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10·끝>전주 이강주 조정형 씨

조회 수 1515 추천 수 10 2010.02.11 15:09:57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21/25558748/2멥쌀 소주에 배-생강 넣고 침출… 은단 씹은 느낌

전통주 명인 고천 조정형 선생이 배,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빚은 이강주를 만들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술을 내리고 있다. 전주=박영철 기자
《전주 이강주 명인 조정형 씨(69)는 술과 뗄 수 없는 팔자를 타고 난 사람이다.
향토사학자이자 시조시인이었던 그의 선친 작촌 조병희 선생(1910∼1996)은 그가 태어나던 날 일기에 “산모가 태몽에 땅속에서 술 빚는 솥이 솟아오르는 꿈을 꾸어 솥 정(鼎) 자를 넣어 이름을 정형이라고 지었다”고 적고 있다.
그는 국내에서 술에 관한 한 누구보다 이론과 실재를겸비한 사람이다.》

1964년 전북대 농화학과에서 발효학을 공부한 뒤 목포 삼학소주와 전주 오성주정, 익산 보배소주, 제주 한일소주 등에서 25년 동안 실험실장과 공장장, 기술고문 등을 지냈다. 주조사 1급 자격증에 수질환경관리 1급, 전북 무형문화재, 명인 칭호에 ‘다시 찾아야 할 우리 술’, ‘우리 땅에서 익은 우리 술’ 등 2권도 책도 냈다.

소주회사 공장장을 지내던 1980년대 초, ‘애주가들의 기호에만 맞추는 술이 과연 좋은 술인가’ 하는 회의에 빠졌다. 당시 ‘밀주’라고 천대 받으며 사라져 가던 가양주를 찾아 나서기로 했다. 회사의 반대를 무릅쓰고 전국 도서관을 돌며 민속주에 관한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특이한 술이 있다면 산골 오지나 조그마한 섬까지 마다하지 않고 찾아갔다.

대대로 내려오는 비방이라며 가르쳐 주지 않는 할머니들을 설득해 담그는 법을 알아내곤 했다. 밀주 단속이 워낙 심했던 때라 술 만드는 법을 물으면 세무서 공무원이나 경찰로 의심받기 일쑤였다. 1984년에는 소주공장에 아예 사표를 내고 본격적으로 민속주 만들기에 나섰다. 집까지 팔아 치우면서 그가 만들어 본 민속주는 200여 가지.

전주지역에서 벼슬을 했던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술인 이강주를 본격적으로 만들기로 하고 무형문화재 등록을 신청했지만 당시 전북도 문화재 심사위원이던 아버지가 번번이 퇴짜를 놓았다. 민속주에 미쳐 멀쩡한 직장 때려치우고 살림까지 말아 먹은 아들에게 문화재 등록을 허가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술 익는 항아리에서 나는 ‘뽀글뽀글’ 하는 소리가 그 어떤 오케스트라의 음악보다 좋았어요. 술 익는 방에서 혼자 자면서 항아리를 부여안고 울기도 많이 했죠.” 그는 숙성되는 술에 손가락만 넣어 보고도 술 익는 온도를 알아내며 코로 술내음만 맡아도 정확하게 알코올 농도를 집어내는 사람이다. 요즘도 사무실 한쪽에서 술이 발효되면서 날아가는 탄산가스로 인해 줄어든 무게를 역산해 주정 도수를 산출해 내는 방법을 실험하는 등 연구를 멈추지 않는다.




이강주는 배(梨)와 생강(薑)이 들어가서 이강주다. 예전에는 약의 의미인 이강고(梨薑膏)로도 불렸다. 누룩과 멥쌀로 약주를 빚어 증류를 거쳐 소주를 만들고 여기에 전주 배와 완주 봉동의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침출시킨다. 배는 청량감이 뛰어나 소화제 역할을 하고 생강과 계피향은 조화를 이뤄 감칠맛을 낸다. 울금은 습관성이 없는 신경안정제다. 여기에 꿀을 넣어 숙성시켜 알코올 도수 35도의 이강주가 완성된다. 최근에는 도수를 낮춰 25도와 19도 술을 만든다.

