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6>지리산 솔송주 박흥선 씨

조회 수 1853 추천 수 10 2010.02.11 15:06:29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210/24697552/2《조선시대 영남 유림의 맥을 논할 때 ‘좌안동 우함양(左安東 右咸陽)’이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경남 함양은 일찌감치 묵향의 꽃을 피운 선비 고을이다. 그 중에서도 지리산을 병풍 삼아 볕 좋은 곳에 자리 잡은 함양군 지곡면 개평마을이 대표적이다. ‘조선5현(朝鮮五賢’) 가운데 한 사람인 일두 정여창 선생(1450∼1504)의 500년 된 고택(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86호)이 이곳에 있다. 하동 정 씨의 집성촌인 이 마을에는 200년 이상 된 기와집 수십 채와 아담한 돌담길이 세월의 흔적을 지우지 않고 남아 있다.》

청정 암반수… 깊은 솔향… ‘지리산의 술’


또 하나. 늘 푸르고 꼿꼿한 소나무와 선비의 절개를 닮은 명주가 500년 세월을 이어오고 있다. 정 선생 가문에서 500년째 내려오는 가양주(家釀酒)인 ‘지리산 솔송주’다.

“물 좋은 곳에서 좋은 술이 나기 마련이죠. 술의 절대량이 물로 채워지니 어떤 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명주가 결정됩니다. 솔송주는 지리산 지하 암반수에 지리산 골짜기에서 나는 찹쌀, 솔잎, 송순, 누룩을 버무린 지리산의 술입니다.”

솔송주의 맥을 유일하게 지켜오고 있는 박흥선 씨(57·전통식품명인 27호)는 정 선생의 16대손 며느리이다. 33년 전 개평마을에 시집을 와서 시어머니에게 술 빚는 법을 배웠다. 100세인 시어머니의 건강이 좋지 않아 요즘엔 박 명인 혼자 맡고 있다.

“처음 시집왔을 땐 누룩 냄새를 맡지도 못했어요. 30년 넘게 술을 빚어왔지만 술은 한잔도 못 비워요. ‘이런 내가 가문의 술을 빚을 수 있을까’ 하고 고민했지만 가양주의 맥을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에 제조법을 배웠습니다.”

술은 못하지만 혀끝으로 술이 잘 빚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남편 정천상 씨(63)의 도움도 컸다. 정 씨는 20대 초반 총각 시절부터 맛본 솔송주에 대한 절대미각이 있다. 그의 기억으로는 솔송주 한잔을 맛보기 위해 전국에서 개평마을을 찾은 주당 나그네가 엄청났다고 한다.

지금 솔송주가 예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당시엔 술 이름이 ‘송순주(松荀酒)’였다는 점. 박 명인이 1996년 주조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타 지역에서 먼저 등록한 송순주와의 중복을 막기 위해 한글로 풀어 솔송주라고 이름 붙였다.

함양 선비들의 주안상에 오르던 솔송주의 제조과정은 이렇다. 찹쌀 죽에 누룩을 잘 섞어 독에 보관하고 사흘가량 발효해 밑술을 만든다. 식힌 고두밥과 살짝 찐 솔잎과 송순을 밑술과 섞어 보름가량 숙성한다. 송순을 찌는 건 떫은맛을 없애기 위해서다. 숙성된 술을 채와 창호지에 걸러내 서늘한 곳에서 20일가량 보관한 뒤 맑은 윗술을 떠내면 비로소 솔송주가 완성된다.

발효과정에서 남은 당분(잔당)을 조절하는 건 박 명인만의 비법이다. 당분이 없으면 독한 술이 되고 너무 많으면 고유의 술맛이 사라진다. 솔향 가득한 술은 이렇게 후손의 손끝에서 가문의 명예를 지켜왔다.

여느 술 빚는 사람처럼 박 명인도 발효와 숙성을 중요시 한다. 날씨와 온도에 따라 숙성기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하루 종일 신경을 곤두세운다. “발효는 하늘만이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술을 빚는 과정에서 기도를 많이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인 박 명인은 술 빚는 과정이 기도의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솔송주는 이름을 닮은 맛을 낸다. 진한 솔향이 먼저 코끝을 파고든다. 도수가 높지만 달짝지근한 맛에 목 넘김이 부드럽다. 뒤끝이 깨끗한 게 특징이다.




