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8>명인주 안동소주 박재서 씨

조회 수 1515 추천 수 10 2010.02.11 15:07:53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07/25248448/1《“18년 전에 빚은 겁니다. 한 모금 해보세요.”
기자는 물로 입을 헹군 뒤 ‘명인주 안동소주’를 반 잔 정도 입에 넣었다.
목을 타고 넘어간 술은 3초 정도 뜸을 들인 뒤 목이 아닌 배 속에서 맛이 올라왔다. 45도면 도수가
꽤 높은데도 목 넘김이 순하고 ‘뒷맛’은 아주 깔끔했다.
한 잔 더 마셔도 마찬가지였다.》


3단계 증류… 45도에도 순하고 깔끔


이 맛보기용 18년산은 ‘명인주 안동소주’를 제조하는 박재서 씨(75·전통식품명인 제6호)가 1992년 ㈜안동소주를 창립해 주류제조면허를 받을 당시 빚은 것이다. 박 명인은 이때 빚은 45도짜리 소주를 오크통에 보관하다 손님이 오면 조금씩 내온다. 그때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술맛으로만 비교하면 이 안동소주는 세계의 위스키 시장에서도 얼마든지 경쟁할 수 있습니다. 마셔봐서 느꼈겠지만 45도인데 굉장히 순하고 부드러운데다 불을 쬐는 과정에서 생기는 탄내도 전혀 없잖아요. 여러 나라의 좋다는 술은 거의 맛을 봤지만 쌀로 만든 술이 이 정도로 깨끗한 경우는 아직 못봤습니다.” 그의 자부심이다.

‘명인주 안동소주’의 뿌리는 경북 안동지역의 반남 박씨 문중에서 내려오는 가양주이다. 반남 박씨 10대 손인 유학자 은곡 박진(1477∼1566)이 안동에 정착한 뒤 정부인 안동 권씨가 가양주로 빚은 것이 유래다. 박진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은곡서당(경북유형문화재)은 지금도 안동에 남아 있다. 반남 박씨 25대 손인 박 명인은 그 가양주 전통을 바탕으로 지금의 안동소주를 탄생시켰다. 하지만 ‘문중의 가양주’ 수준을 그대로 지키는 것이 아니라 한층 발전시켰다. 그게 전통을 ‘계승’한다는 의미라는 신념이다.

“어머니한테서 배울 때는 가양주 수준이었지만 그 맛으로는 부족하지요. 안동소주만의 깊고 그윽한 맛을 내기 위해서는 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도록 발전시켜야 했습니다. 가령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에 전시했을 때 외국인들도 ‘한국의 위스키’로 인정하고 구입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외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게 술에서 냄새나는 것인데, 누룩 때문에 가양주는 결국 농주 수준이거든요.”

박 명인은 쌀과 누룩, 물을 3단계를 거쳐 증류해 소주를 빚는다. 보통 술을 빚는 방식이 2단계인 데 비해 그는 한 단계를 더 거친다. 1∼2단계가 13일, 2∼3단계가 15일이므로 증류를 하려면 한 달가량 필요하다. 물은 안동시 와룡면 고지대의 지하 270m에서 끌어올린 암반수를 쓴다. 이어 100일 숙성한 뒤 ‘명인주 안동소주’가 태어나기 때문에 냄새를 없앨 수 있다. ‘술’을 나타내는 한자도 일반 희석식 소주에 쓰는 것이 ‘酒’인 데 비해 안동소주는 ‘酎’이다. ‘酎’에는 ‘세 번 빚은 술’이라는 뜻이 들어 있다.




취재를 하는 동안 박 명인의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전통식품 명인으로 지정된 1995년 ‘명인주 안동소주’는 안동시 와룡면에 설립됐으나 2007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로 공장을 옮겼다. 이곳에서 박 명인을 비롯해 직원 16명이 연간 10만 병가량 생산하고 있지만 공장 규모와 생산, 매출은 설립 당시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1996년에는 연간 70만 병가량을 생산해 매출도 100억 원이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20억 원대로 줄었다. 45도뿐 아니라 35도, 22도짜리도 생산하는 이유도 전통주를 대중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는 “아무리 전통주를 잘 만들어도 국내뿐 아니라 수출을 통한 국제 세일즈가 되지 않으면 전통도 의미가 없다”며 크게 우려했다. 박 명인은 “술의 질이라면 자신 있지만 현실적으로 판로 확보가 어려워 미래를 낙관하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전통주에 대한 특혜가 아니라 당당하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 정도는 정부가 관심을 가져줘야 한다”고 했다. 자금력이 부족해 대리점 운영과 대형할인점 입점, 수출이 어려운 데다 인터넷 판매도 할 수 없다.