아주 옅은 노란색을 띤다. 흰 창호지가 빛바랜 것처럼 고풍스러운 색깔이다. 향은 짙다. 입에 한 잔 머금으면 은단이라도 씹은 것처럼 화한 기운이 가득 퍼진다. 술꾼들 사이에서는 ‘여름밤 초승달 같은 술’로 불린다. 이강주는 조선 중기 이후 국내 3대 명주로 꼽히던 술이다. 음식에 들이는 깊은 정성과 여성들의 빼어난 손맛으로 ‘맛의 본향’으로 불리는 전주의 명주다. 유학자 유득공의 ‘경도잡지’, 홍석모의 ‘동국세시기’,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 등에 이강주는 평양 감홍로, 호남 죽력고(정읍) 등과 함께 최고의 술로 꼽혔다. 고종 때 한미통상조약 체결 당시 건배주로 쓰일 만큼 국가대표 술이었다.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중국, 호주에도 수출한다.

“술은 제게 신앙입니다.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일이어서 진실해야 합니다. 정성을 들인 만큼 잘 익고 맛이 좋아집니다.”

문제는 숙성 시간이다. 이강주는 오래 묵히면 묵힐수록 맛이 깊어지는데 여러 여건 탓에 6개월 숙성이 전부다. 그는 제대로 된 술 저장 공간을 마련해 오랜 숙성을 거친 이강주를 만들어 세계 명주들과 한판 붙어보는 꿈을 꾼다. 그동안 모은 1200여 점의 술 관련 자료로 술박물관을 열고 전통주 기법을 총정리한 책도 펴낼 계획이다.

“이루어질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죽기 전에 전국 명주의 장점을 딴 최고의 술 ‘신선주’를 한 잔이라도 만들어 보고 싶소.”

전주=김광오 기자 kokim@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58 2018-12-17

경기도 전통주, 전국 품평회에서 2년 연속 1위 달성

경기도 전통주, 전국 품평회에서 2년 연속 1위 달성 [아시아투데이=김주홍 기자] 경기도는 5일 2010 대한민국 전통주 품평회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농림수산식품부 주관으로 9월 30일~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0 ...

  • 조회 수 1465
  • 2010-10-15

"'신의 물방울' 따로 없네" 전통주 품평회

"'신의 물방울' 따로 없네" 전통주 품평회 강원도는 18일 춘천시 우두동 농업인 단체회관에서 도내 제조 전통주에 대한 '우리 술 품평회'가 개최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품평회는 전국 단위로 열리는 '2010 우리 술 품평회'에 참가할 도내 제조주를 가리고 ...

  • 조회 수 1467
  • 2010-08-21

[주세법 개정안]전통주 원료 '과채류' 사용 허용

[주세법 개정안]전통주 원료 '과채류' 사용 허용 [2010년 세제개편안 입법예고] 내년부터는 탁·약주 등의 원료로 과실 및 과채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주에 주정 및 증류식소주를 첨가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

  • 조회 수 1475
  • 2010-09-03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이 국내 막걸리 업계 처음으로 일본 약국 체인 유통망에 진출했다. ㈜우리술은 24일 우리 막걸리가 일본 최대 규모의 약국 유통망 중 하나인 마츠모토 키요시(Matsumoto Kiyoshi)에 쌀 막걸리(360ml), 배 막걸리...

  • 조회 수 1478
  • 2010-06-25

전통香가득 담아 세계속 名酒꿈꾼다

‘앉은뱅이 술’로 불리는 명주(名酒)가 있다. 감미로움이 빼어나 한번 맛을 보면 자리에서 일어설 줄 모른다는 데서 유래했다. 취기를 느끼게 하지 않을 정도로 맛이 부드러워 그런 이름이 붙혀졌다는 설도 있다. 바로 한산소곡주다. 그 독특한 감칠 맛으로 유...

  • 조회 수 1504
  • 2006-07-28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8>명인주 안동소주 박재서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07/25248448/1《“18년 전에 빚은 겁니다. 한 모금 해보세요.” 기자는 물로 입을 헹군 뒤 ‘명인주 안동소주’를 반 잔 정도 입에 넣었다. 목을 타고 넘어간 술은 3초 정도 뜸을 들인 ...

  • 조회 수 1507
  • 2010-02-11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10·끝>전주 이강주 조정형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21/25558748/2멥쌀 소주에 배-생강 넣고 침출… 은단 씹은 느낌 전통주 명인 고천 조정형 선생이 배,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빚은 이강주를 만들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술을 내리고 ...