1996년부터 솔송주는 대변신을 꾀했다. 가양주 특성상 공급이 달리던 솔송주 명성을 전국과 해외로 확대하기 위해 대량 생산의 길로 접어들었다. 박 명인 부부가 개평마을 인근에 대형 술도가인 ‘명가원’을 차렸다. 현대식 술도가에서 만든 솔송주는 13%짜리 약주와 40%짜리 증류주로 나뉜다.

솔송주와 명가원에서 만드는 과실주는 해외에서도 인기다. 홍콩 중국 미국 일본 등 6개 나라에 수출하고 있다. 그동안 정천상 씨가 매년 서너 차례씩 국내외 주류 박람회에서 솔송주의 우수성을 알리고 다녔다. 박 명인도 직감과 손맛으로 전수된 제조법을 대중화로 이끌어내기 위해 술도가에서 몇 년을 연구했다.

전통을 간직한 노력 덕분에 솔송주는 지난해 경남 창원시에서 열린 환경 올림픽인 ‘2008 람사르 총회’에서 공식 건배주로 채택됐다.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의 북한 방문 때 남측이 내놓은 공식 만찬주 가운데 하나였다.

함양=윤희각 기자 toto@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879 2018-12-17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④김천 과하주

->조선시대 말엽까지 일본과 중국까지 명성을 드날린 한국 국주(國酒) 김천 과하주. 주도 16도짜리와 23도짜리 두가지를 빚는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물맛에 감탄한 과하천 바위에 조선말엽 과하주를 빚는 원천수로 쓰였다는 뜻의 '금릉주천(金陵酒泉)'이...

  • 조회 수 1609
  • 2010-08-03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1]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기업 및 네티즌 대상 적극적 계몽활동 펼쳐…한글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홍보 앞장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 - 한국식 소고기 야채 밥? 'Clear noodle pasta' - 투명한 면으로 만든 파스타? 위 ...

  • 조회 수 1608
  • 2010-08-12

전통주 제조법, 특수분야 연수기관에서 배운다

[뉴스천지=서영은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전통주 문화와 제조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서 (사)한국가양주협회(회장 류인수)를 2010년 특수분야연수기관으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사)한국가양주협회에서 설립 운영하고 있는 전통주학교는 현재 ...

  • 조회 수 1602
  • 2010-03-08

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

  • 조회 수 1598
  • 2006-11-01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전통주업체가 여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여성 고객들을 겨냥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맛과 향을 더한 전통주 신제품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코리안 펍 짚쌩은 천연탄산의 시원한 뒷맛으로 여성들의 입맛을 겨냥한 막걸리 ‘백...

  • 조회 수 1597
  • 2010-07-01

술잔 커진 한국

[한겨레 2005-09-14 02:06] [한겨레] ‘한국은 지금 술 권하는 사회?’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탓인지 과음이나 폭음을 하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조세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음주의 사회적 비용 감축을 위한 주세율 체계의 개편방안’ 자료를 보면, 술 마...

  • 조회 수 1593
  • 2005-09-14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市 농촌체험연구회, 전주 전통술박물관 견학 등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 전통주에 대한 체험과 연계한 체험마을이 공주시에 조성ㆍ운영될 전망이다. 공주시 농촌체험연구회(회장 최인규)가 우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벤치마킹...

  • 조회 수 1586
  • 2010-07-08

거품빠진 보졸레누보 인기 왜?

해마다 11월 셋째주 목요일을 앞두고 프랑스 부르고뉴의 보졸레 지방에서 출하되는 보졸레누보 행사에 대한 홍보가 한창이다. 1996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불과 2~3년 전까지만 해도 “올해 보졸레누보 마셔봤어?”란 질문이 오갈 정도였다. 하지만 그간 이...

  • 조회 수 1581
  • 2005-12-28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전통주로 농외소득을' 제조법 배우기 인기 과일주부터 막걸리, 소주, 약주까지 맛과 향이 풍부한 우리 술 빚기의 인기가 높다. 농촌진흥청이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전통주 제조교육 현장은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늘 붐빈다. ...

