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⑧ 달성 하향주

조회 수 3006 추천 수 1 2010.09.03 12:24:27


-> 비슬산 맑은 물로 빚어 낸 달성 하향주는 비슬산 계곡수로 지은 유가찹쌀을 100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주도 17도의 우리 전통 약주다.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⑧ 달성 하향주
비슬산 맑은 물에 100일 발효 유가찹쌀로 빚어…숙취 아예 없어

비슬산을 오르는 길은 구곡양장처럼 꼬불꼬불하기만 하다. 달성 하향주(荷香酒)를 찾아가는 전통주 애주가 이상호(66·하회탈춤 인간문화재) 씨가 산을 오르며 콩죽같이 땀방울을 흘린다. "중요무형 문화재인 나를 이 땡볕에 이 고생시키면 누가 안 잡아가나…." 도가주인을 찾아가던 이 씨가 '문화재 훼손'이라며 늦더위 타령을 시작한다.
신라고찰 비슬산 유가사에서 빚기 시작해 천년 역사를 이어 온 우리술 하향주. 1987년에 빗장이 열린 여느 전통주와는 달리 이 술은 '박통 시절'인 1966년에 벌써 대구 무형문화재 11호로 지정될 정도로 일찍이 복원됐다. 비슬산 맑은 물과 전국에 소문난 유가찹쌀로 빚은 하향주는 100일 동안이나 발효시켜 백일주라 불린다. 말로만 듣던 '석 달 열흘 발효'다. 우리 비주 제조 비법 중의 하나인 하향주의 '생주 100일 발효 비법'을 듣노라면 우리 전통주의 우수성과 명주 세계화의 길이 보인다.

◆'쌀 좋고 물 좋은' 달성 유가면 음리마을

"아이구, 오래 기다리셨죠. 도가를 새로 짓느라 정신이 없어서…. 어서 이리들 오세요."

개다리상을 차려 든 하향주 도가주인 박환희(61) 씨가 헐레벌떡 뛰다시피 온다. 빠른 걸음에도 울퉁불퉁한 비슬산 계곡 바위 사이를 요리조리 피해 가며 용케도 술상을 엎지르지 않는다. 잽싸기가 마치 비슬산 타잔 같다. 한낮 폭염 아래 구워질 대로 구워진 계곡 넓적바위는 저녁 산그늘이 드리웠는데도 온돌처럼 달궈져 있다.

"여기 계곡 물은 본래 이리 미지근합니까? 물가에 나와도 덥기는 마찬가지네요."

연방 부채질을 하던 이 씨가 앉자마자 하향주 두 잔을 연거푸 들이켠다. 미지근한 물 덕분에 이곳 유가면에서 전국 최고의 찹쌀이 생산된다는 게 박 씨의 설명이다.

예로부터 '물 좋고 쌀 좋고 술 좋은' 동네가 바로 비슬산 기슭에 자리한 달성 유가면 음리다. 밀양 박씨 집성촌이기도 한 이 마을은 까마득한 옛날부터 전국에 명주로 소문난 하향주를 빚어 왔다. 하향주 제조기능보유자인 박 씨는 4대째 대를 이어 밀양 박씨 집안 가양주를 빚고 있다. 인동초와 들국화, 약쑥 등 갖가지 약초를 달여낸 물로 빚는 이 술은 약초의 맛과 향이 그대로 살아있는 17도짜리 생약주다.

"히야! 색깔이 죽여 준다." 노르스름하다 못해 연둣빛을 띤 하향주가 애주가 이 씨의 눈부터 취하게 만든다. 이 씨는 입안에 감도는 은은한 연꽃향이 차마 삼키기조차 아까울 정도라고 감탄을 연발한다. 그리 달지 않지만 토종찹쌀 100%로 빚어 입안에 착 달라붙는다. 동의보감에는 '하향주가 독이 없고 열과 풍을 제거하며 두통을 치료하고 눈에 핏줄을 없애며 눈물나는 것을 멈추게 한다'고 기록돼 있다. 놀랍게도 보통 과음해서 나타나는 술병 증상을 도리어 고쳐주는, 술이 아니고 약이라고 쓰여져 있는 것이다. 하향주는 또 숙취가 전혀 없어 뒤끝이 깔끔하다. 박 씨는 100여 일간의 오랜 발효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등 숙취 원인물질이 자연스럽게 날아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일류 하향주 빚기에 '환갑 올인'

"이 나이에 은행 빚을 얻어 공장을 짓는다는 게 미친 짓이지요. 그냥 땅을 팔면 평생 부족함 없이 살 수도 있는데…."

