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테이션/뉴스데이트]핀란드인 따루 “주모라고 불러줘”

조회 수 3143 추천 수 3 2010.11.04 00:39:40
박제균 앵커) '미녀들의 수다'라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핀란드인 따루 살미넨 씨를 아시는 분들 많을 겁니다. 유창한 한국어 실력에 한국인보다 더 한국인 같은 모습으로 인기를 얻었죠.

(구가인 앵커) 따루 씨는 스스로를 자칭 막걸리 홍보대사라고 소개할 만큼 막걸리 사랑이 지극한데요. 최근 자신의 이름을 딴 막걸리 주점을 열었습니다. 따루 씨를 만났습니다.

시끌벅적한 막걸리 주점. 분주하게 움직이는 파란 눈의 여성은 이 주점을 이끌고 있는 핀란드인 따루 살미넨 씨입니다.

(PIP / 인터뷰) 따루 살미넨
"주모예요, 주모. 매니저랄까. 주모라고 부르셔도 되고요. 아니면 매니저라고 부르셔도 돼요."

외국인들이 출연하는 토크 프로그램을 통해 유명한 따루 씨는 지난주 서울 홍대 부근에 자신의 이름을 딴 주막을 열었습니다.

막걸리 주점을 열게 된 건 그의 막걸리 사랑 때문이었습니다. 12년 전 처음 한국을 방문했던 따루 씨는 당시 막걸리 주점이 많았던 고려대 근처에서 머물면서 처음으로 막걸리와 인연을 맺었습니다.

(인터뷰)
" 맥주하고 소주를 먹었는데 썼어요. 써서 안 맞았어요. 요즘엔 안 가리지만. 그래서 막걸리를 먹었는데 너무 맛있는 거예요. 저는 옛날 스타일 막걸리를 좋아해요. 처음에는 서울 막걸리 밖에 몰랐고요. 지역 막걸리는 마시게 된 게 2년 전부터였던 거 같아요. 지방 여행 다니면서 부산 막걸리도 마셔보고 대구 막걸리도 마셔보고 고창 막걸리도 마셔보고 그랬는데요. 그러면서 아, 막걸리 정말 와인만큼 맛이 다양하구나 느끼고."

따루 씨는 막걸리의 장점으로 맛은 물론 건강에도 좋은 술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는 특히 막걸리를 인간적인 술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 막걸리는 배신 안하는 친구 같아요. 사람은 배신할 수 있지만 막걸리는 배신 안 해요. 항상 기분이 좋아지고. 저는 방송에서 항상 말을 하는 모습만 나와서 사람들이 실제 저를 보면 실망할 때가 많아요. 제가 말이 없거든요. 낯을 가리고. 근데 막걸리를 먹으면 좀 풀리고, 사람하고 잘 어울리고 그래요."

막걸리 주점을 열기로 결심한 뒤 올해 초에는 막걸리 교육기관을 다니며 막걸리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했습니다.

(인터뷰)
" 제가 막걸리도 처음으로 빚어봤어요. 한 세 번 빚어봤고요. 수삼 막걸리, 복분자 막걸리도 빚어보고, 막걸리 칵테일도 배워왔어요. 누룩도 만들어보고. 실습도 재밌지만 역사적인 것도 재밌어요. 한국인들도 잘 모르는 건데, 요즘 막걸리가 대세라지만 70년 대 소비량과 지금 소비량을 비교하면 1/10밖에 안돼요. 양조장도 정말 많았는데 일제시대부터 집에서 못 빚게 하면서 사라졌어요. 요즘 양조장도 너무 없고 누룩 만드는 양조장도 세군데 밖에 안 남았어요. 아쉽죠, 문화가 많이 죽어서."

따루 살미넨 씨는 막걸리 뿐 아니라 한국문화 전반에 대해 한국인보다 더 잘 아는 외국인으로 유명합니다.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서 동아시아학을 전공한 그는 우연한 계기로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인터뷰)
"다른 사람이 안하려는 거를 하고 싶어 하는 취향이 있어요. 원랜 뭘 전공할지 몰랐어요. 외국어 배우는 거 좋아했고요. 대학 들어갈 때 뭘 공부할까 고민하다가 아시아 아프리카과가 있어요. 거기에 동아시아학이란 게 있고요.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있었는데 다른 친구들은 일본과 중국으로 갔거든요. 한국어 전공자는 다섯 명도 안됐는데, 저는 이걸 해보자. 원래 알고 있던 펜팔친구도 있어서 한국에 대한 기본 지식도 좀 있었고... 그래서 한 번 질러봤죠."

