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⑧ 달성 하향주

조회 수 3008 추천 수 1 2010.09.03 12:24:27


-> 비슬산 맑은 물로 빚어 낸 달성 하향주는 비슬산 계곡수로 지은 유가찹쌀을 100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주도 17도의 우리 전통 약주다.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⑧ 달성 하향주
비슬산 맑은 물에 100일 발효 유가찹쌀로 빚어…숙취 아예 없어

비슬산을 오르는 길은 구곡양장처럼 꼬불꼬불하기만 하다. 달성 하향주(荷香酒)를 찾아가는 전통주 애주가 이상호(66·하회탈춤 인간문화재) 씨가 산을 오르며 콩죽같이 땀방울을 흘린다. "중요무형 문화재인 나를 이 땡볕에 이 고생시키면 누가 안 잡아가나…." 도가주인을 찾아가던 이 씨가 '문화재 훼손'이라며 늦더위 타령을 시작한다.
신라고찰 비슬산 유가사에서 빚기 시작해 천년 역사를 이어 온 우리술 하향주. 1987년에 빗장이 열린 여느 전통주와는 달리 이 술은 '박통 시절'인 1966년에 벌써 대구 무형문화재 11호로 지정될 정도로 일찍이 복원됐다. 비슬산 맑은 물과 전국에 소문난 유가찹쌀로 빚은 하향주는 100일 동안이나 발효시켜 백일주라 불린다. 말로만 듣던 '석 달 열흘 발효'다. 우리 비주 제조 비법 중의 하나인 하향주의 '생주 100일 발효 비법'을 듣노라면 우리 전통주의 우수성과 명주 세계화의 길이 보인다.

◆'쌀 좋고 물 좋은' 달성 유가면 음리마을

"아이구, 오래 기다리셨죠. 도가를 새로 짓느라 정신이 없어서…. 어서 이리들 오세요."

개다리상을 차려 든 하향주 도가주인 박환희(61) 씨가 헐레벌떡 뛰다시피 온다. 빠른 걸음에도 울퉁불퉁한 비슬산 계곡 바위 사이를 요리조리 피해 가며 용케도 술상을 엎지르지 않는다. 잽싸기가 마치 비슬산 타잔 같다. 한낮 폭염 아래 구워질 대로 구워진 계곡 넓적바위는 저녁 산그늘이 드리웠는데도 온돌처럼 달궈져 있다.

"여기 계곡 물은 본래 이리 미지근합니까? 물가에 나와도 덥기는 마찬가지네요."

연방 부채질을 하던 이 씨가 앉자마자 하향주 두 잔을 연거푸 들이켠다. 미지근한 물 덕분에 이곳 유가면에서 전국 최고의 찹쌀이 생산된다는 게 박 씨의 설명이다.

예로부터 '물 좋고 쌀 좋고 술 좋은' 동네가 바로 비슬산 기슭에 자리한 달성 유가면 음리다. 밀양 박씨 집성촌이기도 한 이 마을은 까마득한 옛날부터 전국에 명주로 소문난 하향주를 빚어 왔다. 하향주 제조기능보유자인 박 씨는 4대째 대를 이어 밀양 박씨 집안 가양주를 빚고 있다. 인동초와 들국화, 약쑥 등 갖가지 약초를 달여낸 물로 빚는 이 술은 약초의 맛과 향이 그대로 살아있는 17도짜리 생약주다.

"히야! 색깔이 죽여 준다." 노르스름하다 못해 연둣빛을 띤 하향주가 애주가 이 씨의 눈부터 취하게 만든다. 이 씨는 입안에 감도는 은은한 연꽃향이 차마 삼키기조차 아까울 정도라고 감탄을 연발한다. 그리 달지 않지만 토종찹쌀 100%로 빚어 입안에 착 달라붙는다. 동의보감에는 '하향주가 독이 없고 열과 풍을 제거하며 두통을 치료하고 눈에 핏줄을 없애며 눈물나는 것을 멈추게 한다'고 기록돼 있다. 놀랍게도 보통 과음해서 나타나는 술병 증상을 도리어 고쳐주는, 술이 아니고 약이라고 쓰여져 있는 것이다. 하향주는 또 숙취가 전혀 없어 뒤끝이 깔끔하다. 박 씨는 100여 일간의 오랜 발효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등 숙취 원인물질이 자연스럽게 날아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일류 하향주 빚기에 '환갑 올인'

"이 나이에 은행 빚을 얻어 공장을 짓는다는 게 미친 짓이지요. 그냥 땅을 팔면 평생 부족함 없이 살 수도 있는데…."

