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8>명인주 안동소주 박재서 씨

조회 수 1520 추천 수 10 2010.02.11 15:07:53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07/25248448/1《“18년 전에 빚은 겁니다. 한 모금 해보세요.”
기자는 물로 입을 헹군 뒤 ‘명인주 안동소주’를 반 잔 정도 입에 넣었다.
목을 타고 넘어간 술은 3초 정도 뜸을 들인 뒤 목이 아닌 배 속에서 맛이 올라왔다. 45도면 도수가
꽤 높은데도 목 넘김이 순하고 ‘뒷맛’은 아주 깔끔했다.
한 잔 더 마셔도 마찬가지였다.》


3단계 증류… 45도에도 순하고 깔끔


이 맛보기용 18년산은 ‘명인주 안동소주’를 제조하는 박재서 씨(75·전통식품명인 제6호)가 1992년 ㈜안동소주를 창립해 주류제조면허를 받을 당시 빚은 것이다. 박 명인은 이때 빚은 45도짜리 소주를 오크통에 보관하다 손님이 오면 조금씩 내온다. 그때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술맛으로만 비교하면 이 안동소주는 세계의 위스키 시장에서도 얼마든지 경쟁할 수 있습니다. 마셔봐서 느꼈겠지만 45도인데 굉장히 순하고 부드러운데다 불을 쬐는 과정에서 생기는 탄내도 전혀 없잖아요. 여러 나라의 좋다는 술은 거의 맛을 봤지만 쌀로 만든 술이 이 정도로 깨끗한 경우는 아직 못봤습니다.” 그의 자부심이다.

‘명인주 안동소주’의 뿌리는 경북 안동지역의 반남 박씨 문중에서 내려오는 가양주이다. 반남 박씨 10대 손인 유학자 은곡 박진(1477∼1566)이 안동에 정착한 뒤 정부인 안동 권씨가 가양주로 빚은 것이 유래다. 박진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은곡서당(경북유형문화재)은 지금도 안동에 남아 있다. 반남 박씨 25대 손인 박 명인은 그 가양주 전통을 바탕으로 지금의 안동소주를 탄생시켰다. 하지만 ‘문중의 가양주’ 수준을 그대로 지키는 것이 아니라 한층 발전시켰다. 그게 전통을 ‘계승’한다는 의미라는 신념이다.

“어머니한테서 배울 때는 가양주 수준이었지만 그 맛으로는 부족하지요. 안동소주만의 깊고 그윽한 맛을 내기 위해서는 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도록 발전시켜야 했습니다. 가령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에 전시했을 때 외국인들도 ‘한국의 위스키’로 인정하고 구입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외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게 술에서 냄새나는 것인데, 누룩 때문에 가양주는 결국 농주 수준이거든요.”

박 명인은 쌀과 누룩, 물을 3단계를 거쳐 증류해 소주를 빚는다. 보통 술을 빚는 방식이 2단계인 데 비해 그는 한 단계를 더 거친다. 1∼2단계가 13일, 2∼3단계가 15일이므로 증류를 하려면 한 달가량 필요하다. 물은 안동시 와룡면 고지대의 지하 270m에서 끌어올린 암반수를 쓴다. 이어 100일 숙성한 뒤 ‘명인주 안동소주’가 태어나기 때문에 냄새를 없앨 수 있다. ‘술’을 나타내는 한자도 일반 희석식 소주에 쓰는 것이 ‘酒’인 데 비해 안동소주는 ‘酎’이다. ‘酎’에는 ‘세 번 빚은 술’이라는 뜻이 들어 있다.




취재를 하는 동안 박 명인의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전통식품 명인으로 지정된 1995년 ‘명인주 안동소주’는 안동시 와룡면에 설립됐으나 2007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로 공장을 옮겼다. 이곳에서 박 명인을 비롯해 직원 16명이 연간 10만 병가량 생산하고 있지만 공장 규모와 생산, 매출은 설립 당시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1996년에는 연간 70만 병가량을 생산해 매출도 100억 원이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20억 원대로 줄었다. 45도뿐 아니라 35도, 22도짜리도 생산하는 이유도 전통주를 대중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는 “아무리 전통주를 잘 만들어도 국내뿐 아니라 수출을 통한 국제 세일즈가 되지 않으면 전통도 의미가 없다”며 크게 우려했다. 박 명인은 “술의 질이라면 자신 있지만 현실적으로 판로 확보가 어려워 미래를 낙관하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전통주에 대한 특혜가 아니라 당당하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 정도는 정부가 관심을 가져줘야 한다”고 했다. 자금력이 부족해 대리점 운영과 대형할인점 입점, 수출이 어려운 데다 인터넷 판매도 할 수 없다.