기능전수자인 아들 박찬관 씨(53)가 주경야독으로 2004년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도 전통주의 마케팅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기능전수보조자인 박 명인의 손자 춘우 씨(23·건국대 미생물학과 3년)도 방학 때마다 안동에 와서 소주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아들 찬관 씨는 “‘판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전통주는 죽는다’고 하는 아버지를 지켜보면서 서울에 ‘명인주 전시관’을 건립해 전국의 명인술을 전시 판매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604 2018-12-17

막걸리 vs 사케 “상대국 입맛 잡아라” 한·일 전통주 대결

막걸리 vs 사케 “상대국 입맛 잡아라” 한·일 전통주 대결 ㆍ일본의 ‘막걸리 열풍’… 웰빙·한류 마케팅 덕 지난해 800만병 팔려 ㆍ한국의 ‘사케 신바람’… 선술집 확산에 대중화, 깔끔한 맛으로 유혹 한·일간 전통주 싸움이 볼 만하다. 일본 전통주인 사케(청주)...

  • 조회 수 1921
  • 2010-07-21

누룩으로 빚은 전통주..'금정산성 막걸리 축제'

->금정산성 막걸리 축제 (부산=연합뉴스) 부산의 전통 토속주인 금정산성 막걸리를 알리기 위한 '제2회 금정산성 막걸리 축제'가 7일 금정산 금성동 마을에서 열렸다. 시민들이 누룩으로 빚은 금정산성 막걸리를 시음하고 있다. << 지방기사 참고 >> 2010.7.7...

  • 조회 수 1933
  • 2010-07-08

프랑스 와인 경쟁력은 ‘다양성’

인터뷰 장-세자르 라메르 프랑스 상무관 2006-12-27 오후 3:08:22 게재 어느 민족에게나 있는 고유의 전통술. 그러나 민족을 넘어 세계적 술로 거듭난 것이 바로 와인이다. 와인 종주국 프랑스의 성공 비결과 한국전통주가 얻을 수 있는 교훈에 대해 주한프랑...

  • 조회 수 1937
  • 2006-12-27

“농업도시 괴산”

“농업도시 괴산” [대전일보 2006-04-09 23:33] [塊山]괴산군이 농업관련 특허를 잇따라 등록하고 있다. 괴산군은 지난달 고추를 발효시킨 ‘고추식초 제조법’이 특허를 받은데 이어 지난해 6월 출원한 ‘고추술 제조법’도 9개월여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최근 특...

  • 조회 수 1943
  • 2006-04-10

전남 해남쌀 100%, 생막걸리 나온다

->'백년 생막걸리' (해남=연합뉴스) 오는 12일 출시될 ㈜배상면주가의 '배상면 백년 생 막걸리'. 이 막걸리는 100% 해남 쌀을 원료로 만든다. <<지방기사 참고>> 2010.7.9 chogy@yna.co.kr 전남 해남쌀 100%, 생막걸리 나온다 배상면주가 12일부터 '백년 생막...

  • 조회 수 1965
  • 2010-07-12

이데일리TV에 생방송 출연하신 동영상

안녕하세요. 술독회원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1년 1월 8일 소장님께서 이데일리TV에 생방송 출연하신 동영상을 올립니다. 모두 즐겁게 봐주세요. ^^

  • 조회 수 1967
  • 2011-08-28

&lt;오후여담&gt;귀밝이술

[문화일보 2006-02-11 13:11] 우리 민족의 음주 기록은 멀리 부족국가 시대까지로 거슬러 올라 간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의 집단 행사 때면 술을 마셨다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백제의 ‘수수...

  • 조회 수 1976
  • 2006-02-11

'전주 맛 잔치'서 "전통주 맛보세요"

'전주 맛 잔치'서 "전통주 맛보세요" 11월 1-2일 전통주 대향연 (전주=연합뉴스) 김종량 기자 = 오는 11월 1-5일 전주 한옥마을 일대에서 열리는 '전주 천년의 맛 잔치' 때 전국 전통술이 선보인다. 전주전통술박물관은 맛 잔치 기간인 다음 달 1-2일 한옥생활...

  • 조회 수 1977
  • 2008-10-31

전통주, 이제 온라인에서 배운다.