  • 조회 수 1578
  • 2010-07-12

용인 백옥쌀로 전통주 ‘술술’

경기 용인시는 백옥쌀 가공식품 육성의 하나로 백옥쌀 전통주를 개발, 적극 보급한다고 4일 밝혔다. 백옥쌀 전통주 육성사업은 용인 특산품인 백옥쌀을 100% 주원료로 명품술을 개발, 육성해 지역산업발전과 농외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시는 ...

  • 조회 수 1572
  • 2010-02-11

전주발효식품엑스포 체험행사 '풍성'

[연합뉴스 2006-10-12 06:39]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가 세계 각국의 발효식품을 직접 만들며 느껴보는 다양한 체험의 장을 마련한다. 12일 발효식품엑스포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9일 막을 올리는 엑스포에서 10여개의 체...

  • 조회 수 1572
  • 2006-10-14

“친숙한 우리 술 취해도 좋으니 마음껏 마셔라”

막걸리 열풍이 거세다. 경기 불황과 웰빙 바람은 주머니 사정과 건강을 고려하는 실속파를 낳았고, 그들은 막걸리를 택했다. 막걸리의 맛과 질이 한층 높아진 덕에 깐깐한 20~30대 여성 소비자들마저도 막걸리에 매료되었다. 한마디로 ‘막걸리의 부활’이다. 막...

  • 조회 수 1569
  • 2009-08-07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지역특산물로 만든 막걸리 쏟아진다 복분자ㆍ사과ㆍ우뭇가사리ㆍ메밀ㆍ인삼ㆍ대추… 고창 복분자, 예산 황토 사과, 포항 우뭇가사리 막걸리…. 최근 지역쌀과 특산물을 주요 재료로 사용한 토속 막걸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막걸리 원산지표시제와 막걸리 품...

  • 조회 수 1560
  • 2010-08-12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9>금산인삼주 김창수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14/25410501/2인삼 갈아넣어 100일 숙성… 편안한 아침 《1500년 전 강씨 성을 가진 남자가 충남 금산의 진악산 동굴에서 홀어머니의 쾌유를 빌며 백일기도에 나섰다. 정성에 감복한 ...

  • 조회 수 1560
  • 2010-02-11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300여 양조장 돌며 술 여행…막걸리는 가장 착한 술" 허시명 한국여행작가협회 회장 겸 막걸리학교 교장 “2008년 늦가을 무렵 갑작스레 막걸리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그러나 이 시작이 일본에서부터라는 게 아쉽다. 이젠 우리들 스스로 우리 역사가 살아 숨 ...

  • 조회 수 1557
  • 2010-08-21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치킨·막걸리도 원산지 표시 의무화 5일부터 확대 시행 … 국내산 업체 차별화 전략 돌입 오는 5일부터 배달용 치킨과 막걸리 등에도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된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5일부터 65만개 전...

  • 조회 수 1557
  • 2010-08-03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막걸리가 국제 주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국순당(www.ksdb.co.kr대표이사 배중호)은 지난 6월18일부터 20일까지 3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닛코호텔에서 개최된 2010 San Francisco International Wine Competi...

  • 조회 수 1556
  • 2010-06-25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10·끝>전주 이강주 조정형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100121/25558748/2멥쌀 소주에 배-생강 넣고 침출… 은단 씹은 느낌 전통주 명인 고천 조정형 선생이 배, 생강, 울금, 계피를 넣어 빚은 이강주를 만들기 위해 소줏고리에서 술을 내리고 ...

  • 조회 수 1554
  • 2010-02-11

[ECONOMY Chosun]<박순욱의 술기행> [Interview]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 “막걸리에 열대과일 향 나는 비결은 직접 만든 누룩” file

388호 2021년 03월 22일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 경기대 외식경영학 박사, 현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 / 류인수 서울양조장 대표가 대표 제품인 막걸리 ‘서울’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박순욱 조선비즈 선임기자 한국가양주연구...

  • 조회 수 1538
  • 2021-04-20

겨울철에 약이되는음식& 독이되는음식

[쿠키 건강] 겨울철은 추위를 이기기 위한 칼로리 소모가 다른 때보다 많은 계절이다. 겨울철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이 여름철보다 10% 이상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 겨울철에 먹거리의 유혹을 더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지적. 한 겨울,우리 몸에 약이 되...

  • 조회 수 1535
  • 2007-01-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