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워 지는 것

조회 수 1664 추천 수 34 2008.05.19 07:03:26

    
    
    人間은 누구 나가 현재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지난날이 아무리 어렵고 힘든 세월이었을 지라도

    소중하게 간직하고 싶어지고,

    추억이라면 그저 막연히 아름다울 것이리라는 생각이

    앞서는지도 모르겠고

    또 한편으로는 내일은 아무도 기약 할 수 없으므로

    내일이 기다려지고 그래서 가슴속에

    오색 영롱한 호롱불을 걸어 두고 사는 지도 모르겠다.


    다정하고 구수한 대화의 분위기를 찾아

    시래기 국 한 그릇을 앞에 놓고

    그 구수한 시래깃국 냄세 와 시래깃국 한 숟갈에
    철철 넘치는 정을

    한 폭의 그림으로 담아 여러 사람들에게 나누어 줄
    수만 있다면

    지금 같이 각박하고 험악한 세상이 되지 않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해 보며


    그 옛날 막걸리 한잔에 가슴이 찡 해 오고

    시래깃국 한 그릇으로 허기를 때우며 가난을 이겨 가던

    지난날의 우리들은 가뭄에 흉년이 들어도

    시골 우물가 바래기에는 항상 삶은 시래기가 담겨져 있었고

    물 길러 온 아낙들은 자기네 것이 아니라도

    물 몇 두레박 더 길어서 시래기에 물을 갈아주곤 하다가,

    아침에 물을 길러 온 아낙이 한줌 건져 호박잎에 싸 가며

    “순이네 내가 한 줌 가져가네” 하면

    “그래요 성님 맛있을 란가 좀더 가져 가제”

    하는 소리가 물동이를 이고 가는 아낙네의 발걸음을 가볍게
    하곤 했는데

    오늘에 사는 우리는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의 넉넉하고
    풋풋한 정을

    어디에서 찾을지....


    모텔이 없어도 객이 지나다 아무 집이고 들어가

    하룻밤 유하자 하면 생면 부지의 식객이 사랑방으로 안내되어

    밥 한 그릇을 물에 말아 신 김치 몇 조각으로 뚝딱 삼키고

    주안상에 하룻밤을 유하면서 밤이 이슥토록 정담을 나누다

    떠날 때는 노자 돈까지 얻어 가던 그때가

    오늘보다 더 풍요로운 게 있었다면

    넉넉한 인심이요 넘치는 정이었을 것이다.


    풍요로운 시대를 살면서 나날이 잃어가는 것 중의 하나가
    인정 아닐까?

    너나없이 바쁜 세상에 아직도 인정에 연연한다는 것이

    어쩌면

    구시대적 사고에서 오는 미련이라 할지라도 그래도 나는

    시골집 우물 같은 인정이 못내 그립다.


    텃밭가 여기저기 수줍게 매달린 애호박은 아무나 따 가고 열무니

    상추니 아욱이니 먼 밭 가기 바쁘면 아무데나 가까운 밭에서

    뽑아가도 흉이 아니던 인심이 그리워

    그래서 우리는 시골로 돌아 가려하고 전통주를 만드는지도 모르겠다.

    그 전통주 속에 그런 그리움들이 녹아있고 풋풋한 인정이
    녹아있지 않겠는가?
출처 : my homepage
 


酒人

2008.05.19 12:07:24
116.46.

잘 읽었습니다.^^

도연명님께서 올려 주신 것을 읽으면 언제나
마음이 따뜻해요.
치열하게 돌아가는 뇌가
잠시 계산을 멈추고 쉬는 기분입니다.

