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어야 하나 .....

조회 수 2093 추천 수 130 2007.07.13 22:01:10
그럴듯 해서 퍼왔네요.....

인터넷 시대에 반드시 따라다니는 새로운 문화, 바로 닉네임입니다.
이제는 이름만큼 중요한 식별도구로 쓰입니다.
누군가 호칭을 할 때도 닉네임을 부르는 일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내가 자주가는 커뮤니티와 동호회도 마찬가지였지요.

얼마 전, 내가 자주가는 동호회의 회원 한 분이 모친상을 당했습니다.
오프라인 모임엔 자주 안 나가지만 조문이라면 상황이 다릅니다.
면식있는 회원에게 연락하고 장례식장 앞에서 회원들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영안실을 찾다가 상당히 난처한 일을 겪게 되었습니다.

"근데 산꼭대기님 원래 이름이 뭐야?"
"........?"

그렇습니다.
달랑 닉네임만 알고 있는데 막상 영안실은 실명으로 표시되어 있어
초상집을 찾지 못하는 일이 생긴 것이었습니다
전화를 해서야 이름을 알게 되었고 빈소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거기서 끝난 것이 아니었습니다.

부조금은 따로 걷어서 봉투에 담았는데...
안내를 맡은 청년이 방명록에 이름을 적어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너댓명이 와서 머뭇거리다 그냥 가면 더 이상하게 생각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펜을 들어 이름을 적으려다 보니 평범하게 이순신.홍길동,변학도 등으로 쓰면
상주인 회윈이 나중에 어떻게 알겠습니까?

늘부르던 호칭으로 적어야 누가 다녀갔는지 알겠지요...
그래서, 자신있게 닉네임으로 썼습니다.

'감자양'

뒤에있는 회원도 내 의도를 파악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곤 자신의 닉네임을 썼습니다.

'아무개'
(이회원의 닉네임은 아무개입니다. )

데스크에서 안내를 하던 젊은 청년이 난감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다른회원도 닉네임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회원의 닉네임은 거북이 왕자였습니다.

안내를 하던 청년은 이제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는 민망한 표정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막상, 방명록에 이름을 적는 우리 일행도 민망하기는 마찬가였습니다.
얼른 이 자리를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아직 이름을 적지 못한, 뒤에 있는 회원분을 다그쳐, 빨리 쓰라했더니
이 회원은 계속 머뭇거리고 있었습니다.

이 회원의 닉네임은 "에헤라디야"였습니다.

빨리 쓰라고 다그쳤지만 차마 펜을 들지 못하고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아. 빨리 쓰고 갑시다. 쪽팔려 죽겠어요."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에헤라디야"라고 쓰겠습니까?
그래도 얼른 가자니까...
결국 에헤라디야 회원님은 다른 회원들보다 작은 글씨로 조그맣게 '에헤라디야' 라고 썼습니다.

그때였습니다.
마지막 남은 회원이 자리를 박차고 영안실을 뛰쳐나가는 것 아니겠습니까?
얼른 자리를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에 모두 큰 소리로 그를 불렀습니다.

"저승사자님 어디 가세요?"
"..............."

주변이 썰렁해졌습니다.
결국 우리 일행은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장례식장을 빠져나와야 했습니다.
----------------
이거 웃어야 하나 울어야 하나............

酒人

2007.07.14 00:08:01
116.46.

잘 지내시죠.?^^ 날씨가 많이 더운데 잘 지내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글을 많이 올리지 못하니 이창원님께서 이렇게 글을 올려주시고 너무 감사드립니다. 좋은 글 재밌게,,그리고 많이 생각하면서 잘 읽었구요. 조만간 다시 뵙겠습니다. ^^ 연락드릴께요.~~

이창원

2007.07.15 18:35:52
222.112

^^*..인수씨야 항상 바쁘시니.
더운날씨에 공부하시고 좋은술 연구하시느라
땀 빼시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걍 가볍게 보시고
가벼운 미소라도 띄우실수 있으면 좋지요...
인수씨와 회원님들
장마와 더위에 지치지 마시고
항상 건강 하세요.....

산우

2007.07.23 12:49:56
61.72.8

ㅋㅋㅋㅋㅋㅋ ㅎㅎㅎㅎㅎ
에헤라디야~~
저승사자~~

진짜로 우껴요~~ 오라버님!!!!!

다행히 우린 저승사자 없죠??~~~ ㅋㅋ

"안녕하시죠~~"

이창원

2007.07.23 21:38:58
222.112

^^*ㅎㅎㅎ...
산우님 더위와 장마가
서로 잘 났다 싸우는데
괜찮은 가요?
허긴 산우님의 밝은 모습에
아직 까지는 장마도 무서워 제대로
비다운 비를 못내리고
더위도 쬐끔 은 주눅 들어 있고......

