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워 지는 것

조회 수 1857 추천 수 34 2008.05.19 07:03:26

    
    
    人間은 누구 나가 현재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지난날이 아무리 어렵고 힘든 세월이었을 지라도

    소중하게 간직하고 싶어지고,

    추억이라면 그저 막연히 아름다울 것이리라는 생각이

    앞서는지도 모르겠고

    또 한편으로는 내일은 아무도 기약 할 수 없으므로

    내일이 기다려지고 그래서 가슴속에

    오색 영롱한 호롱불을 걸어 두고 사는 지도 모르겠다.


    다정하고 구수한 대화의 분위기를 찾아

    시래기 국 한 그릇을 앞에 놓고

    그 구수한 시래깃국 냄세 와 시래깃국 한 숟갈에
    철철 넘치는 정을

    한 폭의 그림으로 담아 여러 사람들에게 나누어 줄
    수만 있다면

    지금 같이 각박하고 험악한 세상이 되지 않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해 보며


    그 옛날 막걸리 한잔에 가슴이 찡 해 오고

    시래깃국 한 그릇으로 허기를 때우며 가난을 이겨 가던

    지난날의 우리들은 가뭄에 흉년이 들어도

    시골 우물가 바래기에는 항상 삶은 시래기가 담겨져 있었고

    물 길러 온 아낙들은 자기네 것이 아니라도

    물 몇 두레박 더 길어서 시래기에 물을 갈아주곤 하다가,

    아침에 물을 길러 온 아낙이 한줌 건져 호박잎에 싸 가며

    “순이네 내가 한 줌 가져가네” 하면

    “그래요 성님 맛있을 란가 좀더 가져 가제”

    하는 소리가 물동이를 이고 가는 아낙네의 발걸음을 가볍게
    하곤 했는데

    오늘에 사는 우리는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의 넉넉하고
    풋풋한 정을

    어디에서 찾을지....


    모텔이 없어도 객이 지나다 아무 집이고 들어가

    하룻밤 유하자 하면 생면 부지의 식객이 사랑방으로 안내되어

    밥 한 그릇을 물에 말아 신 김치 몇 조각으로 뚝딱 삼키고

    주안상에 하룻밤을 유하면서 밤이 이슥토록 정담을 나누다

    떠날 때는 노자 돈까지 얻어 가던 그때가

    오늘보다 더 풍요로운 게 있었다면

    넉넉한 인심이요 넘치는 정이었을 것이다.


    풍요로운 시대를 살면서 나날이 잃어가는 것 중의 하나가
    인정 아닐까?

    너나없이 바쁜 세상에 아직도 인정에 연연한다는 것이

    어쩌면

    구시대적 사고에서 오는 미련이라 할지라도 그래도 나는

    시골집 우물 같은 인정이 못내 그립다.


    텃밭가 여기저기 수줍게 매달린 애호박은 아무나 따 가고 열무니

    상추니 아욱이니 먼 밭 가기 바쁘면 아무데나 가까운 밭에서

    뽑아가도 흉이 아니던 인심이 그리워

    그래서 우리는 시골로 돌아 가려하고 전통주를 만드는지도 모르겠다.

    그 전통주 속에 그런 그리움들이 녹아있고 풋풋한 인정이
    녹아있지 않겠는가?
출처 : my homepage
 


酒人

2008.05.19 12:07:24
116.46.

잘 읽었습니다.^^

도연명님께서 올려 주신 것을 읽으면 언제나
마음이 따뜻해요.
치열하게 돌아가는 뇌가
잠시 계산을 멈추고 쉬는 기분입니다.

운인

2008.05.19 21:44:12
59.13.1

사설이 옷깃과 눈물을 여미게 하네요.
어차피 가져 가지 못할 줄 알면서도 ....
어차피 한낱과 같은것...
어차피 한올에도 못 미치는 것을 ....
자연속에서 살다가 인간문화를 만나니 사람들의 정신이 어디있는지 서로를 모를 뿐이라고 봅니다.
의식이 깨어나면 다 제자리에 오듯 마취제에 빠진 인간들이라고 쳐 둡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50973
104 2016년 동문 삼해주,삼오주 대회 file 누룩 2016-02-28 2935
103 안쓰는 누룩방 같은 발효실을 찾고 있는데.. [1] 알이즈웰 2016-03-06 2999
102 수업 일정 문의드립니다. [1] 라즈베리 2016-04-11 2673
101 강의를 서울 외에서도 들을 수 있게.. 입만살아가지고 2016-07-18 2319
100 23기지원 합니다 [1] 자유로운 영혼 2016-07-20 2338
99 드디어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취득했습니다. [3] 할매 2016-08-12 4974
98 인니에서 효모없이 술 담다가... [1] 맑은거울 2016-08-13 2842
97 2016 궁중술빚기 대회 공지 누룩 2016-10-12 2680
96 산정호수억샊꽃축제 막걸리 한마당 올인 2016-10-17 2751
95 벽향주 밑술에 대하여 [1] 희망 2016-10-25 2885
94 삼양주 거르는 시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한원장 2017-02-21 4967
93 오전 교육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마타하리 2017-02-22 2640
92 초대장 송학산방 2017-03-29 2631
91 봄의 술, 애주 酒人 2017-05-21 2781
90 흩임누룩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초보아빠 2017-06-26 2596
89 안녕하세요. 교육과정 질문있습니다 [1] 삼킨태양 2017-07-14 2284
88 여쭤봅니다 하늘이랑 2017-08-02 2409
87 안녕하세요!! 질문이있습니다. [2] 묻지마투자 2017-08-04 3000
86 우리에게 필요한 술은? 酒人 2017-08-04 2446
85 지평막걸리..쥐 나와.. 전통주조맨 2017-08-06 2968
84 경기도 화성 술 여행 (2017.08.26) 관련으로 질문이 있습니다. [2] 창공 2017-08-10 2564
83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얼쑤' file 누룩 2017-08-21 3749
82 질문이 있습니다. [1] 묻지마투자 2017-08-23 2447
81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하늘이랑 2017-08-24 5008
80 아일랜드 여행기록집 <I wish, Irish> 출판기념회 (11기/지도자3기 신동호님) file 누룩 2017-08-25 2469
79 역가 [1] 쩐신 2017-08-26 3257
78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다모토리ㅎ' file 누룩 2017-09-07 4836
77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저녁반 시음회 안주들 달마조 2017-09-15 2427
76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두두' file [1] 누룩 2017-09-15 3247
75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시음회 모습니다. 달마조 2017-10-09 2426
74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맑은술' file 누룩 2017-10-14 3927
73 쑥대발 살수 있는곳 file 오렌지컴 2017-10-20 2958
72 술과 음식의 만남 - 춘삼월X배혜정도가 file 누룩 2017-11-20 3871
71 기사] 주당들의 헌법 주국헌법(酒國憲法) 니모 2017-11-24 3918
70 한국 최초 조선 요릿집 `명월관`술당그는법 니모 2017-11-24 3777
69 입금관련문의 금산전여사 2017-12-09 2619
68 설 선물세트 기획전은 없나요? 달마조 2018-01-19 3080
67 28기 수강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양조 도구 꿀팁 오렌지컴 2018-04-12 3039
66 안녕하세요 ~~전통형식의 누룩방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 [2] 누룩방 누룩방 2018-04-17 3411
65 누룩에 관해 여쭤보고싶은게 있습니다. 누룩방 누룩방 2018-05-09 27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