전통주, 이제 온라인에서 배운다. - 한양사이버대학교 국내 최초 전통주 온라인교육 실시- 한양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원(원장 양재모)은 오는 7월 1일부터 국내 최초로 ‘온라인 전통주 전문가 과정’을 실시한다. 이번 온라인 전통주 교육은 ...

  • 조회 수 1980
  • 2011-08-28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대한항공에 막걸리 쌀빵 선보여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60)이 막걸리와 쌀을 사용해 만든 ‘막걸리 쌀빵’을 개발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10월 20일 전통주인 막걸리와 주식인 쌀을 재료로 ‘막걸리 쌀빵’을 만들어 기내식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막걸리 쌀빵에 이용되는 빵은 웰빙 트렌드를 고려...

  • 조회 수 1982
  • 2009-11-04

보석ㆍ술ㆍ미술품ㆍ문화재 내년초부터 RFID 부착

보석ㆍ술ㆍ미술품ㆍ문화재 내년초부터 RFID 부착 [매일경제 2007-04-20 20:02] 내년 초부터 보석 귀금속 주류 등에 깨알만한 크기의 전자태그(RFID)를 붙여 생산ㆍ유통ㆍ소비 단계에서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가짜가 발 붙이지 못하게 하는 사업이 시범적으로 이...

  • 조회 수 1987
  • 2007-04-21

빼앗긴 술 [1]

[한겨레] ▣ 김학민 <맛에 끌리고 사람에 취하다> 지은이 hakmin8@hanmail.net 술은 인류가 만들어낸 기호품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겨온 품목이다. 그리하여 각 민족 각 나라마다 술은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고, 우리나라...

  • 조회 수 1989
  • 2006-06-02

'사람 잡을 가짜 양주' 대량유통

[부산일보 2007-03-08 12:12] 공업용 에탄올로 제조… 부산 유흥업소에 억대 유통 인체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해 식용이 엄격히 금지돼 있는 공업용 에탄올을 저가 양주와 섞는 수법으로 억대의 가짜 양주를 만들어 시중에 유통시킨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

  • 조회 수 1995
  • 2007-03-08

소주 순해지고 전통주 독해지고 [1]

소주업체와 전통주 업체가 알코올 도수를 놓고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소주 업체들은 알코올 도수를 낮추는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전통주 업체들은 오히려 높여 가고 있다. 양측 모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판매를 높여보겠다는 전략이지만 시장에서 어...

  • 조회 수 1997
  • 2006-02-09

10월 21일(금) 뉴스타임-가을국화주 방송

http://news.kbs.co.kr/tvnews/news_8am/2011/10/21/2375659.html# 보셔요~

  • 조회 수 2004
  • 2011-10-22

류인수 소장 '한국정보화진흥원 홍보대사 위촉식' file

  • 조회 수 2004
  • 2012-10-14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③영주 오정주

->백발이 검어지고 새 이가 난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불로장생주 영주 오정주. 도자기병이 주도 35도짜리다. ->전통주 연구가인 오정주 제조자 박찬정 씨가 하회탈춤 인간문화재 이상호 씨와 오정주를 나누며 담소하고 있다.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③...

  • 조회 수 2009
  • 2010-08-03

국순당 생막걸리 무늬만 전통주

국순당 생막걸리 무늬만 전통주 비용 줄이려 값싼 수입쌀 사용 소비자 “브랜드 믿었는데…” 허탈감 국산쌀 소비정책 취지 무색 업계 “막걸리 열풍 찬물” 우려 대표적 전통주 기업인 국순당의 ‘생막걸리’가 무늬(?)만 전통주인 미국쌀 막걸리라는 사실이 뒤늦게 ...

  • 조회 수 2025
  • 2010-02-26

여보 오늘 밤 한잔 어때

[중앙일보 이훈범] 인류의 역사는 곧 술의 역사다. 수렵시대에는 과실로, 유목시대에는 가축의 젖으로 술을 만들었으며 농경시대에는 곡물을 원료로 술을 빚었다. 이집트에서는 이미 기원전 3000년에 맥주를 만들었고, 6세기 중엽 중국의 양조법은 오늘날과 차...

  • 조회 수 2029
  • 2006-02-11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창업] 창업, 전통에 눈돌리다 [매일경제 2006-05-01 14:56] 올 문화계 최고 히트상품은 영화 '왕의 남자'였다. '왕의 남자'는 사극 열풍을 불러일으키면서 광대놀이 등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창업시장에도 최근 전통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아...

  • 조회 수 2033
  • 2006-05-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