다행이 저승사자는 없는뎅...
그럼 내가 ?ㅎㅎ참자....
건강 하시죠.....
밝은 모습 또한번 봐야할텐데.........
더위에 지치지 마시고 힘내요..
산우님 홧팅.....

청산애

2007.08.13 22:20:28
124.51.

그래두 재미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2594
1143 보슬보슬내리는비에 약주한잔 생각나는 하루 [1] 민주누 2021-01-26 176987
1142 <b>담양 대다무 용수(1세트 남음)</b> [7] 관리자 2007-02-12 57456
1141 재미있는 건배사 [1] 音美 2011-06-10 17303
1140 쌀 누룩의 효능 yung 2014-03-17 13639
1139 산주-예봉산 감로주 [1] 최동환 2006-10-19 12744
1138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3일째 (검은 반점같은것들은뭔가요) 술승민 2021-01-20 11955
1137 [오늘 날씨] 곳곳 소나기, 습도 높아 '후텁지근'…주말 장마전선 다시 북상, 전국에 '비 감빵굿 2019-06-28 11378
1136 <b>쌀을 불리는 시간 @ 1시간이면 충분하다. </b> [2] 酒人 2006-04-18 10975
1135 주정분온도환산표 다운받기 file 누룩 2011-05-13 10579
1134 청소년 많은 거리서 수차례 음란행위…프로농구선수 정병국 영장 감빵굿 2019-07-19 10510
1133 이스트 막걸리 도전기 [1] 조나골드 2020-02-12 10374
1132 쌀 흩임누룩과 이화곡 file [3] 酒人 2012-04-30 9888
1131 쌀누룩 알고싶어요 [3] 곰킹짱 2011-05-11 9503
1130 술 빚을 때 옹기를 사용하는 이유?? 酒人 2006-01-13 9385
1129 우리술 이야기꾼 '전통주해설사자격증' 생겼다. 누룩 2012-01-23 9272
1128 술 관련 자격증 file 音美 2011-05-24 8992
1127 양주방-뿌리깊은 나무 잡지를 구했네요. ^^ file [5] 酒人 2012-03-12 8844
1126 오랜만에 들ㄹㅕ요. 이지예 2019-06-04 8827
1125 9월 대구 술공방 모임. file [5] 김선호 2011-09-30 8767
1124 명주특강 - 조선최고의 名酒 백화주(마감) file [10] 누룩 2012-02-03 8354
1123 넌센스퀴즈 ~ [2] 김우빈 2019-11-22 8218
1122 실패하여 시어진 막걸리로 식초 만들기 [펌] [3] 소동파 2009-01-20 8218
1121 <b>초파리 제거하는 방법</b> [3] 酒人 2006-10-25 8186
1120 국비지원 - 전통주소믈리에과정(전통주소믈리에 자격증 수여) [12] 누룩 2013-01-07 8137
1119 제 8기 정규과정(전통주기능사) 모집 3월 5일 개강(마감) 누룩 2012-01-27 7802
1118 7월 13일 초복 누룩만들기(벼누룩 시연) 행사 (마감) file [3] 누룩 2013-06-25 7762
1117 MBC 특집 < 한국의 전통주 > [4] 아리랑 2012-03-07 7730
1116 <b>2월 28일(토) "술독정기모임" - 잣술 빚기</b> file [14] 관리자 2009-02-04 7620
1115 막걸리-천상병 [1] 音美 2011-04-27 7493
1114 증류시 메틸알콜을 버리는 시점은? [2] 비야 2007-12-06 7422
1113 식초학교 '제 2기 전통식초전문가 과정' (마감) file [4] 누룩 2012-11-06 7414
1112 名酒 시음회 - 백수환동주(백발의 노인이 아이가 된다는 술) [12] 누룩 2012-02-05 7379
1111 전통주 전문가과정 마스터반 교육생 모집(마감) file 누룩 2011-12-26 7159
1110 독일 프랑크푸르트 알트-작센하우젠 전통주~ file [2] 모수 2010-06-22 7126
1109 발효주의 알코올 도수가 낮은 이유 [1] 酒人 2006-03-30 7118
1108 역사속으로 - 1. 삼일주와 부의주 [3] 酒人 2006-03-08 6989
1107 <b>술독이 제작한 알코올도수 측정 증류기</b> 酒人 2007-03-06 6985
1106 국비지원 - 9월 농림부 우리술빚기과정 수강생모집 file 누룩 2013-05-29 6848
1105 <b>상근백피주(뽕나무뿌리껍질)</b> file 酒人 2006-05-30 67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