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조회 수 1608 추천 수 1 2010.09.10 14:35:57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품질인증제 실시 산업진흥 선봉에 서 짝사랑… 저세율 등 보호규제 그대로

정부가 막걸리 사랑에 ‘푹’ 빠졌다. 막걸리 산업 진흥의 선봉에 선 것이다. 세계화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전용잔 개발에 이어 ‘드렁큰 라이스(Drunken Rice)’라는 영문 애칭까지 공모해 발표했다.

총대는 농림수산식품부가 맸다. ‘지역경제 살리기’와 ‘우리쌀 소비 촉진’의 일환에서다. 지난해 8월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가 ‘우리술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막걸리 산업 진흥 업무는 국세청에서 농식품부로 이관이 결정됐다.

농식품부는 9월부터 막걸리에 대한 품질인증제를 본격 실시할 예정이다. 지난 달 5일 전통주의 경쟁력 강화, 농업인의 소득 증대 등의 목적으로 제정된 ‘전통주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발효됨에 따른 것이다.

술 품질인증제는 정부가 지정한 인증기관이 법이 정한 주종별 품질 기준에 따라 희망업체의 제품을 심사한 뒤 인증서와 인증마크를 발급해 주는 제도다. 인증마크를 발급받은 업체는 해당 제품의 용기나 포장에 붙이거나 인쇄해 판촉 활동을 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막걸리의 고품질화와 함께, 소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제품 판매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형사 시장 장악 ‘서민술’ 의미 퇴색

그러나 이러한 품질인증제는 그 취지와는 달리 대부분의 영세한 양조업체들에겐 ‘무용지물’일 뿐이란 지적이다. 인증 기준을 맞추려면 대규모 시설투자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성웅 한국막걸리진흥협회 사무국장은 “대부분의 중소형 양조업체들이 연매출 1억 원 미만으로 영세해 기존 시설을 유지하는 것조차 어렵다”며 “신규 투자 여력이 있는 곳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역에 기반을 둔 생계형 막걸리 제조업체들은 정부가 내놓는 지원 혜택이 크게 피부로 와닿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일례로 ‘쌀 가공 시설자금 지원’ 업체로 지정이 되도 담보가 없어 돈을 빌려 쓰지 못하는 식이다. 국내 막걸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각종 정부 대책에 대한 ‘대기업 특혜 논란’이 제기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막걸리는 그간 ‘서민술’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이미 이러한 본질은 ‘퇴색’돼 가고 있는 분위기다. 자본력과 유통망을 갖춘 대형 생산업체들의 ‘영향력’이 가속화되면서 부터다.

최근 1~2년 사이 국내 주류시장의 최고 블루칩은 ‘막걸리’였다. 막걸리 열풍은 수치로도 입증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막걸리 시장 규모는 2008년 3000억 원 규모이던 것이 지난해 4200억 원으로 40%가량 성장했다. 오는 2012년에는 무려 1조 원대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체 주류 시장에서의 비중도 늘었다. 공정거래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현재, 막걸리 내수량은 2만 8830KL로 전체 주류 내수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4.5% 수준에게 크게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성장 이면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현재 국내 막걸리 시장은 몇몇 대형 생산업체가 과점하고 있는 형국이다. 전국 막걸리 제조면허를 보유한 업체는 770여 개. 이 중 실제 생산업체 수는 533개 업체에 달하지만(2009년 기준) 서울탁주(53%)와 국순당(13%) 단 두 업체가 전체 시장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대부분의 업체는 지역을 기반으로 영세한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막걸리 붐’을 타고 대기업의 진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7월 중순부터 전주 등 지역 중소 막걸리 제조사들과 손잡고 막걸리 유통사업에 진출했다. 앞서 6월 말 오리온이 영화 투자·배급을 하는 자회사 미디어플렉스를 통해 ‘참살이탁주’를 생산하는 참살이엘앤에프(L&F)의 지분을 인수했으며, 농심과 샘표식품 등도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낮은 세율 등 차별 규제 논란 ‘재점화’

이같이 막걸리 시장이 대규모 생산업체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제기돼 왔던 막걸리 규제를 둘러싼 특혜 논란도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주세법에 따르면 막걸리(탁주)에는 5%의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같은 전통주로 분류되는 약주나 청주엔 30%, 막걸리보다 저도주인 맥주에도 72%의 세율이 부과되고 있는 것과는 크게 대조적이다.

