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왔어요.^^

조회 수 1974 추천 수 57 2008.03.27 21:32:19
안녕하세요. 제가 학교 때문에 강원도 동해에 있다가 서울 집을 오랜만에 왔네요.^^
오자마자 인터넷을 연결하고 술독 사이트에 접속해서 제가 쓴 글에 리플이나 혹시
새로운 글들이 올라왔나  보고있는데 할머님께서 들어오시더라고요.
예전부터 각 가정에서 술을 빚어서 마셨다는 얘기를 듣고 할머님께 여쭤봤어요.
할머니도 술 담그실주 아냐고 여쭤봤더니 할머니는 못담그신다고 하시고
할머니의 어머니, 할머니의 할머니는 술을 빚어서 독에 넣어놓고 드셨다고 하시는데
할머님은 못빚으신다고해서 좀 아쉬웠어요.^^;
(할머니께서 밥술이라고 하시더라고요^^)
하지만 할머님이 어리셨을때 어깨너머로 많이 봤으니 재료만 있으면 아마 빚을수
있을거 같다고 하시네요.
빠른시일내에 제가 술을 빚어보고 익숙해져서 할머님 모시고 술한번 빚어보고
싶네요^^
(p.s: 저희 학교 근방에 조그만 산이 있는데요. 조금있으면 산딸기가 많이 나옵니다.
        그 산딸기로 맛있는 술을 한번 담궈보고 싶은데요. 혹시 비법이나
        알고 계신 것들이 있으시면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최 원

2008.03.28 16:49:39
211.208

그게 원래 복분자주의 기원이죠. 제가 알기로 현재 생산 판매되는 복분자주의 대부분은 토종 산딸기가 아닙니다. 해외에서(뉴질랜드인지 어딘지 기억이 안남) 과실이 굵고 많이 열리는 산딸기품종을 수입 재배하여 만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에 복분자술 공장 견학중 생산자에게서 들은 말입니다.
전에 들은 얘기인데, (이 정보의 사실 여부는 반반입니다.) 원래 고유의 복분자주는 까맣게 익은 딸기가 아니라 꽃이 막 떨어진 생 딸기와 딸기나무 순을 말려서 술빚는 거라고 하더군요.
그래야 비로소 요강을 뒤집을 수 있답니다. 맛은 다연히 없겠죠.
근데 저는 요강도 없고, ㅋㅋㅋ

최 원

2008.03.28 16:54:41
211.208

요즘 양산되는 복분자술 빚는 방법은
완숙된 딸기에 20%만큼의 설탕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겁니다.
그러니까 딸기 10kg에 설탕 2kg을 섞는 거죠. 하지만 딸기의 당도에 따라서 설타으이 양은 변할 수 있습니다. 딸기의 당도가 매우 높다면 설탕은 넣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죠.

전통적인 방법은 쌀로 죽을 쑨 뒤 누룩을 섞어 딸기와 함께 발효시키는 겁니다. 전에 해봤는데 잘 안되더군요. 이유는 모르겟습니다.

최 원

2008.03.28 16:57:30
211.208

제생각인데 가장 좋은 방법은 딸기는 그냥 딸기로 드시는 게 가장 맛있는 딸기 즐기는 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酒人

2008.03.29 08:37:32
116.46.

딸기는 그냥 딸기로 드시는 게,,, ^^ (산딸기가 그렇게 많이 나와요? 시간 되면 달빛아래님과 딸기따러 가야겠다..ㅎㅎ)

1. 사이트에 몇 번 소개되었는데요. 향과 맛이 떨어지는 초,근,목,피 중 대부분은 술을 빚으면 원래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없습니다. 국화나 복분자, 계피 등과 같이 향과 맛이 강한 것들은 술을 빚어도 원래의 목표를 달설 할 수 있지만요.

2. 따라서 딸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딸기와 같은 것들의 향기와 색깔을 살리기 위해서는 "과하주" 방식을 응용하여 빚어야 됩니다. 즉, 산딸기를 증류주에 침출 시키고, 색과 향이 나게 되면 이것을 발효주와 혼합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그냥 증류주로 드셔도 좋겠죠.