기능전수자인 아들 박찬관 씨(53)가 주경야독으로 2004년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도 전통주의 마케팅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기능전수보조자인 박 명인의 손자 춘우 씨(23·건국대 미생물학과 3년)도 방학 때마다 안동에 와서 소주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아들 찬관 씨는 “‘판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전통주는 죽는다’고 하는 아버지를 지켜보면서 서울에 ‘명인주 전시관’을 건립해 전국의 명인술을 전시 판매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638 2018-12-17

경기도 전통주, 전국 품평회에서 2년 연속 1위 달성

경기도 전통주, 전국 품평회에서 2년 연속 1위 달성 [아시아투데이=김주홍 기자] 경기도는 5일 2010 대한민국 전통주 품평회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농림수산식품부 주관으로 9월 30일~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0 ...

  • 조회 수 1478
  • 2010-10-15

[ECONOMY Chosun]<박순욱의 술기행> [Interview]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 “막걸리에 열대과일 향 나는 비결은 직접 만든 누룩” file

388호 2021년 03월 22일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 경기대 외식경영학 박사, 현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 /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가 대표 제품인 막걸리 ‘서울’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박순욱 조선비즈 선임기자 한국가양주연구...

  • 조회 수 1483
  • 2021-04-20

[주세법 개정안]전통주 원료 '과채류' 사용 허용

[주세법 개정안]전통주 원료 '과채류' 사용 허용 [2010년 세제개편안 입법예고] 내년부터는 탁·약주 등의 원료로 과실 및 과채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주에 주정 및 증류식소주를 첨가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

  • 조회 수 1486
  • 2010-09-03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이 국내 막걸리 업계 처음으로 일본 약국 체인 유통망에 진출했다. ㈜우리술은 24일 우리 막걸리가 일본 최대 규모의 약국 유통망 중 하나인 마츠모토 키요시(Matsumoto Kiyoshi)에 쌀 막걸리(360ml), 배 막걸리...

  • 조회 수 1490
  • 2010-06-25

전통香가득 담아 세계속 名酒꿈꾼다

‘앉은뱅이 술’로 불리는 명주(名酒)가 있다. 감미로움이 빼어나 한번 맛을 보면 자리에서 일어설 줄 모른다는 데서 유래했다. 취기를 느끼게 하지 않을 정도로 맛이 부드러워 그런 이름이 붙혀졌다는 설도 있다. 바로 한산소곡주다. 그 독특한 감칠 맛으로 유...

  • 조회 수 1509
  • 2006-07-28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8>명인주 안동소주 박재서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07/25248448/1《“18년 전에 빚은 겁니다. 한 모금 해보세요.” 기자는 물로 입을 헹군 뒤 ‘명인주 안동소주’를 반 잔 정도 입에 넣었다. 목을 타고 넘어간 술은 3초 정도 뜸을 들인 ...

  • 조회 수 1520
  • 2010-02-11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허시명 한국여행작가협회 회장 겸 막걸리학교 교장 “2008년 늦가을 무렵 갑작스레 막걸리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그러나 이 시작이 일본에서부터라는 게 아쉽다. 이젠 우리들 스스로 우리 역사가 살아 숨 ...

  • 조회 수 1525
  • 2010-08-21

겨울철에 약이되는음식& 독이되는음식

[쿠키 건강] 겨울철은 추위를 이기기 위한 칼로리 소모가 다른 때보다 많은 계절이다. 겨울철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이 여름철보다 10% 이상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 겨울철에 먹거리의 유혹을 더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지적. 한 겨울,우리 몸에 약이 되...

  • 조회 수 1530
  • 2007-01-08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10·끝>전주 이강주 조정형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21/25558748/2멥쌀 소주에 배-생강 넣고 침출… 은단 씹은 느낌 전통주 명인 고천 조정형 선생이 배,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빚은 이강주를 만들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술을 내리고 ...

