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출주와 희석식소주에 대하여

조회 수 3571 추천 수 178 2006.06.20 08:26:01
이상훈 고수님의 글을 읽고 그동안 미뤄왔던 침출주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드리며 거기에 덧하여 몇자 적고자 합니다.


문제는 침출주에 사용되는 희석식 소주에 있다.

흔히 ‘침출주’라 함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에 과실이나 약재 등을 넣어 약효로서의 효능을 얻기 위한 술이라 할 수 있다. 알코올 도수가 낮은 술은 약효가 잘 빠져 나오지 않아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침출주를 담기 위해 가장 적당한 알코올 도수는 45-50% 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즉, 45-50% 의 증류주를 이용하지 않는 한 좋은 침출주를 만들 수 없다는 것과 같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담금용 소주’는 알코올 도수 95%의 주정에 물과 여러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이것을 ‘희석식소주’라고 한다. 희석식소주에는 < 사탕, 구연산, 아미노산류, 솔비톨, 무기염류,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또는 물엿 등> 이 들어가는데 이것은 주정에 물을 타면 술의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갖가지 조미를 한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주정에 물을 탔기 때문에 ‘희석식’이 아니라 갖가지 조미를 하여 술의 맛을 희석했기 때문에 희석주라고 부르는 것이 어쩌면 더 정확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럼 희석식소주에 들어가는 첨가물료를 좀 더 정확히 알아보자.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스테비오사이드>는 설탕의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내는 천연감미료로 세계 여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저칼로리 감미료로 사용되고 있다. 얼핏보면 천연감미료이고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하니까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스테비오사이드>는 선진국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알코올과 화학반응하여 유독성 물질인 스테비올로 변화한다는 연구 보고서가 있어 선진국에서는 주류에 첨가하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즉, 국민의 건강을 위해 국가에서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어 국민의 건강은 어디로 가고 없다.

수 많은 첨가물료 가운데 <스테비오사이드>만을 예로 든 것은 그만큼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첨가물료가 들어간 ‘담금용 소주’를 이용하여 침출주를 담는다?? 뭔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아무리 좋은 산삼을 침출주로 담는다해도 그 술은 약주가 독주가 되는 것이다.
모르고 먹으면 약이요. 알고 먹으면 독이니 ‘증류식소주’가 아니면 침출주를 잘 만들지 않게 된다.

<스테비오사이드>외에 주세법령에는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에리스트롤, 자일리톨, 산탄검, 글리세린지방에스테르> 등 식품위생법상 허용되는 첨가물료는 술 빚는데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약재의 중요 성분을 높은 알코올을 이용해 빼내려 한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이런 술을 마시면 술 속에 포함된 수 많은 첨가물들이 알코올의 영향으로 여러분의 몸 속에 깊숙히 자리를 잡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에는 드러나지 않아도 내 자식들, 더 오래 지나서는 내 자식의 자식들에게 분명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Ps : 침출주’는 가양주이며 우리가 손 쉽게 만들어 즐기고 있는 국민주 임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침출주를 만들 때 사용하는 희석식소주는 일제가 러.일 전쟁을 할 때 일본에 들어오는 연료의 공급이 끊어지게 되자 전쟁에 쓰일 연로로 만들어 진 것이며 그 공장을 한반도에 세우게 된 것입니다.

전쟁이 끝나자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주정을 술로 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꿨습니다. 나라에서는 국민의 건강보다는 세금이 먼저였습니다. 이렇게 해서 지금까지 그 관행은 꾸준히 지켜오고 있습니다. 50년 넘게 희석식소주를 허가해 왔다가 희석식이 나쁘니 먹지 마세요.? 라고 국가가 국민에게 말 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우리의 몸은 우리 스스로 챙겨야 하는 것입니다. 저는 수도 없이 “우리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양주가 살아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양주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좋은 술이 어떤 술인지 알게 됩니다. 많은 국민들이 좋은 술을 찾다 보면 당연히 그들의 관행도 바뀌게 되어 있습니다.