마치면서

산딸기로 술을 빚었는데, 딸기의 맛과 색깔, 향기가 전혀 없다면 재미가 없죠? 다양한 응용능력을 키워 원재료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술을 빚어야 합니다. 사과, 배 등,, 다 이렇게 빚으면 되겠죠.

달빛아래

2008.03.29 23:26:31
221.146

답글 감사합니다.^^
작년에는 후배가 산딸기 따서 소주에 담가논것을 3달정도 뒤에
마셨던게 기억나네요. 그 때 향이 괜찮아서 제대로 한번 담가보고
싶어서 글을 남겼어요.^^

viagra

2008.05.01 08:04:55
78.1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51187
384 [라이스로드] 쌀로 만든 우리술을 찾아서 [1] 이군 2009-12-20 2259
383 본문 프린트할 때.... [4] 이근식 2007-02-07 2259
382 [re] 지역별 우리술에 대해 [4] 酒人 2008-03-26 2259
381 주인님.! [1] 이지현 2006-07-16 2258
380 오랫만 입니다...^^* [1] SG오션 2006-06-11 2257
379 안녕하세요^^* [1] 최 원 2007-10-29 2256
378 우리술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 [1] 도사 2009-10-10 2256
377 추카추카 회장님 [5] 공주 2009-12-03 2255
376 <b>2008년 술독 “누룩 교실”(마감) </b> [13] 酒人 2008-06-26 2255
375 농림부 전통주 육성 2010년까지 791억원 투입 [2] 이지현 2006-09-08 2254
374 내달 15일 대규모 주류박람회 열려 酒人 2006-05-11 2253
373 6월, 7월 제천농업기술센터 전통주 강의 [2] 관리자 2009-06-10 2253
372 울릉도, 독도 다녀 왔습니다. ^^ file [3] 酒人 2008-08-12 2253
371 <b>잘 마치고 돌아 왔습니다. ^^</b> file [6] 酒人 2007-04-21 2252
370 외부인사 소개 및 토론 주제 결정 酒人 2007-01-10 2252
369 <b>추석에 마실 술 - 그대로 따라하기 </b> [2] 酒人 2008-07-30 2252
368 무한지대....ㅎㅎㅎ [2] 최소희 2006-11-20 2250
367 이번에 작업한 누룩입니다. file [1] 酒人 2006-08-11 2250
366 안녕하세요~! 주인장님~ [2] 술바치 2010-01-16 2249
365 송절주 채주(12월1일)하였습니다. file [5] 도사 2008-12-02 2244
364 진짜 동동주는 어떤 맛인가요? 하얀세상의 2007-11-15 2243
363 페키지 상품으로.... [1] 최소희 2007-01-24 2240
362 술을 마시면...^^* SG오션 2006-05-16 2240
361 오~ 가입만 했을 뿐인데~~ [5] 화씨벽 2007-04-26 2239
360 봄 정기모임 사진모음 3 [3] 酒人 2008-05-01 2239
359 곰팡이... [1] 이창원 2007-08-03 2236
358 포도주 사진입니다. file 酒人 2006-09-20 2236
357 <b>눈을 감고 술독에 귀를 기울여…</b> 酒人 2007-01-25 2235
356 <b>우리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가.</b> 酒人 2006-08-03 2233
355 <b>울산 축제를 준비하면서..</b> [1] 酒人 2007-09-27 2230
354 책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냉무 [1] 대암 2007-02-09 2229
353 누룩 드셔 보셨나요.?^^ file [1] 酒人 2007-04-23 2226
352 더 늦기전에.... [3] SG오션 2007-04-10 2225
351 그간 무고한지요? [1] 김상현 2006-05-26 2225
350 궁금합니다 [3] 장인되자 2009-08-03 2225
349 4월 정기모임 쑥술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4] 봇뜰 2008-06-05 2224
348 안성 술 박물간 kbs 2 다큐 30분!! [1] 전통주 lov 2009-05-15 2224
347 쑥술 담기에 대한 질문? [3] 국태 2009-06-22 2222
346 아~! 감향주 [4] 동숙취월 2008-06-27 2221
345 酒人님 질문있읍니다??? [3] 이근식 2007-02-10 22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