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답글 : 동동주 맛은 이렇습니다.^^</b>

조회 수 4434 추천 수 78 2007.11.16 01:07:56




"수정처럼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며 가을 하늘처럼 깔끔하다."

동동주는 위 사진처럼 밥알이 동동 떠 있다하여 동동주가 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동동주=부의주"라고 하지만, 동동주는 좀 더 폭을 넓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부의주는 '부의주라는 술 자체가 존재'하고 제조법이 명확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동동주는 부의주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해도 다르게 봐야 옳을 것입니다. 즉, 동동주는 적당량의 물이 들어간 술에서 모두 볼 수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동동주를 부의주라 정의해 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동동주의 맛은 술을 빚어 시간이 지나면 위 사진처럼 술이 맑게 고이게 되는데요. 이때 맑게 고인 술을 작은 바가지를 이용해 떠냅니다. 그러면 바가지 않에 맑은 술 위에 밥알이 몇 개 동동 떠 있습니다.

이때 '한 모금의 술'이 동동주라 생각합니다. 술 맛은 이때 떠낸 술이 가장 맛이 좋습니다. 용수를 박아 맑게 된 술을 떠 내는 것은 두번째, 떠내고 다시 고인 술이 세번째, 그리고 거르고 남은 술에 물을 타 만든 막걸리가 있습니다.

맛은 처음에 밥알과 함께 마시는 동동주가 가장 맛있습니다. 위에 수정처럼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다 했는데요. 이것은 저의 아주~~~ 주관적인 판단일 뿐입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맛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지금껏 제가 마셔본 술의 대부분은 술을 빚어 처음에 맑게 고인, 밥알 몇 개가 동동 떠 있는 상태에서 떠낸 동동주가 가장 맛이 좋았습니다. 수정처럼 정말 맑고,, 사탕처럼 달콤하고,, 가을 하늘 처럼 뒷 맛이 깔끔합니다.

이때의 쌀과 물의 비율은 1:08 정도로 쌀 10리터가 들어갈 때, 물 8리터 정도가 들어간 비율입니다. 사진 속 술은 삼양주인 호산춘의 동동주 상태 술로서 아주 맑고 달콤한 맛을 지녔습니다.


1. 동동주 상태가 되고 나서 -> 술이 완성된 상태
2. 사람들은 용수를 박는다. -> 완성된 직후 동동주를 뜨고 난 다음 박는다.
3. 시간이 지나면 용수 않에 맑은 술이 고인다. -> 최고의 상태가 지난다.
4. 막걸리를 만든다. -> 배꽃 처럼 흰 막걸리가 된다.


술을 빚으면

1. 술밥이 밑으로 가라 앉고
2. 아래 있던 맑은 술이 위로 올라온다.
3. 밥알이 거의 다 가라 앉은 상태에서
4. 맨 위에 밥알 층이 남아 있게 된다.
5. 이것이 나중에 밥알이 뜬 것처럼 보이게 된다.

* 밥알이 뜨는 것이 아니라 최후에 가라 앉기 전의 상태로 가장 술 맛이 좋습니다.


추신 : 제가 만든 술 대부분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맨 마지막에 남은 지게미를 이용해 막걸리를 만들어 부모님께 드리면 부모님께서 친구분들께 선물로 드립니다.^^

그럼 자넨 술 빚어 놓고 술은 언제 마시나.?  어르신들께서 물으면...

"처음에 뜨는 동동주를 마십니다."



세상 다 가지라 해도 동동주 한 모금과 바꿀수는 없지,,,..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8988
184 보은 송로주 견학...소풍 나간 아이 마냥... file 선녀마을 2011-10-20 4744
183 맑은 술, 밥알 띄우기 [3] 酒人 2006-03-02 4750
182 농가형 식초 제조장 탐방 안내(마감) 누룩 2013-04-22 4754
181 한국가양주연구소 신.년.여.행. (마감) 누룩 2011-12-29 4757
180 3월 전통주 명주반(입문과정) - 모집(마감) file 누룩 2013-01-30 4771
179 찜솥 실리콘 깔개 보자기 file 오렌지컴 2015-12-27 4771
178 백운양조장 견학 사진들 file [1] 酒人 2012-01-23 4772
177 졸업여행 일정 - 1박 2일 file [8] 누룩 2011-06-23 4779
176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술빚기 "보경가주" [4] 酒人 2006-02-20 4787
175 진드기가 알코올의 역사를 생각하게 한다. [1] 酒人 2006-02-14 4792
174 조은술양조장 file [2] 최형순 2012-01-28 4794
173 물어볼 게시판이 없어서.. 종초요. [5] 하제 2013-08-06 4798
172 백수환동주 시음회 file 酒人 2012-02-12 4803
171 누룩!........... file [2] 라퓨타 2011-11-11 4803
170 밥알 띄우기 "부렵주" [8] 酒人 2006-02-23 4810
169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막걸리와 안주 file 酒人 2011-12-07 4821
168 고생합니다 [1] 김수로 2019-09-18 4822
167 천주와 지주 [2] 酒人 2012-01-23 4830
166 혜전대학 막걸리 품평회 - 영광의 주인공들 file 酒人 2011-12-07 4835
165 송명섭명인탐방 - 죽력고내리기체험 (모집마감) 누룩 2013-04-18 4835
164 용수 구입 문의 [2] 잉맨 2011-04-18 4854
163 머루와인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file [4] 신원 2010-10-14 4861
162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하늘이랑 2017-08-24 4861
161 <b>술에서 신맛나는 이유 총정리</b> 酒人 2006-02-24 4863
160 정말 몇년만에 찾아온 무심한 사람입니다. [1] 윤두리 2012-01-31 4867
159 백운양조장 file 최형순 2012-01-28 4868
158 졸*여사진 file [3] 빈술항아리 2011-06-27 4869
157 삼양주 거르는 시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한원장 2017-02-21 4871
156 드디어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취득했습니다. [3] 할매 2016-08-12 4873
155 공개특강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file 누룩 2011-11-07 4898
154 시인 조지훈의 주도 18단계 [2] 音美 2011-07-12 4900
153 (모집) 10월 명주반 수강생 모집(마감) 누룩 2011-08-30 4910
152 2013 전국 가양주 주인선발대회 모집안내 누룩 2013-08-02 4927
151 2011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최종 진출자 명단 누룩 2011-09-28 4929
150 한자는 우리글이다. 관리자 2006-01-01 4932
149 여기가 길인지 강인지... file [2] 酒人 2011-07-27 4943
148 삼해주가 익어갑니다. file [6] 김선호 2012-03-06 4945
147 사진으로 누룩 평가 가능할까요? file [6] 복드림 2008-08-21 4962
146 한국가양주연구소 농림수산식품부지원과정 입학식 누룩 2012-08-14 4963
145 <font color='339999'>과하주의 원리 酒人 2005-11-20 49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