운인

2008.05.19 21:44:12
59.13.1

사설이 옷깃과 눈물을 여미게 하네요.
어차피 가져 가지 못할 줄 알면서도 ....
어차피 한낱과 같은것...
어차피 한올에도 못 미치는 것을 ....
자연속에서 살다가 인간문화를 만나니 사람들의 정신이 어디있는지 서로를 모를 뿐이라고 봅니다.
의식이 깨어나면 다 제자리에 오듯 마취제에 빠진 인간들이라고 쳐 둡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5847
384 세번째 쑥술이 완성되었습니다. 酒人 2006-07-01 2175
383 전통주 행사에 초대합니다. file [3] 무창 이상 2009-09-11 2174
382 <b>잘 마치고 돌아 왔습니다. ^^</b> file [6] 酒人 2007-04-21 2173
381 본문 프린트할 때.... [4] 이근식 2007-02-07 2173
380 정회원 [1] 강현윤 2006-07-06 2173
379 전주전통주대향연 사무국입니다. [3] 하얀날개 2009-09-11 2173
378 시골 양조장에서-마음 흘러 가는 곳으로.. [3] SG오션 2007-07-23 2172
377 외부인사 소개 및 토론 주제 결정 酒人 2007-01-10 2172
376 오랜만에.... [1] 이군 2009-10-05 2172
375 <b>가능하면 게시판에 질문을 해주세요.^^</b> 酒人 2007-01-04 2171
374 누룩 드셔 보셨나요.?^^ file [1] 酒人 2007-04-23 2169
373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강마에 2009-12-29 2168
372 <b>2009 잡곡 가양주 품평회 </b> file [1] 관리자 2009-11-12 2168
371 우리술..이야기..와인코리아방문기..☆ file [2] 조영진(부 2007-04-30 2167
370 농림부 전통주 육성 2010년까지 791억원 투입 [2] 이지현 2006-09-08 2167
369 누룩만들기에 참여하지 못하고 언젠가 file [1] 복드림 2008-07-18 2167
368 <b>이달의 회원 = 아침이슬님 ^^ </b> [2] 관리자 2007-03-25 2166
367 6월, 7월 제천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강의 [2] 관리자 2009-06-10 2166
366 강의를 서울 외에서도 들을 수 있게.. 입만살아가지고 2016-07-18 2165
365 23기지원 합니다 [1] 자유로운 영혼 2016-07-20 2164
364 오랫만 입니다...^^* [1] SG오션 2006-06-11 2162
363 [re] 지역별 우리술에 대해 [4] 酒人 2008-03-26 2161
362 <b>술독 교육생 전용공간 개설</b> 酒人 2007-03-19 2160
361 추카추카 회장님 [5] 공주 2009-12-03 2159
360 웃어야 하나 ..... [5] 이창원 2007-07-13 2155
359 송절주 채주(12월1일)하였습니다. file [5] 도사 2008-12-02 2149
358 쑥술 담기에 대한 질문? [3] 국태 2009-06-22 2146
357 책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냉무 [1] 대암 2007-02-09 2142
356 안성 술 박물간 kbs 2 다큐 30분!! [1] 전통주 lov 2009-05-15 2140
355 술을 마시면...^^* SG오션 2006-05-16 2134
354 눈이 많이 왔네여...ㅎㅎㅎ [1] 최소희 2006-12-17 2132
353 술독 홈페이지가 다시 열렸네요 ^^?? [1] 사과쨈 2009-10-05 2131
352 더 늦기전에.... [3] SG오션 2007-04-10 2130
351 그간 무고한지요? [1] 김상현 2006-05-26 2129
350 <b>울산 축제를 준비하면서..</b> [1] 酒人 2007-09-27 2123
349 <b>요즘 무(菁)로 술빚습니다.<b> file 酒人 2006-12-06 2121
348 한산 소곡주를 한 잔 들며.. [2] 한국인 2009-03-30 2119
347 [re] 맛있는 막걸리의 맛은...? [1] 酒人 2008-10-31 2119
346 <b>2024년 어느날...의 공상</b> 酒人 2006-05-25 2115
345 <b>23일 토요일 오후 5시 인사동 모임.</b> 酒人 2007-06-21 2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