  • 조회 수 1515
  • 2010-02-11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허시명 한국여행작가협회 회장 겸 막걸리학교 교장 “2008년 늦가을 무렵 갑작스레 막걸리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그러나 이 시작이 일본에서부터라는 게 아쉽다. 이젠 우리들 스스로 우리 역사가 살아 숨 ...

  • 조회 수 1517
  • 2010-08-21

겨울철에 약이되는음식& 독이되는음식

[쿠키 건강] 겨울철은 추위를 이기기 위한 칼로리 소모가 다른 때보다 많은 계절이다. 겨울철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이 여름철보다 10% 이상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 겨울철에 먹거리의 유혹을 더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지적. 한 겨울,우리 몸에 약이 되...

  • 조회 수 1521
  • 2007-01-08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막걸리가 국제 주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국순당(www.ksdb.co.kr대표이사 배중호)은 지난 6월18일부터 20일까지 3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닛코호텔에서 개최된 2010 San Francisco International Wine Competi...

  • 조회 수 1529
  • 2010-06-25

용인 백옥쌀로 전통주 ‘술술’

경기 용인시는 백옥쌀 가공식품 육성의 하나로 백옥쌀 전통주를 개발, 적극 보급한다고 4일 밝혔다. 백옥쌀 전통주 육성사업은 용인 특산품인 백옥쌀을 100% 주원료로 명품술을 개발, 육성해 지역산업발전과 농외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시는 ...

  • 조회 수 1534
  • 2010-02-11

“친숙한 우리 술 취해도 좋으니 마음껏 마셔라”

막걸리 열풍이 거세다. 경기 불황과 웰빙 바람은 주머니 사정과 건강을 고려하는 실속파를 낳았고, 그들은 막걸리를 택했다. 막걸리의 맛과 질이 한층 높아진 덕에 깐깐한 20~30대 여성 소비자들마저도 막걸리에 매료되었다. 한마디로 ‘막걸리의 부활’이다. 막...

  • 조회 수 1536
  • 2009-08-07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9>금산인삼주 김창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14/25410501/2인삼 갈아넣어 100일 숙성… 편안한 아침 《1500년 전 강씨 성을 가진 남자가 충남 금산의 진악산 동굴에서 홀어머니의 쾌유를 빌며 백일기도에 나섰다. 정성에 감복한 ...

  • 조회 수 1542
  • 2010-02-11

전주발효식품엑스포 체험행사 '풍성'

[연합뉴스 2006-10-12 06:39]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가 세계 각국의 발효식품을 직접 만들며 느껴보는 다양한 체험의 장을 마련한다. 12일 발효식품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9일 막을 올리는 엑스포에서 10여개의 체...

  • 조회 수 1544
  • 2006-10-14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5일부터 확대 시행 … 국내산 업체 차별화 전략 돌입 오는 5일부터 배달용 치킨과 막걸리 등에도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된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5일부터 65만개 전...

  • 조회 수 1544
  • 2010-08-03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복분자ㆍ사과ㆍ우뭇가사리ㆍ메밀ㆍ인삼ㆍ대추… 고창 복분자, 예산 황토 사과, 포항 우뭇가사리 막걸리…. 최근 지역쌀과 특산물을 주요 재료로 사용한 토속 막걸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막걸리 원산지표시제와 막걸리 품...

  • 조회 수 1547
  • 2010-08-12

거품빠진 보졸레누보 인기 왜?

해마다 11월 셋째주 목요일을 앞두고 프랑스 부르고뉴의 보졸레 지방에서 출하되는 보졸레누보 행사에 대한 홍보가 한창이다. 1996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불과 2~3년 전까지만 해도 “올해 보졸레누보 마셔봤어?”란 질문이 오갈 정도였다. 하지만 그간 이...

  • 조회 수 1554
  • 2005-12-28

전통주 제조법, 특수분야 연수기관에서 배운다

[뉴스천지=서영은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전통주 문화와 제조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서 (사)한국가양주협회(회장 류인수)를 2010년 특수분야연수기관으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사)한국가양주협회에서 설립 운영하고 있는 전통주학교는 현재 ...

  • 조회 수 1561
  • 2010-03-08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과일주부터 막걸리, 소주, 약주까지 맛과 향이 풍부한 우리 술 빚기의 인기가 높다. 농촌진흥청이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전통주 제조교육 현장은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늘 붐빈다. ...

  • 조회 수 1561
  • 2010-07-12

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

  • 조회 수 1566
  • 2006-11-0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