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봄 술빚기 2. 쑥술(艾酒)에 대하여</b>

조회 수 2903 추천 수 146 2006.04.11 08:06:16
애주(艾酒)는 한자 뜻 풀이 그대로 "쑥"을 이용하여 빚은 술입니다. 4월 그믐께 밑술을 하고, 5월 초사일에 나는 참쑥을 이용하여 덧술을 담는 술로 조선시대 문헌인 <수운잡방.1500초>, <요록.1680년경> 에 기록된 술로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어디를 가도 구할 수 있는 쑥을 이용해 조상들은 독특한 방법으로 애주를 빚어왔습니다. 특히, <수운잡방>에 기록된 애주의 제조법은 쉽게 이해가 가지 않아 실험을 해보기 전에는 그 어떤 답도 드릴 수 없다는 것을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수운잡방>에 기록된 애주의 제조법입니다.

밑술 빚기

1. 4월 그믐께 백미 1말로 죽을 쑨다.
2. 차게 식으면 누룩 1되를 섞어 술독에 담는다.
3. 단단히 봉해서 시원한 곳에 둔다.


덧술 빚기

1. 5월 초 4일에 참쑥잎을 따서 쌀 1말과 같이 섞어 깨끗한 자리에 펼쳐놓는다.
2. 5월 5일 이른 아침, 고두밥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3. 밑술과 섞어 손바닥 크기의 떡을 만든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1. 나무 발을 만들어 술독 가운데 걸쳐 놓는다.
2. 나무 발 위에 떡을 얹는다.
3. 김이 새지 않도록 단단히 봉해 찬곳에 둔다.
4. 8월 보름에 봉해 둔 것을 열어 나무발 밑의 맑은 술을 떠낸다.


만병이 낫는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쌀에 섞는 쑥의 양은 많고 적음을 보아 가며 뜻대로 할 것이며 대충 대충한다고 한다. 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밑술과 덧술을 빚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나무 발을 만들어 그 위에 쑥 빚은 떡을 올려 놓아야 하는데, 어떤 식으로 나무 발을 만들어야 할지 난감했습니다.

나무 발이 어떤 모습일지 생각해 봤습니다.

일단 술독안에 들어갈 정도의 나무 받침대를 만들고, 나무 받침대 위해 갈대 또는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만든 가리개를 크기에 맞게 잘라서 올려 놓으면 될 것이라 봅니다.

그렇게 되면 떡은 나무 발 위에 남아있게 되고 즙은 나무 발 안쪽에 고이게 될 것입니다. 보통의 술이 위로 고이는데, 애주는 나무 발을 이용해 아래로 고이게 한 것이 독특한 제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가치가 있는 술빚기라 생각합니다.


5월 초에 빚어 8월 보름에 꺼낸다 했으니 거의 100일간의 저온 발효를 통해 빚는 장기 발효주에 속하는 술입니다. 그러나 애주에 대한 기록이 1700년대 이후의 문헌에는 나와 있지 않아서 더욱 다양한 애주의 제조법을 찾을 수 없어 안타까웠습니다.

다음은 <요록>에 기록된 애주 빚는 법입니다.

<요록>에 기록된 애주 빚기는 단양주의 술이며, 쑥을 끓여 건더기는 버리고 즙을 취한 후에, 백미 1말로 고두밥을 만든 다음 즙을 넣어 식힙니다. 여기에 누룩 2되를 넣어 잘 섞어 술독에 담아 익으면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4339
1144 안녕하세요~! ^^ secret [1] 술바치 2010-01-27 290
1143 주인장님께~! secret [2] 술바치 2009-12-31 328
1142 주인님께~ secret [1] 한국인 2009-02-25 368
1141 사진을 받고싶어서 들렀네요.. secret [1] 선인장 2007-05-16 648
1140 오늘의 명언 [1] 이지예 2024-02-25 1224
1139 좋은글 이지예 2024-01-12 1286
1138 새해 첫 날의 사랑노래 이영훈 2024-01-19 1297
1137 새해의 기도 이영훈 2024-01-19 1323
1136 성공 [1] 이지예 2024-01-16 1402
1135 마음 속 우편함 [1] 이영훈 2024-01-19 1475
1134 백곡 두번째 뒤집기.1 file [1] 봇뜰 2008-07-25 1620
1133 8월 정기모임--봇뜰님 정원 file [2] 도사 2008-08-24 1620
1132 두번째 뒤집기 file [4] 모락산(진 2008-07-21 1621
1131 한가위...잘 보내세요...*^^* [3] 최소희 2007-09-24 1621
1130 유월 마지막 날에 쓴 산골일기 [2] 도연명 2008-07-09 1622
1129 짝꿍 끼리... file [1] 봇뜰 2008-07-16 1622
1128 완성된 누룩... file [2] 봇뜰 2008-07-16 1623
1127 신문 벗긴 누룩 입니다... file [2] 봇뜰 2008-07-16 1623
1126 백곡 뒤집기 3,,, file [2] 봇뜰 2008-07-19 1623
1125 8월 정기모임--봇뜰님 정원 file [1] 도사 2008-08-24 1623
1124 고향이그리워.. [1] 대감 2008-12-21 1623
1123 베란다에 &#52287;아온 봄.............. file [1] 도사 2009-02-25 1623
1122 봇뜰에서 마지막 사진... file [1] 봇뜰 2008-07-16 1624
1121 <b>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b> 酒人 2008-09-09 1624
1120 술독화이링~ [1] 권희승 2007-11-15 1624
1119 다들.. 한가위 만 같으세요들.. [1] 산우 2007-09-28 1624
1118 봇뜰네 시계꽃 file [3] 모락산(진 2008-06-23 1624
1117 틀에 밀가루 담기... file 봇뜰 2008-07-16 1624
1116 어제 작업했습니다. [4] 빨강머리앤 2008-07-17 1625
1115 백곡 두번째 뒤집기.2 file [2] 봇뜰 2008-07-25 1625
1114 십중팔구님과 관악산에서... file [2] 酒人 2008-09-03 1625
1113 10월정기모임 file [4] 복드림 2008-10-13 1625
1112 설날을 앞둔 우리의 바램 [2] 내사랑 2009-01-25 1625
1111 누룩 잘 디디세요~~~~ [2] 최소희 2008-07-10 1625
1110 다른생각 하는 팀들... file 봇뜰 2008-07-16 1625
1109 백곡 뒤집기 2,,, file [2] 봇뜰 2008-07-19 1626
1108 8월 정기모임--실습 및 시음 file [3] 도사 2008-08-24 1626
1107 우리 전통주의 미래는 밝다. [4] 내사랑 2008-11-30 1626
1106 새해 복~~! [2] 한국인 2009-01-04 1626
1105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달빛아래 2009-01-23 16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