박 씨는 1만3천860㎡(4천200여 평)의 부지에 990㎡(300여 평)의 하향주 도가를 새로 짓는다. 그래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정신없이 바쁘다. '세계 일류 우리술'을 만들기 위해서다. 박 씨의 우리술 명주 빚기 의지는 결연하기만 하다. 고려청자 복원처럼 우리술을 비주로 완전 복원해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명주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공장 짓다가 돈이 모라자 경매처분되면 빈털터리가 되겠지만 그래도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자신은 망한다 해도 어느 누구라도 우리술 명품화에 대한 기초를 놔 줘야 하기에 터를 닦는다는 것이다. 가양주 전승을 위해 1994년 미국에서 홀로 귀국한 박 씨는 16년째 하향주 빚기에만 몰두하고 있다. 그냥 전승만이 아니라 한층 업그레이드된 하향주를 개발하기 위해 애쓴다. 주도 17도짜리 약주인 하향주를 고아 42도 순곡 증류주인 '하향백주'도 빚고 있다. 톡 쏘는 맛이 입안에 생동감을 주는 이 하향백주는 누룩냄새를 잡기 위해 시험증류를 반복하고 있다.

전 재산을 털어 도가를 새로 짓는 데 허가가 나지 않아 정말 눈앞이 캄캄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생전 처음으로 신에게 빌기도 했다. 다행히 지금은 천신만고 끝에 허가가 나고 박 씨는 나이를 잊은 채 밤낮 공장 짓는 일에 푹 빠져 산다.

"어머니 모시고 술 빚을 때가 제일 그립죠." 4년 전 하향주 빚기 스승이던 모친이 돌아가신 뒤 박 씨는 혼자 산다. 우리술 명주 만들기에 대한 애착이 너무도 강해 미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돌아갈 수도 없는 형편이다. 조석을 혼자 끓이며 도가 짓는 일이 바빠 하향주를 빚지도 못하고 있다.

◆우리 전통주는 양주보다 한 수 위

"양주는 분명 우리 술보다 한 수 아래입니다." 단호하게 잘라 말하는 박 씨의 주장은 이렇다. 오크통 속에서 양주 원액이 10년 또는 20년은 돼야 숙취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통밖으로 빠져 나간 고품격의 술 원액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우리 조상들은 발효 과정에서 이 숙취 원인물질을 자연스럽게 날려 보내는 기술을 터득했다고 주장한다. 아세트알데히드는 뇌신경을 손상시키고 숙취를 발생시키는 발암성 물질로 술 속에는 존재하지 말아야 하지만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형성돼 알코올과 함께 증류되기 때문에 주조기술 분야에서는 아직도 완전한 해결방안을 찾아내지 못했다.

"100여 일간의 초억제발효 과정에서 물과 알코올, 아세트알데히드 중 가장 가벼운 아세트알데히드가 밀려 올라와 술독 밖으로 날아가게 되지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독 아가리가 넓은 것을 써야 좋은 술이 나온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술 항아리를 두고 박 씨는 세계 최고의 주조설비라고 극찬한다. 숨쉬는 독은 미생물의 발효를 돕는 데 가장 적당하다며 아세트알데히드는 물론 발효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쉽게 내보내기도 하고 발효 중 발생한 열을 분산시키는 등 발효과정 상당 부분을 저절로 이뤄지게 하는 '자동 주조설비'라는 것이다.

'식초로 변질되지 않으면서 100일 발효가 어떻게 가능하냐'는 질문에 박 씨는 "발효된 술이 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초산균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곡주 발효는 저온(18∼23℃) 억제발효를 하기 때문에 주도를 최고 22도까지 올릴 수 있다고 한다. 밑술 덧술이 이 정도 도수를 지니면 저온이 아니더라도 미생물 활동이 둔화되며 특히 초산발효균 활동도 억제돼 술이 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100일 발효가 가능하다는 것. 그래서 불순물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연출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우리 전통주 제조 설비를 토대로 현대화되더라도 전통 주조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복원되고 발효와 숙성 과정이 얼마나 섬세하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아세트알데히드 등 불순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세계 최고의 우리술을 빚어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술 발효 미생물은 어린애 다루듯 조심조심해야 합니다." 달성 유가면 음리마을은 술 발효 미생물들도 좋아하는 환경적 여건이 잘 조성돼 있는 마을이라고 주장하는 박 씨는 "숙성 백일주와 발효 백일주는 하늘과 땅 차이"라며 "숙성 백일주에 현혹되지 말라"고 귀띔했다. 한번 하향주를 빚을 때마다 약 스무가마니의 찹쌀로 밑술을 담그는 박 씨는 여름철엔 80일, 겨울엔 무려 120일이나 발효시켜 하향주를 빚는다. 더위에도 아랑곳하지않고 대구지역 전통주 마니아 4, 5명이 공사장 현장까지 박 씨를 찾아와 술을 내놓으라고 조른다. 도자기로 만든 호리병 1병에 1만5천원이다.

