료를 사용하다보니 맛이 없고 맛이 없으니 첨가물을 넣게 되는 것이고 이런 술을 많이 먹으니 병이 나고 머리 아프니 사람들이 찾지 않고 시장이 침체되고 죽어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거의 죽었습니다. 뿌리만 약간 살아있는데 이것을 살리기 위해 지금 우리가 이곳에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모이는 이유입니다.



대중화의 첫 걸음 "가양주"에 있다.    www.suldoc.com     酒人       류인수

내사랑

2009.01.14 12:08:59
222.109

우리 술의 미래에 술독이 있고 그 중심에 주인님이 계심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우리 술독 화이팅

봇뜰

2009.01.14 16:22:40
218.159

우리 술에는 우리 술독이 있습니다.

잼나고 가슴에 와 닫는 글~~~

안타까운 마음 입니다...

회원님들 열심히 우리 술을 빚어서 술독에서 먼저 대중화 시킵시다...

도사

2009.01.14 18:56:11
220.86.

술독의 열정과 패기
끊임없는 탐구열정이 식지 않는한
우리 전통주가 대중화 되는날은
가까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모두 그 날을 위하여 ~~~~~~~~~~~~

비설

2009.01.15 16:32:03
222.117

다른건 몰라도 "집집마다 '내' 술이 있는 곳"을 만드는데

일조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처음 빚어본 술이 제법 잘된듯하네요.

아직 채주는 못했는데 빨리 끝나고 다음술 빚고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복드림

2009.01.15 17:47:47
121.155

주인님의 글은 언제나 명쾌하게 막힌곳을 확 뚫어주는군요.
술독!화이팅!!!

빨강머리앤

2009.01.23 09:59:26
222.109

주인님의 열정과 회원님들의 노력이 우리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됩니다.
술독 화이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9422
544 25일날 막걸리 축제 가시는분~ [1] 전통주 lov 2009-04-24 1704
543 막걸리 축제를 다녀와서.... file [1] 강마에 2009-04-27 1813
542 고향 내음이 그리워서... 대감 2009-04-27 1713
541 서울국제주류박람회 file [3] 강마에 2009-05-01 2119
540 파주시 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교육 file [1] 강마에 2009-05-06 2124
539 감사인사 [1] 대감 2009-05-06 1753
538 2009서울국제주류박람회 다녀왔습니다. file [3] 강마에 2009-05-08 2080
537 안성 술 박물간 kbs 2 다큐 30분!! [1] 전통주 lov 2009-05-15 2198
536 2009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참관기 file [1] 강마에 2009-05-18 1846
535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1] 오야봉 2009-05-18 1692
534 <b>6월 13일(토) 술독정기모임:막걸리란 이런 것</b> file [22] 관리자 2009-05-20 3080
533 한국잡곡산업협회 창립식에 다녀왔습니다. file 酒人 2009-05-22 2827
532 오랜만이네요 ^ㅡ^~! [1] 한국인 2009-06-09 1715
531 6월, 7월 제천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강의 [2] 관리자 2009-06-10 2231
530 주류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2] 강마에 2009-06-10 2251
529 <b>정기모임 잘 마쳤습니다. ^^ </b> file [6] 酒人 2009-06-14 1962
528 "나만의 술"게시판 말입니다! [4] 섬소년 2009-06-15 2295
527 좋은 소식입니다.... 강마에 2009-06-16 1766
526 막걸리속의 유산균... file [3] [1] 전통주 lov 2009-06-17 4436
525 6월 정모요약 file [4] 도사 2009-06-17 1938
524 쑥술 담기에 대한 질문? [3] 국태 2009-06-22 2195
523 전통주산업진흥법안 발의 [3] 강마에 2009-06-24 1806
522 탁주삼총사(?) file [4] 섬소년 2009-06-28 2006
521 와인에는 소믈리에, 전통주에는 누구? [4] 해모수 2009-07-02 2127
520 기다리면 봄은 올까요??? file [2] 섬소년 2009-07-04 2087
519 부산산성마을 - 전통누룩디디기 [6] 酒人 2009-07-10 3414
518 <b>2009년 7월 18일 토요일 &#8211; 송순막걸리 </b> [8] 관리자 2009-07-10 2301
517 개나리꽃술 [2] 시나브로 2009-07-15 2662
516 송순막걸리...먹는 시기??? [4] 국태 2009-07-21 2251
515 <b>(사)한국가양주협회 전통주교육센터 내부사진</b> file [5] 酒人 2009-07-28 3542
514 <b>酒人의 고문헌 산책 1. 만전향주 </b> file [3] 酒人 2009-07-30 2374
513 동아일보에 이곳이 실렸네요. ..~ file [2] 사과쨈 2009-07-31 2011
512 오랜만이네요~! [3] 한국인 2009-08-01 1873
511 궁금합니다 [3] 장인되자 2009-08-03 2162
510 감사합니다 장인되자 2009-08-03 1764
509 여름에 전통주?? [2] 전통주최고 2009-08-09 2093
508 막걸리 스페셜을 보구... [2] 작은 주 2009-08-10 2110
507 제2회 전주전통주대향연 국(麴)선생선발대회 [4] 강마에 2009-08-11 2149
506 애주! [1] 시나브로 2009-08-12 1973
505 우리술 사전을 만들어 보는건...! [2] 이군 2009-08-18 19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