박 씨는 1만3천860㎡(4천200여 평)의 부지에 990㎡(300여 평)의 하향주 도가를 새로 짓는다. 그래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정신없이 바쁘다. '세계 일류 우리술'을 만들기 위해서다. 박 씨의 우리술 명주 빚기 의지는 결연하기만 하다. 고려청자 복원처럼 우리술을 비주로 완전 복원해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명주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공장 짓다가 돈이 모라자 경매처분되면 빈털터리가 되겠지만 그래도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자신은 망한다 해도 어느 누구라도 우리술 명품화에 대한 기초를 놔 줘야 하기에 터를 닦는다는 것이다. 가양주 전승을 위해 1994년 미국에서 홀로 귀국한 박 씨는 16년째 하향주 빚기에만 몰두하고 있다. 그냥 전승만이 아니라 한층 업그레이드된 하향주를 개발하기 위해 애쓴다. 주도 17도짜리 약주인 하향주를 고아 42도 순곡 증류주인 '하향백주'도 빚고 있다. 톡 쏘는 맛이 입안에 생동감을 주는 이 하향백주는 누룩냄새를 잡기 위해 시험증류를 반복하고 있다.

전 재산을 털어 도가를 새로 짓는 데 허가가 나지 않아 정말 눈앞이 캄캄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생전 처음으로 신에게 빌기도 했다. 다행히 지금은 천신만고 끝에 허가가 나고 박 씨는 나이를 잊은 채 밤낮 공장 짓는 일에 푹 빠져 산다.

"어머니 모시고 술 빚을 때가 제일 그립죠." 4년 전 하향주 빚기 스승이던 모친이 돌아가신 뒤 박 씨는 혼자 산다. 우리술 명주 만들기에 대한 애착이 너무도 강해 미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돌아갈 수도 없는 형편이다. 조석을 혼자 끓이며 도가 짓는 일이 바빠 하향주를 빚지도 못하고 있다.

◆우리 전통주는 양주보다 한 수 위

"양주는 분명 우리 술보다 한 수 아래입니다." 단호하게 잘라 말하는 박 씨의 주장은 이렇다. 오크통 속에서 양주 원액이 10년 또는 20년은 돼야 숙취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통밖으로 빠져 나간 고품격의 술 원액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우리 조상들은 발효 과정에서 이 숙취 원인물질을 자연스럽게 날려 보내는 기술을 터득했다고 주장한다. 아세트알데히드는 뇌신경을 손상시키고 숙취를 발생시키는 발암성 물질로 술 속에는 존재하지 말아야 하지만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형성돼 알코올과 함께 증류되기 때문에 주조기술 분야에서는 아직도 완전한 해결방안을 찾아내지 못했다.

"100여 일간의 초억제발효 과정에서 물과 알코올, 아세트알데히드 중 가장 가벼운 아세트알데히드가 밀려 올라와 술독 밖으로 날아가게 되지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독 아가리가 넓은 것을 써야 좋은 술이 나온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술 항아리를 두고 박 씨는 세계 최고의 주조설비라고 극찬한다. 숨쉬는 독은 미생물의 발효를 돕는 데 가장 적당하다며 아세트알데히드는 물론 발효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쉽게 내보내기도 하고 발효 중 발생한 열을 분산시키는 등 발효과정 상당 부분을 저절로 이뤄지게 하는 '자동 주조설비'라는 것이다.