매일신문 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박용우기자 ywpark@msnet.co.kr 사진 프리랜서 강병두 plmnb12@hanmail.net
2010년08월28일 (토) 오전 10:42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742 2018-12-17

KBS 아침뉴스타임 - [활력충전] 맛과 멋에 흠뻑~ 우리 전통술

KBS 아침뉴스타임 - [활력충전] 맛과 멋에 흠뻑~ 우리 전통술 류인수소장님께서 수업중이신 모습까지 같이 촬영되었던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13.12.17일 방영분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U-s1BySHiA

  • 조회 수 898
  • 2017-01-06

조선일보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주막이 부활하고 있다. 지난 2월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대형 양조장이 아닌 음식점에서도 직접 담근 막걸리·청주·약주를 팔 수 있게 됐다. 옛 주막과 지금 주막은 어떻게 같고 다를까. 조선 시대 마지막 주막으로 알려진 경북 예천 ...

  • 조회 수 915
  • 2017-01-06

[한경생활문화] "맛이 다르다" 입소문…정용진도 반한 11만원 술의 정체 file

입력 2022.01.06 16:52 수정 2022.01.07 02:07 지면 A20 명욱의 호모마시자쿠스 10만원대 막걸리 시대 우리술에서 위스키의 향이 난다 도수 높은 원액 우리의 전통 술도 이젠 느끼고 음미할 수 있어 작년 가을 주류업계를 떠들썩하게 한 ...

  • 조회 수 917
  • 2022-01-11

[동아닷컴] 전통주갤러리, ‘한국술 도서 기획전 : 술의 기록’ 진행 file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1-04-30 09:34수정 2021-04-30 09:40 전통주갤러리에서 6월 30일까지… 50여권 전시 전통주갤러리(관장 이현주)는 한국 술 관련 도서들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한국 술 도서 기획전 : 술의 기록’을 ...

  • 조회 수 935
  • 2021-05-06

쿠켄 맛있는 TV 풋풋한 봄 한모금 쑥으로 빚는 술, ‘애주(艾酒)’

https://tv.naver.com/v/1622454 시절이 좋아 시절주 풋풋한 봄 한모금, 애주 옛 사람들은 계절이 바뀌면 그 계절의 산물로 술을 빚었다. 시절이 좋아 시절마다 담그는 술 ‘시절주’다.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소장과 함께 매달의 정취를 담아 시절주를 빚어...

  • 조회 수 937
  • 2018-11-08

[BND TAKL] 류인수의 서울 막걸리 file

출처 : https://m.blog.naver.com/barndining_/222292398772

  • 조회 수 994
  • 2021-04-20

소믈리에 타임즈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개최!, 11월19일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한국가양주연구소(소장 류인수)는 오는 11월 19 우리술 주안상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15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 3회째를 맞이하는 우리술 주안상대회는 우리술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을 선발하는 대회이며, 주안상부와 대학생부로 나뉘어 치러진다...

  • 조회 수 1009
  • 2018-11-08

[어게인TV]'수요미식회', 취향저격 막걸리? '라벨'만 확인하세요

기사입력 2017. 03. 30 06:50 .article .info .info_left{width:50%} .article .info .info_right{width:50%} .unse_160920_t1, .unse_160920_t2{position:relative; overflow:hidden; float:left; font-size:12px; padding:1px 6px; letter-spaci...

  • 조회 수 1072
  • 2018-11-08

농진청 전통주 복원 움직임 활발

농진청 전통주 복원 움직임 활발 고려시대 ‘녹파주’ ‘아황주’ 실용화 성공 … 2012년까지 총 15개 전통주 복원 목표 전통주를 복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농촌진흥청은 2008년 ‘삼일주(三日酒)’와 ‘황금주(黃酒)’에 이어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던 ‘녹파주(波酒...