  • 조회 수 1537
  • 2010-02-11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막걸리가 국제 주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국순당(www.ksdb.co.kr대표이사 배중호)은 지난 6월18일부터 20일까지 3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닛코호텔에서 개최된 2010 San Francisco International Wine Competi...

  • 조회 수 1541
  • 2010-06-25

용인 백옥쌀로 전통주 ‘술술’

경기 용인시는 백옥쌀 가공식품 육성의 하나로 백옥쌀 전통주를 개발, 적극 보급한다고 4일 밝혔다. 백옥쌀 전통주 육성사업은 용인 특산품인 백옥쌀을 100% 주원료로 명품술을 개발, 육성해 지역산업발전과 농외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시는 ...

  • 조회 수 1542
  • 2010-02-11

“친숙한 우리 술 취해도 좋으니 마음껏 마셔라”

막걸리 열풍이 거세다. 경기 불황과 웰빙 바람은 주머니 사정과 건강을 고려하는 실속파를 낳았고, 그들은 막걸리를 택했다. 막걸리의 맛과 질이 한층 높아진 덕에 깐깐한 20~30대 여성 소비자들마저도 막걸리에 매료되었다. 한마디로 ‘막걸리의 부활’이다. 막...

  • 조회 수 1544
  • 2009-08-07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9>금산인삼주 김창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14/25410501/2인삼 갈아넣어 100일 숙성… 편안한 아침 《1500년 전 강씨 성을 가진 남자가 충남 금산의 진악산 동굴에서 홀어머니의 쾌유를 빌며 백일기도에 나섰다. 정성에 감복한 ...

  • 조회 수 1551
  • 2010-02-11

전주발효식품엑스포 체험행사 '풍성'

[연합뉴스 2006-10-12 06:39]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가 세계 각국의 발효식품을 직접 만들며 느껴보는 다양한 체험의 장을 마련한다. 12일 발효식품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9일 막을 올리는 엑스포에서 10여개의 체...

  • 조회 수 1552
  • 2006-10-14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5일부터 확대 시행 … 국내산 업체 차별화 전략 돌입 오는 5일부터 배달용 치킨과 막걸리 등에도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된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5일부터 65만개 전...

  • 조회 수 1552
  • 2010-08-03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복분자ㆍ사과ㆍ우뭇가사리ㆍ메밀ㆍ인삼ㆍ대추… 고창 복분자, 예산 황토 사과, 포항 우뭇가사리 막걸리…. 최근 지역쌀과 특산물을 주요 재료로 사용한 토속 막걸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막걸리 원산지표시제와 막걸리 품...

  • 조회 수 1555
  • 2010-08-12

거품빠진 보졸레누보 인기 왜?

해마다 11월 셋째주 목요일을 앞두고 프랑스 부르고뉴의 보졸레 지방에서 출하되는 보졸레누보 행사에 대한 홍보가 한창이다. 1996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불과 2~3년 전까지만 해도 “올해 보졸레누보 마셔봤어?”란 질문이 오갈 정도였다. 하지만 그간 이...

  • 조회 수 1568
  • 2005-12-28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과일주부터 막걸리, 소주, 약주까지 맛과 향이 풍부한 우리 술 빚기의 인기가 높다. 농촌진흥청이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전통주 제조교육 현장은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늘 붐빈다. ...

  • 조회 수 1568
  • 2010-07-12

술잔 커진 한국

[한겨레 2005-09-14 02:06] [한겨레] ‘한국은 지금 술 권하는 사회?’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탓인지 과음이나 폭음을 하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조세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음주의 사회적 비용 감축을 위한 주세율 체계의 개편방안’ 자료를 보면, 술 마...

  • 조회 수 1577
  • 2005-09-14

전통주 제조법, 특수분야 연수기관에서 배운다

[뉴스천지=서영은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전통주 문화와 제조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서 (사)한국가양주협회(회장 류인수)를 2010년 특수분야연수기관으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사)한국가양주협회에서 설립 운영하고 있는 전통주학교는 현재 ...

  • 조회 수 1578
  • 2010-03-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