'식초로 변질되지 않으면서 100일 발효가 어떻게 가능하냐'는 질문에 박 씨는 "발효된 술이 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초산균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곡주 발효는 저온(18∼23℃) 억제발효를 하기 때문에 주도를 최고 22도까지 올릴 수 있다고 한다. 밑술 덧술이 이 정도 도수를 지니면 저온이 아니더라도 미생물 활동이 둔화되며 특히 초산발효균 활동도 억제돼 술이 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100일 발효가 가능하다는 것. 그래서 불순물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연출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우리 전통주 제조 설비를 토대로 현대화되더라도 전통 주조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복원되고 발효와 숙성 과정이 얼마나 섬세하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아세트알데히드 등 불순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세계 최고의 우리술을 빚어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술 발효 미생물은 어린애 다루듯 조심조심해야 합니다." 달성 유가면 음리마을은 술 발효 미생물들도 좋아하는 환경적 여건이 잘 조성돼 있는 마을이라고 주장하는 박 씨는 "숙성 백일주와 발효 백일주는 하늘과 땅 차이"라며 "숙성 백일주에 현혹되지 말라"고 귀띔했다. 한번 하향주를 빚을 때마다 약 스무가마니의 찹쌀로 밑술을 담그는 박 씨는 여름철엔 80일, 겨울엔 무려 120일이나 발효시켜 하향주를 빚는다. 더위에도 아랑곳하지않고 대구지역 전통주 마니아 4, 5명이 공사장 현장까지 박 씨를 찾아와 술을 내놓으라고 조른다. 도자기로 만든 호리병 1병에 1만5천원이다.

매일신문 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박용우기자 ywpark@msnet.co.kr 사진 프리랜서 강병두 plmnb12@hanmail.net
2010년08월28일 (토) 오전 10:42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sort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766 2018-12-17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막걸리가 국제 주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국순당(www.ksdb.co.kr대표이사 배중호)은 지난 6월18일부터 20일까지 3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닛코호텔에서 개최된 2010 San Francisco International Wine Competi...

  • 조회 수 1547
  • 2010-06-25

한국 전통주에 푹 빠진 외국인들

한국 전통주에 푹 빠진 외국인들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주말을 맞아 한국의 전통주 체험에 나선 외국인들이 한국 술맛에 푹 빠졌다. 지난 29일 한국에 거주 중인 외국기업 임직원 및 가족, 주한 외교사절 등이 참가한 가운데 경기도 포천에서 ‘전통 가양...

  • 조회 수 1464
  • 2010-06-24

포천막걸리, 드라마 '식객(마지막 승부)' 소재로

포천막걸리, 드라마 '식객(마지막 승부)' 소재로 포천시-㈜제이에스픽쳐스, 업무협약 체결 [클릭코리아] 포천시(시장 서장원)는 포천막걸리 세계화 사업의 일환으로 포천막걸리사업협동조합과 함께 포천막걸리를 주 내용으로 드라마 <식객 '마지막승부(가제)'...

  • 조회 수 1740
  • 2010-06-24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주로주로닷컴 메인페이지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막걸리 포털사이트 '주로주로닷컴' 오픈 국내 최초로 막걸리 전문 포털사이트가 생긴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쌀가공식품협회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전국의 막걸리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

  • 조회 수 1213
  • 2010-06-24

전통주 제조법, 특수분야 연수기관에서 배운다

[뉴스천지=서영은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전통주 문화와 제조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서 (사)한국가양주협회(회장 류인수)를 2010년 특수분야연수기관으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사)한국가양주협회에서 설립 운영하고 있는 전통주학교는 현재 ...

  • 조회 수 1593
  • 2010-03-08

막걸리 등 전통주 인터넷판매 내달부터 허용

성인인증 받아야 살 수 있어 세금감면 대상도 확대 추진 최근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막걸리를 비롯한 전통주를 육성하기 위해 전통주의 인터넷 판매가 4월 1일부터 허용된다. 전통주에는 민속주와 농민주, 막걸리 같은 술이 포함된다. 기획재정부는 ...

  • 조회 수 1896
  • 2010-03-08

국순당 생막걸리 무늬만 전통주

국순당 생막걸리 무늬만 전통주 비용 줄이려 값싼 수입쌀 사용 소비자 “브랜드 믿었는데…” 허탈감 국산쌀 소비정책 취지 무색 업계 “막걸리 열풍 찬물” 우려 대표적 전통주 기업인 국순당의 ‘생막걸리’가 무늬(?)만 전통주인 미국쌀 막걸리라는 사실이 뒤늦게 ...

  • 조회 수 2042
  • 2010-02-26

탤런트 임호 '한국의 전통주' 다큐 내레이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3128587MBC라이프 3부작 다큐 19-21일 방송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드라마 '대장금'과 '선덕여왕' 등에서 열연한 탤런트 임호가 케이블채널 MBC라이프의 다큐멘터리 '...