  • 조회 수 1129
  • 2010-08-21

해외에서도 막걸리 ‘열풍’

해외에서도 막걸리 ‘열풍’ 中수출액 22배·美 8배 ↑ 막걸리 열풍이 해외에서도 거세게 불고 있다. 올해 상반기(1∼6월) 막걸리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4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중국 수출액은 22배로, 미국은 8배로 상승했다. 10일 ...

  • 조회 수 1134
  • 2010-08-12

경북도 쌀산업 즉석밥·전통주 위주로

경북도가 쌀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본격 육성한다. 도는 값 폭락 등 해마다 되풀이 되는 쌀 수급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기존의 생산 및 보관 중심의 쌀 산업에서 탈피, 정보기술(IT)·생명공학(BT)·나노기술(NT)와 결합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 육성키...

  • 조회 수 1138
  • 2010-02-11

조선일보 맛있는 우리술 다모였네... K-Sool 프리미엄 시음 상담회

입력 2018.10.19 14:57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우수한 전통주의 판로확대를 위하여 ‘2018 K-Sool 프리미엄 시음 상담회’를 지난 16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에서 개최했다. 지난 16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

  • 조회 수 1168
  • 2018-11-08

[여성조선] 한 병 5만9천원, 정용진ㆍ고소영ㆍ박재범이 반한'증류식소주'의 모든 것 file

#화요 #키소주 #원소주 이근하 기자 입력 2022.02.23 09:00 수정 2022.02.25 08:48 사진(제공) : 조선일보DB, 원소주SNS 녹색병 소주보다 몇 배는 더 비싼 ‘이 술’이 화두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배우 고소영은 극찬했고, 가수 박재범은 브랜...

  • 조회 수 1198
  • 2022-03-08

[세계파이낸스]한국가양주연구소,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 23~25일 aT센터서 개최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경연 사진[세계파이낸스=이경하 기자] 한국가양주연구소(소장 류인수)가 오는 23일~25일 ‘2018 우리술 대축제’가 열리는 서울 aT센터에서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를 개최한다. 2015년 시작해 올해 4회째를 맞는 ‘우리술 주안상대회...

  • 조회 수 1207
  • 2018-11-22

농촌여성 전문교육 열기 ‘후끈’

농촌여성 전문교육 열기 ‘후끈’ 삼척 농기센터, 전통주 제조 등 9개 강좌 1000명 참여 농촌여성들의 능력 계발 활동을 돕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여성 전문교육과정이 삼척시에서 잇따라 개설돼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6일 삼척시에 따르면 농업기술센...

  • 조회 수 1211
  • 2010-09-28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주로주로닷컴 메인페이지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막걸리 포털사이트 '주로주로닷컴' 오픈 국내 최초로 막걸리 전문 포털사이트가 생긴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쌀가공식품협회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전국의 막걸리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

  • 조회 수 1212
  • 2010-06-24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대기업이 '막' 걸리는 대로 지역 막걸리 업체와 손잡고 막걸리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진로와 오리온·롯데그룹·농심그룹·CJ제일제당 등이 그들이다. 이로써 중소·지역업체가 일궈놓은 막걸리시장이 대기업의 이전투구...

  • 조회 수 1255
  • 2010-07-06

[인천일보]한국 가양주연구소 '우리술 주안상 대회' 대상은 진두룡씨

한국 가양주연구소는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를 개최한 결과 '한우와 한돈을 이용한 겨울 제철 상차림'을 선보인 진두룡(오른쪽)씨가 대상을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진씨는 풍정사계 동(25%)을 주류로 선정한 가운데 소꼬리와 한약을 넣어 삶은 수육을 ...

  • 조회 수 1256
  • 2018-12-10

[소믈리에타임즈]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 ‘진두룡, 풍정사계 동(25%) 주안상으로 대상 수상’

▲ 대상을 수상한 진두룡(오른쪽) 수상자 <사진=한국가양주연구소>한국가양주연구소에서 실시한 2018 우리술 주안상 대회에서 ‘한우와 한돈을 이용한 겨울 제철 상차림’을 선보인 진두룡이 대상을 차지했다. 진두룡은 풍정사계 동(25%)을 주류로 선정했으며, 소...

  • 조회 수 1271
  • 2018-12-10

조·기장·율무로 빚은 ‘잡곡술’ 나온다

농진청, 가양주 개발 시제품 품평회 농촌진흥청은 조, 기장, 수수, 율무로 빚은 술을 선보인다. 농진청은 한국가양주협회와 공동으로 ‘잡곡 소비촉진과 잡곡산업 활성화를 위한 잡곡 가양주 개발 시제품 품평회’를 1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전통...

  • 조회 수 1275
  • 2009-11-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