일각에서는 막걸리도 엄연한 술이며, 고도주로서 비생산적인 사회적 비용 발생에 책임을 져야 함에도 낮은 주세율이 적용되는 것은 불평등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주세법은 술에 붙는 높은 세율의 세금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주류 제조자로 하여금 술병에 납세 증지를 첨부하거나 납세병마개 또는 자동계수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막걸리는 예외다. 국세청 관계자는 전형국 국세청 주세 담당관은 “탁주, 약주의 경우 국세청장이 지정한 납세증지 첨부 대상에서 빠져 있다”고 말했다.
가정용과 유흥용으로 용도 구분이 없어 무분별한 유통을 조장한다는 우려도 있다. 판매 경로의 예측과 통제가 쉽지 않아 단속 업무 및 세원 관리가 소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맥주업계 한 관계자는 “대기업이 속속 막걸리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온정주의에 입각한 ‘민속주’ ‘농민주’ 보호 명분은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며 “전국 유통의 대량생산 기업에 대해서는 규정을 강화하고 엄격하게 관리, 단속해야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라 전했다.

앞으로도 영세 막걸리 양조업체들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 보인다. 공정위는 최근 발간한 ‘주류산업과 경쟁정책’ 보고서를 통해 “막걸리산업 활성화는 규제 완화의 효과로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하며 “주류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소비자의 선택 폭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에 의해 통제됐던 진입 규제를 풀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막걸리 역시 해당된다. 종합주류도매업자에게 일반탁주 취급을 허용하고 현행 2L 이하로 제한돼 있는 막걸리 판매 용기의 크기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성 사무국장은 “이 같은 공정위의 규제 완화 추진 정책은 시장의 파이를 키운다는 명분은 있지만, 중소 양조업체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 문제”라며 “종합주류도매업자가 지역 상권까지 장악하게 되면 향토지역을 근거로 자생해왔던 영세 지역 양조업체들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믹 리뷰 전민정 기자 puri21@asiae.co.kr
2010.09.07 15:19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61 2018-12-17

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

  • 조회 수 1569
  • 2006-11-01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市 농촌체험연구회, 전주 전통술박물관 견학 등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 전통주에 대한 체험과 연계한 체험마을이 공주시에 조성ㆍ운영될 전망이다. 공주시 농촌체험연구회(회장 최인규)가 우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벤치마킹...

  • 조회 수 1569
  • 2010-07-08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전통주업체가 여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여성 고객들을 겨냥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맛과 향을 더한 전통주 신제품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코리안 펍 짚쌩은 천연탄산의 시원한 뒷맛으로 여성들의 입맛을 겨냥한 막걸리 ‘백...

  • 조회 수 1575
  • 2010-07-0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 고풍스러운 유적과 특색 있는 와인숍들이 어우러져 세계적 관광 명소가 된 프랑스 생테밀리옹(왼쪽)과 앤디 워홀이 그린 샤토 무통 로칠드 와인(1975년 빈티지)의 라벨. [막걸리, 세계인의 술로/2부]<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최고품질 佛와...

  • 조회 수 1584
  • 2010-07-08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④김천 과하주

->조선시대 말엽까지 일본과 중국까지 명성을 드날린 한국 국주(國酒) 김천 과하주. 주도 16도짜리와 23도짜리 두가지를 빚는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물맛에 감탄한 과하천 바위에 조선말엽 과하주를 빚는 원천수로 쓰였다는 뜻의 '금릉주천(金陵酒泉)'이...

  • 조회 수 1586
  • 2010-08-03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1]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기업 및 네티즌 대상 적극적 계몽활동 펼쳐…한글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홍보 앞장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 - 한국식 소고기 야채 밥? 'Clear noodle pasta' - 투명한 면으로 만든 파스타? 위 ...

  • 조회 수 1592
  • 2010-08-12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file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품질인증제 실시 산업진흥 선봉에 서 짝사랑… 저세율 등 보호규제 그대로 정부가 막걸리 사랑에 ‘푹’ 빠졌다. 막걸리 산업 진흥의 선봉에 선 것이다. 세계화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전용잔 개발에 이어 ‘드렁큰 라이스(Drun...