  • 조회 수 1712
  • 2010-02-19

MBC 라이프, 3부작 다큐 '한국의 전통주' 19~21일 방영

http://www.tvreport.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37855[TV리포트 신화준 기자] 최근 불고 있는 '막걸리 열풍'과 더불어 우리나라 전통주에 대한 '역사적 근원'과 '우수성'을 재발견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가 방송된다. 다큐멘터리 전문채널 MBC 라...

  • 조회 수 2284
  • 2010-02-19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10·끝&gt;전주 이강주 조정형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21/25558748/2멥쌀 소주에 배-생강 넣고 침출… 은단 씹은 느낌 전통주 명인 고천 조정형 선생이 배,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빚은 이강주를 만들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술을 내리고 ...

  • 조회 수 1548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9&gt;금산인삼주 김창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14/25410501/2인삼 갈아넣어 100일 숙성… 편안한 아침 《1500년 전 강씨 성을 가진 남자가 충남 금산의 진악산 동굴에서 홀어머니의 쾌유를 빌며 백일기도에 나섰다. 정성에 감복한 ...

  • 조회 수 1555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8&gt;명인주 안동소주 박재서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07/25248448/1《“18년 전에 빚은 겁니다. 한 모금 해보세요.” 기자는 물로 입을 헹군 뒤 ‘명인주 안동소주’를 반 잔 정도 입에 넣었다. 목을 타고 넘어간 술은 3초 정도 뜸을 들인 ...

  • 조회 수 1530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7&gt;송화백일주 벽암 스님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217/24872586/2오곡 솔잎 송홧가루로 우려낸 ‘100일 곡차’ 《좋은 술의 기본은 좋은 물. 좋은 물은 바위틈에서 나와야 하고 사철 온도가 일정해야 하며 무거워야 한다. 수많은 고승과...

  • 조회 수 1760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6&gt;지리산 솔송주 박흥선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210/24697552/2《조선시대 영남 유림의 맥을 논할 때 ‘좌안동 우함양(左安東 右咸陽)’이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경남 함양은 일찌감치 묵향의 꽃을 피운 선비 고을이다. 그 중에서도 ...

  • 조회 수 1852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5&gt;추성주 양대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203/24537305/212가지 한약재로 빚은 ‘담양의 1000년 명주’ 《‘깨끗한 찹쌀 5되, 멥쌀 1말 5되를 여러 번 씻어 물에 담그고…(중략). 엿기름 3근, 물 3말, 미지근한 물로 갠 누룩 11근...

  • 조회 수 1380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4&gt;민속주 안동소주 조옥화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26/24380053/2“1200년 비법, 며느리에 전수” 《‘이 풍진 세상을, 아모리 아모리, 저 세상의 마음으로 살아간다 해도, 때없이 맞닥치는, 겨울비 같은 좌절과 낭패를, 들켜지고 마는 ...

  • 조회 수 1794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3&gt;소곡주 우희열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20/24215100/2혀끝에 와 닿는 첫맛은 술이라 하기에는 민망할 정도로 달다. 곡주(穀酒) 맛이 늘 그렇지만 소곡주는 더더욱 부드럽다. 끈적거리기도 한다. 하지만 몇 순배 돌다 보면 ...

  • 조회 수 1436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2&gt;계명주 최옥근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05/23901475/2《목으로 넘어가는 첫맛은 시큼했다. 발효된 알코올 특유의 신맛 다음엔 곡류(穀類)의 단맛이, 마지막엔 입 안으로 솔잎의 은은함이 퍼졌다. 이제까지 마셔본 어떤 술...

  • 조회 수 1715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1&gt;문배주 이기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029/23761034/2천년비법, 곡주 금지법에 묻힐 뻔 《‘일본에 ‘사케’, 프랑스에 ‘코냑’이 있다면 한국에는 □가 있다.’ □에 들어갈 답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정답은 몇 가지 조건...

  • 조회 수 1321
  • 2010-02-11

용인 백옥쌀로 전통주 ‘술술’

경기 용인시는 백옥쌀 가공식품 육성의 하나로 백옥쌀 전통주를 개발, 적극 보급한다고 4일 밝혔다. 백옥쌀 전통주 육성사업은 용인 특산품인 백옥쌀을 100% 주원료로 명품술을 개발, 육성해 지역산업발전과 농외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시는 ...

  • 조회 수 1559
  • 2010-02-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