이상훈 고수님께서 말씀 하신 것처럼 침출주의 맛은 분명 다른 복분자나 다른 곡주등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별로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침출주에 사용되고 있는 희석식소주에 있다고 봅니다. 맛은 둘째 치더라도 그 술이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술.....우리술..... 우리술..... 우리술..... 우리술..... 아~~~ 우리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7248
104 2016년 동문 삼해주,삼오주 대회 file 누룩 2016-02-28 2782
103 안쓰는 누룩방 같은 발효실을 찾고 있는데.. [1] 알이즈웰 2016-03-06 2895
102 수업 일정 문의드립니다. [1] 라즈베리 2016-04-11 2540
101 강의를 서울 외에서도 들을 수 있게.. 입만살아가지고 2016-07-18 2218
100 23기지원 합니다 [1] 자유로운 영혼 2016-07-20 2230
99 드디어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취득했습니다. [3] 할매 2016-08-12 4792
98 인니에서 효모없이 술 담다가... [1] 맑은거울 2016-08-13 2726
97 2016 궁중술빚기 대회 공지 누룩 2016-10-12 2557
96 산정호수억샊꽃축제 막걸리 한마당 올인 2016-10-17 2614
95 벽향주 밑술에 대하여 [1] 희망 2016-10-25 2770
94 삼양주 거르는 시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한원장 2017-02-21 4800
93 오전 교육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마타하리 2017-02-22 2543
92 초대장 송학산방 2017-03-29 2523
91 봄의 술, 애주 酒人 2017-05-21 2643
90 흩임누룩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초보아빠 2017-06-26 2454
89 안녕하세요. 교육과정 질문있습니다 [1] 삼킨태양 2017-07-14 2129
88 여쭤봅니다 하늘이랑 2017-08-02 2288
87 안녕하세요!! 질문이있습니다. [2] 묻지마투자 2017-08-04 2838
86 우리에게 필요한 술은? 酒人 2017-08-04 2309
85 지평막걸리..쥐 나와.. 전통주조맨 2017-08-06 2811
84 경기도 화성 술 여행 (2017.08.26) 관련으로 질문이 있습니다. [2] 창공 2017-08-10 2434
83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얼쑤' file 누룩 2017-08-21 3609
82 질문이 있습니다. [1] 묻지마투자 2017-08-23 2313
81 석탄주 거르는 시기? [1] 하늘이랑 2017-08-24 4693
80 아일랜드 여행기록집 <I wish, Irish> 출판기념회 (11기/지도자3기 신동호님) file 누룩 2017-08-25 2363
79 역가 [1] 쩐신 2017-08-26 3137
78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다모토리ㅎ' file 누룩 2017-09-07 4571
77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저녁반 시음회 안주들 달마조 2017-09-15 2284
76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두두' file [1] 누룩 2017-09-15 3111
75 우리술빚기 명주반 26기 시음회 모습니다. 달마조 2017-10-09 2292
74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맑은술' file 누룩 2017-10-14 3776
73 쑥대발 살수 있는곳 file 오렌지컴 2017-10-20 2843
72 술과 음식의 만남 - 춘삼월X배혜정도가 file 누룩 2017-11-20 3727
71 기사] 주당들의 헌법 주국헌법(酒國憲法) 니모 2017-11-24 3727
70 한국 최초 조선 요릿집 `명월관`술당그는법 니모 2017-11-24 3613
69 입금관련문의 금산전여사 2017-12-09 2500
68 설 선물세트 기획전은 없나요? 달마조 2018-01-19 2958
67 28기 수강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양조 도구 꿀팁 오렌지컴 2018-04-12 2938
66 안녕하세요 ~~전통형식의 누룩방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 [2] 누룩방 누룩방 2018-04-17 3245
65 누룩에 관해 여쭤보고싶은게 있습니다. 누룩방 누룩방 2018-05-09 26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