1998년 첫 방문 후 서울대에 교환학생으로 오는 등 매년 한국을 찾았습니다. 4년 전부터는 아예 한국에 머물러 통·번역일과 방송일 등을 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 한국 왔다가 다시 돌아갈 때 항상 너무 슬펐어요. 더 오고 싶고, 음식도 그립고 그랬는데 4년 전 여기 정착한거죠. 핀란드 사람과 한국사람 차이가 뭐냐면, 물론 한국 사람도 외국인 보면 처음에 경계하긴 하지만 한번 같이 한잔 하면 친구가 되거든요. 쉽게 친해질 수 있어요."

따루 살미넨 씨는 앞으로도 한국과 핀란드의 가교 역할을 할 계획입니다. 핀란드인 주모로서 그의 꿈은 뭘까요.

(인터뷰)
" 주막은 처음 시도해보는 건데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부족하더라도 이해해주시고요. 제가 하고 싶은 건 손님들과 이야기도 하고 고민상담도 하고 했으면 좋겠거든요. 잘 되면 핀란드에도 하나 열고 하고, 어떤 분은 대만에 내고 싶다고 했고, 어떤 분은 미국에 하면 대박 나겠다고 하고... 아직 말 뿐이지만 그런 꿈을 키워가면서요."

동아일보 구가인입니다.

동아일보 구가인기자
2010-11-03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sort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652 2018-12-17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서울신문 2005-05-03 09:12] [서울신문]‘안동소주, 문배주, 두견주….’ 한국인이면 누구나 다 아는 민속주지만 경영실적은 ‘빛좋은 개살구’다. 한국의 술맛을 대표하는 민속주들이 시련을 겪고 있다.‘명절 선물용’이란 의식에다 ‘신세대 입맛에 맞지 않는다.’...

  • 조회 수 2312
  • 2005-08-30

술잔 커진 한국

[한겨레 2005-09-14 02:06] [한겨레] ‘한국은 지금 술 권하는 사회?’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탓인지 과음이나 폭음을 하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조세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음주의 사회적 비용 감축을 위한 주세율 체계의 개편방안’ 자료를 보면, 술 마...

  • 조회 수 1578
  • 2005-09-14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의 우리 국민 1인당 소비량이 세계 4위

[중앙일보 김원배] 소주.위스키 등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의 우리 국민 1인당 소비량이 세계 4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조세연구원이 주최한 '주세율 개편에 관한 공청회'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선 홍익대 장근호(경제학) 교수는 "우리 국민의 ...

  • 조회 수 2531
  • 2005-09-14

거품빠진 보졸레누보 인기 왜?

해마다 11월 셋째주 목요일을 앞두고 프랑스 부르고뉴의 보졸레 지방에서 출하되는 보졸레누보 행사에 대한 홍보가 한창이다. 1996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불과 2~3년 전까지만 해도 “올해 보졸레누보 마셔봤어?”란 질문이 오갈 정도였다. 하지만 그간 이...

  • 조회 수 1569
  • 2005-12-28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서울신문]‘안동소주, 문배주, 두견주….’ 한국인이면 누구나 다 아는 민속주지만 경영실적은 ‘빛좋은 개살구’다. 한국의 술맛을 대표하는 민속주들이 시련을 겪고 있다.‘명절 선물용’이란 의식에다 ‘신세대 입맛에 맞지 않는다.’ 등 판매부진 이유도 가지가지...

  • 조회 수 1670
  • 2006-01-10

"전통주 비법 211가지’ 펴낸 전통주연구가 박록담씨 [1]

<br><br> "전통주 비법 211가지’ 펴낸 전통주연구가 박록담씨 “일제가 맥끊은 가양주 800가지 발굴” / 오철우 기자 이정용 기자 “우리 전통주는 누룩에 앞서 향입니다. 그런데 지금 전통주는 누룩이 중심이고 향기는 뒤로 밀려 있죠. 제대로 빚은 전통주에선 ...

  • 조회 수 2094
  • 2006-02-04

안성 술박물관 박영덕 관장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게,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청하옴세, 백년덧 시름 잊을 일 의논코자 하노라.’ 경기 안성에 위치한 술박물관에 들어서면 눈에 띄는 시조이다. 한잔 두잔 오가다보면 슬픔을 지워주고 기쁨을 더해주는 술. 낯선 사람...

  • 조회 수 3809
  • 2006-02-07

"술방사람들" 전통술 발표회 [1]

한국전통주연구소 내 모임인 ‘술방사람들’은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서호갤러리에서 전통 술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연꽃 향이 나는 ‘하향주’를 비롯해 과하주 송화주 등 전통 술 수십 종을 맛볼 수 있다. 동아일...