  • 조회 수 1608
  • 2010-09-10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부산합동양조, 1만2천 병 효모 살아있는 상태 첫 수출 "부산의 생막걸리로 일본에 제2의 막걸리 붐을 일으키겠다." 효모가 죽은 '살균 막걸리'가 아닌 효모가 살아있는 부산의 생막걸리가 일본에 수출된다. 현재 일본 수출 물량...

  • 조회 수 1616
  • 2010-07-08

윤손하, "와~ 전통주 막걸리 위촉패 진짜 크다!"

[아츠뉴스=옥영화 기자] 배우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 위촉패를 수여 받았다. 2월 3일 여의도 63빌딩에서 배우 엄태웅과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호랑이와 막걸리. 2010년을 맞이하여 유독 눈에 띄는 단어이다. 60년 만에 찾...

  • 조회 수 1621
  • 2010-02-11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ile

-> 제30차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 참석자들이 27일 현대호텔에 마련된 '쌀 맛나는 경북홍보관'에서 막걸리를 마시고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흥겨워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AO 아태대회...

  • 조회 수 1639
  • 2010-09-28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전남 해남지역 대표 브랜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가 출시된다. 10일 해남군에 따르면 옥천농협과 옥천주조장이 최근 협약식을 갖고 '한눈에 반한 쌀'을 100% 사용한 막걸리를 생산판매하기로 했다. 이...

  • 조회 수 1655
  • 2010-08-12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서울신문]‘안동소주, 문배주, 두견주….’ 한국인이면 누구나 다 아는 민속주지만 경영실적은 ‘빛좋은 개살구’다. 한국의 술맛을 대표하는 민속주들이 시련을 겪고 있다.‘명절 선물용’이란 의식에다 ‘신세대 입맛에 맞지 않는다.’ 등 판매부진 이유도 가지가지...

  • 조회 수 1658
  • 2006-01-10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한 모금' 담아 파니 잘나가네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싱글족을 겨냥한 미니 상품이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 술도 '원샷 사이즈'의 소용량 주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독주를 즐기던 음주문화가 달라지고 여성 음주인구가 늘면서 맥주와 소주, 와인에 이어 막걸...

  • 조회 수 1663
  • 2010-06-28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헤럴드 생생뉴스 2006-10-13 09:41] 가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지역 축제의 열기가 뜨겁다. 각 지자체는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축제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독서의 계절’을 맞아 출판...

  • 조회 수 1664
  • 2006-10-14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2&gt;계명주 최옥근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05/23901475/2《목으로 넘어가는 첫맛은 시큼했다. 발효된 알코올 특유의 신맛 다음엔 곡류(穀類)의 단맛이, 마지막엔 입 안으로 솔잎의 은은함이 퍼졌다. 이제까지 마셔본 어떤 술...

  • 조회 수 1669
  • 2010-02-11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file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보리막걸리에 탄산 강화, 젊은층 입맛 공략..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공식 건배주 음악에 어울리는 ‘재즈막걸리’를 개발, 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도는 오는 15일부터 열리는 ‘제7회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2010’을 맞아 경기도농...

  • 조회 수 1672
  • 2010-10-15

[생방송 obs- "전통주와 감흥로주에 대한 류인수 소장님 인터뷰"] file

(류인수 소장님과 이병희 PD님 인터뷰 사진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술독 회원님들^^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게 됩니다. 파랗고 청명한 하늘이 우리의 마음을 셀레이게 하는 가을이 찾아왔내요. 다름이 아니라, 오늘 obs방송국에서 감홍로주에 대한 ...

  • 조회 수 1676
  • 2014-09-16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최근 인기를 더해가는 막걸리가 사실은 수입쌀로 만들어져 ‘전통주’의 이름을 무색케하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정해걸 한나라당 의원이 29일 농림수산식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

  • 조회 수 1681
  • 2010-10-15

“전통주, 농촌경제 활력소 될 것 ”

인터뷰 - 김영만 농림부 농산물유통국장 2006-12-28 오후 3:43:32 게재 전통주 산업이 농업·농촌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농림부는 9월 ‘전통주 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전통주 활성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조건이 성숙...

  • 조회 수 1682
  • 2006-12-29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경기도 내 지자체와 생산업체, 대학이 참여하는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이 19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문수(왼쪽에서 9번째)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가졌다.2010.08.19.<<지방기사 참고.경기도 제...

  • 조회 수 1692
  • 2010-08-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