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봄 술빚기 1. 진달래술(杜鵑酒)</b>

조회 수 3451 추천 수 165 2006.04.10 04:39:03
현재 들과 산에는 봄 꽃들이 많이 피어 있습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봄에는 "두견주(진달래술), 매화주, 도화주(복숭아꽃술), 아카시아주 등을 빚어 왔습니다. 그러니,,,  우리도 빚읍시다.^^

요 몇일 황사때문에 꽃 따기가 힘들었는데요. 공기 좋은 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산에 올라가면 쉽게 꽃을 딸 수 있으니 좋으시겠어요.(부러움..^^) 꽃을 많이 따서 처치하기 곤란하다 생각되시는 분은 저에게 좀 보내주세요. ^^

오늘부터는 진달래꽃, 5월 초에 쑥을 이용한 애주(艾酒), 5월 중순쯤에 아카시아주 를 빚기위해서 차례대로 술 빚는 법을 올릴까 합니다. 가능한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제조법을 적을 것이니 궁금한 것은 바로바로 질문해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무엇이 부족한지 알 수 있잖아요.^^

먼저, 진달래꽃 술을 빚어 봅니다.


봄 술빚기 1. 진달래술(杜鵑酒)

주의> 요즘 진달래꽃이 많이 피어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잘 보이는 곳의 꽃과 한 나무의 꽃을 모두 따는 것 피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진달래의 꽃술에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술을 빚는 진달래꽃은 꽃술을 제거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시간이 넉넉하면 너무 욕심부려 많이 딸 생각하지 마시고요. 알맞게 따서 술 빚으시길 바랍니다. 꽃 따는 처음부터 꽃술을 제거하고 따면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나중에 일이 편해집니다.


밑술 빚기

항상 하는 이야기지만 자신이 잘 빚는 술에 가향재를 넣어 빚으면 더욱 좋습니다.

1. 멥쌀2되(1.6kg)를 깨끗이 씻어 물에 10시간 정도 담가 둡니다.
2. 물기를 제거하고 방앗간에서 곱게 가루냅니다.(소금없이..)
3. 물 5.4(3되)로 죽을 만듭니다.
4. 차게 식으면 누룩 500g(1되)을 넣고 잘 섞어 술독에 담습니다.


술독이 따뜻해지면 꺼내서 식혀주고, 다음날(약24시간 후)에 덧술을 합니다.


덧술 빚기

1. 찹쌀 6.4kg(8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10시간 정도 담가 둡니다.
(술빚기 하루 전에 해야 합니다.)
2. 고두밥을 만들어 차게 식힙니다.
3. 물 1.8리터(1되)를 끓여 식힙니다.
4. 고두밥과 밑술, 누룩 500g(1되), 끓여 식힌 물 1.8리터와 잘 섞는다.(술덧)
5. 진달래꽃 200-300g을 켜켜로 술독에 담는다.


즉, 술덧-진달래-술덧-진달래-술덧 순으로 섞어 줍니다.

6. 술독이 따뜻해지면 식혀주고 술이 익을때까지 서늘한 곳에 보관합니다.

술덧 표면에 술이 맑게 고이면 마십니다. 방법은 이러한데, 좀 더 독한 술로 빚고자 하다면 밑술을 범벅으로만 바꿔줘도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꽃을 이용한 술빚기는 거의 다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옛 문헌에 기록된 두견주는 위의 방법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 방법은 일반 가정에서 빚을 수 있도록 곡물의 양과 제조법을 다르게 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옛 방법으로 빚고자 하시는 분은 전통주만들기-가향주에 가시면 두견주빚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전통주의 자존심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시음표와 레시피 작성표 다운 받아가세요. file [6] 누룩 2011-07-10 42739
864 펌) 전통주 등의 홍보전시․교육관 운영기관 모집 공고 [1] 모래요정 2011-10-05 3626
863 뒤늦게 깨달은 한가지 file [1] 술은 술, 물은 물 2019-03-12 3624
862 6기 졸업식에 초대합니다 누룩 2012-01-03 3608
861 12기 졸업식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누룩 2013-05-19 3608
860 이상훈님의 답글에 대한 답변입니다. [5] 酒人 2006-04-20 3607
859 2014년 5월 전통누룩학교 (마감) file 누룩 2014-03-29 3606
858 여러분께 이 상장을 바칩니다. [10] 酒人 2011-01-03 3606
857 <b>양협토기 및 대한민국술박물관 견학기</b> [4] 酒人 2007-02-26 3603
856 한경 독서리더클럽 강연 지상중계 -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 [1] 누룩 2011-08-31 3593
855 호산춘덧술 예그린 2013-09-29 3578
854 술과 음식의 만남 - '배혜정도가 X 맑은술' file 누룩 2017-10-14 3577
853 1월 1일 마시는 도소주 시음 및 약재 배포 [18] 酒人 2014-01-23 3569
852 '하우스 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누룩 2015-02-09 3567
851 드디어 완성된 삼양주 호산춘 file [2] 酒人 2006-03-12 3567
850 <b>6월 23일 토요일 술독 정기모임</b> [6] 酒人 2007-06-03 3561
849 가양주연구소 난지여름캠프 file 빈술항아리 2011-06-27 3558
848 술탐방 때 찍은 단체사진들... ㅎㅎㅎ (2) file [2] 초록로즈마리 2011-08-18 3552
847 자주에 대하여......답글입니다.(길어서.^^) [4] 酒人 2006-03-13 3551
846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酒人 2006-02-16 3548
845 행복에 대하여... 둘레길 2013-04-01 3533
844 <b>2010 대한민국 가양주 酒人 선발대회 최종결과 </b> file [2] 관리자 2010-11-29 3533
843 한국전통주교육연구원 설립 [10] 관리자 2010-08-18 3523
842 기사] 주당들의 헌법 주국헌법(酒國憲法) 니모 2017-11-24 3522
841 Korea Food Expo 2011 누룩 2011-11-08 3508
840 술과 음식의 만남 - 춘삼월X배혜정도가 file 누룩 2017-11-20 3502
839 진상주 밑술, 덧술 완성사진 file 酒人 2006-08-24 3502
838 침출주와 희석식소주에 대하여 酒人 2006-06-20 3493
837 류인수 지음 “막걸리 수첩”을 반갑게 접하고... file [2] 비바우 2010-09-18 3483
836 이월춘의 시 - 진해 막걸리 [1] 모수 2010-06-30 3481
835 '가을' 술박물관 견학 및 국화주 시음 탐방 [32] 관리자 2010-09-10 3479
834 술지게미 재활용... file [1] 도사 2008-11-15 3476
833 완성된 칡 소주입니다.~^^ file [1] 酒人 2006-04-27 3467
832 옥수수술 [1] 박승현 2006-03-16 3466
831 막걸리 누보 & 페스티벌 ?! [1] 당근걸 2011-09-21 3465
830 인삼주 만들기 [3] 선버스트 2007-03-17 3465
» <b>봄 술빚기 1. 진달래술(杜鵑酒)</b> 酒人 2006-04-10 3451
828 초일주 빚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잉맨 2011-04-21 3449
827 막걸리 제조장 견학 및 탁사발 만들기 체험 관리자 2010-02-16 3442
826 2014 국선생 선발대회 (탁주부문) 참가모집요강 file 누룩 2014-09-22 3430
825 [▶한국양조과학회]추계학술대회 안내 11/23(금)고대교우회관 file [2] 조영진(부 2007-11-14 34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