  • 조회 수 2096
  • 2006-02-07

소주 순해지고 전통주 독해지고 [1]

소주업체와 전통주 업체가 알코올 도수를 놓고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소주 업체들은 알코올 도수를 낮추는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전통주 업체들은 오히려 높여 가고 있다. 양측 모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판매를 높여보겠다는 전략이지만 시장에서 어...

  • 조회 수 2000
  • 2006-02-09

주류관련 학과가 새로 생겨 알려드립니다 [1]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http://www.suv.ac.kr)라는 곳인데요. 2006년3월부터 발효식품과학과가 신설되었습니다. 이 과를 소개하는 내용을 조금 옮겨 보면 <주류산업의 리더, 건강 기능성식품의 미래를 개척하는 첨단 발효식품과학과 우리나라의 주류산업 및...

  • 조회 수 3323
  • 2006-02-09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전통주 연구소 박록담 선생 "미치지(狂) 않으면 미치지(及) 못한다.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 일이란 없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모 교수의 책에서 읽은 글귀이다. 어떤 한 가지 일에 모든 정성을 쏟고 인생을 내던지는 사람들을 보면 갑자기 숙연해...

  • 조회 수 6495
  • 2006-02-09

&lt;오후여담&gt;귀밝이술

[문화일보 2006-02-11 13:11] 우리 민족의 음주 기록은 멀리 부족국가 시대까지로 거슬러 올라 간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의 집단 행사 때면 술을 마셨다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백제의 ‘수수...

  • 조회 수 1979
  • 2006-02-11

여보 오늘 밤 한잔 어때

[중앙일보 이훈범] 인류의 역사는 곧 술의 역사다. 수렵시대에는 과실로, 유목시대에는 가축의 젖으로 술을 만들었으며 농경시대에는 곡물을 원료로 술을 빚었다. 이집트에서는 이미 기원전 3000년에 맥주를 만들었고, 6세기 중엽 중국의 양조법은 오늘날과 차...

  • 조회 수 2035
  • 2006-02-11

‘스펀지’ 때문에 화재·화상 줄이어 [1]

‘스펀지’ 때문에 화재·화상 줄이어…‘진드기퇴치법’ 따라하다 시청자들 ‘봉변’ [쿠키사회] ○…KBS2TV의 정보성 오락프로 ‘스펀지’에서 방송된 ‘진드기 퇴치법’을 따라하던 다수의 시청자들이 화재,화상 등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고 있다. ‘스펀지’...

  • 조회 수 2302
  • 2006-02-14

부산일보 기사에서........

사랑방 아랫목에 담요로 둘둘 말아 놓은 술독. 거품이 뽀글뽀글 커지면,하늘의 달도 차올랐다. 술독 위에 뜨는 맑은 술을 걷어내 대병 한 병 가득 채울 무렵,대보름이 되었다. 어른 아이 없이 겨울 냉기로 쟁인 차가운 술에 귀밑이 벌개졌다. 귀병을 낫게 하고...

  • 조회 수 2466
  • 2006-02-16

"양조기술교실" 을 운영합니다.

국세청기술연구소에서는 2005년에 이어 금년 1차 “양조기술교실”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기로 하였으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양조기술교실 o 취지 : “국민과 함께하는 열린세정”의 일환으로 우리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제고와 주류산업의 ...

  • 조회 수 2130
  • 2006-02-17

국세청 사칭 환급금 사기 피해 주의하세요!

○ 지난 11월 방송 및 언론보도 이후 잠시 중단되었다가, 12월8일부터 다시 국세청 징세과를 사칭하여 환급해준다며 아래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발송 하고 있습니다. - "국세청입니다. 연말정산 환급이 있사오니 국세청 징수과로 연락바랍니다. 063-228-0877, 03...

  • 조회 수 1835
  • 2006-02-17

2003년 2005년 개정세법해설 (주세법)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 조회 수 1763
  • 2006-02-17

“인공감미료가 암발생 높여”

저칼로리 음료와 식품 등에 널리 쓰이고 있는 인공감미료가 백혈병과 임파선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BBC방송은 14일 이탈리아 암연구소의 모란도 소프리티 박사가 암전문지 ‘유럽임상종양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

  • 조회 수 1725
  • 2006-03-08

주세법에 의한 주류의 종류

1. 주정 가. 전분 또는 당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를 발효시켜 알콜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나. 알콜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를 알콜분 85도 이상으로 증류한 것 2. 발효주류 가. 탁주 (1) 곡류와 국 및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하지 아니하...

  • 조회 수 2186
  • 2006-03-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