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왔어요.^^

조회 수 1844 추천 수 57 2008.03.27 21:32:19
안녕하세요. 제가 학교 때문에 강원도 동해에 있다가 서울 집을 오랜만에 왔네요.^^
오자마자 인터넷을 연결하고 술독 사이트에 접속해서 제가 쓴 글에 리플이나 혹시
새로운 글들이 올라왔나  보고있는데 할머님께서 들어오시더라고요.
예전부터 각 가정에서 술을 빚어서 마셨다는 얘기를 듣고 할머님께 여쭤봤어요.
할머니도 술 담그실주 아냐고 여쭤봤더니 할머니는 못담그신다고 하시고
할머니의 어머니, 할머니의 할머니는 술을 빚어서 독에 넣어놓고 드셨다고 하시는데
할머님은 못빚으신다고해서 좀 아쉬웠어요.^^;
(할머니께서 밥술이라고 하시더라고요^^)
하지만 할머님이 어리셨을때 어깨너머로 많이 봤으니 재료만 있으면 아마 빚을수
있을거 같다고 하시네요.
빠른시일내에 제가 술을 빚어보고 익숙해져서 할머님 모시고 술한번 빚어보고
싶네요^^
(p.s: 저희 학교 근방에 조그만 산이 있는데요. 조금있으면 산딸기가 많이 나옵니다.
        그 산딸기로 맛있는 술을 한번 담궈보고 싶은데요. 혹시 비법이나
        알고 계신 것들이 있으시면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최 원

2008.03.28 16:49:39
211.208

그게 원래 복분자주의 기원이죠. 제가 알기로 현재 생산 판매되는 복분자주의 대부분은 토종 산딸기가 아닙니다. 해외에서(뉴질랜드인지 어딘지 기억이 안남) 과실이 굵고 많이 열리는 산딸기품종을 수입 재배하여 만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에 복분자술 공장 견학중 생산자에게서 들은 말입니다.
전에 들은 얘기인데, (이 정보의 사실 여부는 반반입니다.) 원래 고유의 복분자주는 까맣게 익은 딸기가 아니라 꽃이 막 떨어진 생 딸기와 딸기나무 순을 말려서 술빚는 거라고 하더군요.
그래야 비로소 요강을 뒤집을 수 있답니다. 맛은 다연히 없겠죠.
근데 저는 요강도 없고, ㅋㅋㅋ

최 원

2008.03.28 16:54:41
211.208

요즘 양산되는 복분자술 빚는 방법은
완숙된 딸기에 20%만큼의 설탕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겁니다.
그러니까 딸기 10kg에 설탕 2kg을 섞는 거죠. 하지만 딸기의 당도에 따라서 설타으이 양은 변할 수 있습니다. 딸기의 당도가 매우 높다면 설탕은 넣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죠.

전통적인 방법은 쌀로 죽을 쑨 뒤 누룩을 섞어 딸기와 함께 발효시키는 겁니다. 전에 해봤는데 잘 안되더군요. 이유는 모르겟습니다.

최 원

2008.03.28 16:57:30
211.208

제생각인데 가장 좋은 방법은 딸기는 그냥 딸기로 드시는 게 가장 맛있는 딸기 즐기는 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酒人

2008.03.29 08:37:32
116.46.

딸기는 그냥 딸기로 드시는 게,,, ^^ (산딸기가 그렇게 많이 나와요? 시간 되면 달빛아래님과 딸기따러 가야겠다..ㅎㅎ)

1. 사이트에 몇 번 소개되었는데요. 향과 맛이 떨어지는 초,근,목,피 중 대부분은 술을 빚으면 원래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없습니다. 국화나 복분자, 계피 등과 같이 향과 맛이 강한 것들은 술을 빚어도 원래의 목표를 달설 할 수 있지만요.

2. 따라서 딸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딸기와 같은 것들의 향기와 색깔을 살리기 위해서는 "과하주" 방식을 응용하여 빚어야 됩니다. 즉, 산딸기를 증류주에 침출 시키고, 색과 향이 나게 되면 이것을 발효주와 혼합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그냥 증류주로 드셔도 좋겠죠.

마치면서

산딸기로 술을 빚었는데, 딸기의 맛과 색깔, 향기가 전혀 없다면 재미가 없죠? 다양한 응용능력을 키워 원재료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술을 빚어야 합니다. 사과, 배 등,, 다 이렇게 빚으면 되겠죠.

달빛아래

2008.03.29 23:26:31
221.146

답글 감사합니다.^^
작년에는 후배가 산딸기 따서 소주에 담가논것을 3달정도 뒤에
마셨던게 기억나네요. 그 때 향이 괜찮아서 제대로 한번 담가보고
싶어서 글을 남겼어요.^^

viagra

2008.05.01 08:04:55
78.1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4598
944 보름달, 쥐불놀이, 그리고 비 [2] 酒人 2007-03-04 2234
943 <b>"축" 2007 경주 한국의 술과떡잔치 행사진행</b> [17] 酒人 2007-03-05 4224
942 경주 술과떡잔치 [1] 곰돌이 2007-03-05 2170
941 날이 많이 춥네요. 감기 예방법 [1] 타조알 2007-03-06 2409
940 <b>술독이 제작한 알코올도수 측정 증류기</b> 酒人 2007-03-06 7100
939 '사람 잡을 가짜 양주' 대량유통 酒人 2007-03-08 2145
938 하향주 [1] 재드 2007-03-08 3151
937 사진방에 사진을 올려주세요.~^^ 酒人 2007-03-09 2042
936 한국 전통 명주 올림픽 열린다 [1] 酒人 2007-03-10 2248
935 가양주 품평회 [1] 곰돌이 2007-03-10 1986
934 초보자교육1기..... [1] 색종이 2007-03-11 2162
933 1기 교육이 무사히 끝나고...^^ [7] 酒人 2007-03-11 2287
932 일요일 오후가 즐거웠습니다. [1] 방화원 2007-03-11 2400
931 1기 교육을 마치고 [2] 은비 2007-03-12 2271
930 보람찬 하루..^_____^ [2] 장혜숙 2007-03-12 2245
929 <b>제 1기 교육을 마치면서...</b> [1] 酒人 2007-03-12 2203
928 내 얼굴. [5] SG오션 2007-03-12 2491
927 [re] 술독 제 1기 초보자 교육 3월 11일 일요일 노병철 2007-03-13 2429
926 <b>술독 교육장소를 소개합니다.</b> [4] 酒人 2007-03-14 1990
925 증류기 공동구매 하고 싶습니다 [1] 성희 2007-03-15 2199
924 <b>술독 누룩전문교실 - 마감되었습니다. </b> [34] 酒人 2007-03-15 4582
923 술병500ml [1] 비아 2007-03-15 2331
922 <b>술독 4월 교육/행사 계획 안내</b> 관리자 2007-03-16 2181
921 주인님 프로필이 궁금합니다. [1] 김정옥 2007-03-16 2175
920 <b>경상도, 전라도 지역에 계신 분들께...</b> [2] 酒人 2007-03-17 2291
919 인삼주 만들기 [3] 선버스트 2007-03-17 3516
918 <b>술독 교육생 전용공간 개설</b> 酒人 2007-03-19 2131
917 안녕하세요.. [1] 김정순 2007-03-19 2055
916 <b>봄이 되니 술에 꽃이 피네...^^</b> file [5] 酒人 2007-03-20 2317
915 2기 초보자 교실 언제 하나요.. [1] 타조알 2007-03-23 1889
914 <b>이달의 회원 = 아침이슬님 ^^ </b> [2] 관리자 2007-03-25 2142
913 <b>술독 1주년 기념 19가지 술빚기 다운받기. </b> [18] 酒人 2007-03-25 2795
912 <b>김정순님께서 술독에 기증해 주신 돌절구</b> file [3] 酒人 2007-03-25 4213
911 [re] 술독 1주년 기념 19가지 술빚기 다운받기. [1] 한뫼 2007-03-28 1889
910 <b>술독에서 술 빚기에 사용하는 공식단위</b> 酒人 2007-03-29 2856
909 생일을 축하드림? [1] 곰돌이 2007-03-29 2096
908 메일주소 [1] 곰돌이 2007-03-31 2374
907 <b>누룩전문교실 무사히 마쳤습니다.^^</b> [7] 酒人 2007-04-01 2314
906 전통주만들기보다가 이상해서 올려요~~ [4] 기우 2007-04-02 2510
905 [부엉이 와인댁]의누룩교실..후기.. file [6] 조영진(부 2007-04-02 23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