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4>민속주 안동소주 조옥화 씨

조회 수 1768 추천 수 10 2010.02.11 15:03:51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26/24380053/2“1200년 비법, 며느리에 전수”

《‘이 풍진 세상을,
아모리 아모리,
저 세상의 마음으로 살아간다 해도,
때없이 맞닥치는,
겨울비 같은 좌절과 낭패를,
들켜지고 마는 굴욕과 수모를,
불싸질러 흔적없이 사루어주는,
45도 화주(火酒) 안동소주,
사나이 눈물같은,
피붙이의 통증같은,
첫사랑의 격정같은,
내 고향의 약술 그 얼로 취하여,
이 풍진 시대도,
저 시대의 너털웃음 웃어가며,
성큼 성큼 건너뛰며 나 살으리.’
경북 안동 출신의 한 여성 시인은
‘민속주 안동소주’의 멋과 맛을
이렇게 예찬했다.
어떤 깊이 때문일까?》


기자가 최근 경북 안동시 수상동 ‘민속주 안동소주’ 공장을 찾았을 때 기능보유자(한국전통식품명인 20호, 경북 무형문화재 12호) 조옥화 씨(87·여)는 마침 제조방법을 견학하러 온 안동대 식품영양학과 학생 20여 명 앞에서 아들, 며느리와 함께 쌀과 누룩으로 안동소주를 빚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평생을 안동소주와 함께 사셨는데 어떤 마음인가요?”, “왜 45도 술이죠?” 같은 질문을 했다. 조 씨는 “술도 음식인데, 음식은 정성이고…. 제일 담백하고 개운한 느낌을 주는 상태가 45도여서 그렇지요”라고 답했다.

‘술도 음식이고 음식은 정성’이라는 조 씨 말은 제대로 음미할 필요가 있다. 그저 좋은 술 한 가지를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떠나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삶이 녹아있다. 할머니를 보면 여러 가지 음식이 잘 차려진 상 위에 안동소주 한 병이 놓여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안동소주를 판매하기 시작한 1990년부터 ‘민속주 안동소주’ 대표를 맡고 있으면서 ‘우리음식연구회장’을 비롯해 ‘궁중음식연구원 이사’, ‘성균관 여성유림회 예학연구원’ 같은 일을 지금도 한결같이 하고 있는 모습이 그 징표이다. 1999년 4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했을 때 생일상을 차린 주인공도 바로 조 씨였다. 대한주부클럽이 2001년 그를 ‘33회 신사임당상’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할머니는 말이 별로 없다. “안동소주가 왜 좋은 술이냐. 좀 과음해도 뒤끝이 없느냐” 같은 질문은 어색하다. 누룩과 지에밥을 어떻게 만들어 어떤 비율로 섞으며, 불의 세기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할머니에게서 직접 듣기는 어렵다. 그의 삶을 몇 마디 파편 같은 물음으로 가늠할 수 있을까. 기껏 쌀 80kg 한 가마니로 70병가량을 만들 수 있고, 연간 20만 병가량을 생산한다는 정도이다. 민속주 안동소주는 공장의 지하공간 발효실에서 만드는데, 이곳은 오직 할머니와 며느리만 들어갈 수 있다. 조 씨는 “안동소주는 이제 우리 며느리한테 물어보면 되는데…”라고 한다.

며느리 배경화 씨(57)는 시어머니의 소주 만드는 기술 뿐 아니라 그의 삶도 닮으려고 한다. 서울에 살던 배 씨는 1997년 안동으로 내려와 민속주 안동소주를 계승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화여대 화학과를 졸업한 그는 안동대에서 안동소주를 주제로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지난해 받은 박사학위 논문은 ‘민속주 안동소주 발효의 양조학적 특성 규명 및 자가 누룩 제조의 최적화’였다. 이후 안동소주 누룩의 발효 특성에 관한 논문을 학회지에 발표하기도 한 배 씨는 “시어머니의 평생 정성을 보면서 단순히 기술을 계승하는 것을 넘어 문헌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안동소주의 전래 과정을 연구한 석사논문에서 그는 안동소주의 유래를 기존의 고려시대에서 9세기 신라시대까지 더 올라가 1200년 역사로 재정립했다. 전통궁중음식을 연구하는 것도 시어머니를 닮았다.

배 씨는 1999년 민속주 안동소주의 기능후보자로 지정됐다. 남편 김연박 씨(63)는 기술적인 소프트웨어는 아내에게 맡기고 자신은 하드웨어 부분에서 안동소주의 발전을 고민하고 있다. 한양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아건설 이사를 마지막으로 고향에 내려온 김 씨는 2000년 ‘안동소주박물관’을 개관했다. 공장과 나란히 있는 박물관은 안동소주와 안동의 전통음식 체험장과 시험장으로 구성돼 있다. 각종 음식과 자료 등 660여 점이 전시돼 있다. 김 씨 역시 안동대에서 올해 2월 ‘향토산업으로서 민속주 안동소주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할머니는 “아들보다 며느리가 든든하다”고 했다. 사진을 좀 찍자는 기자의 부탁에 할머니는 며느리의 한복 옷고름을 바르게 고쳐주면서 “우리 며느리가 더 나은 소주를 만들기 위해 늘 공부해서 정말 기분이 좋지”라고 했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sort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39 2018-12-17

전통주 제조법, 특수분야 연수기관에서 배운다

[뉴스천지=서영은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전통주 문화와 제조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해서 (사)한국가양주협회(회장 류인수)를 2010년 특수분야연수기관으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사)한국가양주협회에서 설립 운영하고 있는 전통주학교는 현재 ...

  • 조회 수 1559
  • 2010-03-08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주로주로닷컴 메인페이지 막걸리, 이젠 인터넷으로 보고 골라 먹는다 막걸리 포털사이트 '주로주로닷컴' 오픈 국내 최초로 막걸리 전문 포털사이트가 생긴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쌀가공식품협회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전국의 막걸리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

  • 조회 수 1204
  • 2010-06-24

포천막걸리, 드라마 '식객(마지막 승부)' 소재로

포천막걸리, 드라마 '식객(마지막 승부)' 소재로 포천시-㈜제이에스픽쳐스, 업무협약 체결 [클릭코리아] 포천시(시장 서장원)는 포천막걸리 세계화 사업의 일환으로 포천막걸리사업협동조합과 함께 포천막걸리를 주 내용으로 드라마 <식객 '마지막승부(가제)'...

  • 조회 수 1730
  • 2010-06-24

한국 전통주에 푹 빠진 외국인들

한국 전통주에 푹 빠진 외국인들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주말을 맞아 한국의 전통주 체험에 나선 외국인들이 한국 술맛에 푹 빠졌다. 지난 29일 한국에 거주 중인 외국기업 임직원 및 가족, 주한 외교사절 등이 참가한 가운데 경기도 포천에서 ‘전통 가양...

  • 조회 수 1450
  • 2010-06-24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국순당, 막걸리 국제주류대회 최초 수상 막걸리가 국제 주류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국순당(www.ksdb.co.kr대표이사 배중호)은 지난 6월18일부터 20일까지 3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닛코호텔에서 개최된 2010 San Francisco International Wine Competi...

  • 조회 수 1526
  • 2010-06-25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 막걸리', 일본 약국에서 판매 ㈜우리술이 국내 막걸리 업계 처음으로 일본 약국 체인 유통망에 진출했다. ㈜우리술은 24일 우리 막걸리가 일본 최대 규모의 약국 유통망 중 하나인 마츠모토 키요시(Matsumoto Kiyoshi)에 쌀 막걸리(360ml), 배 막걸리...

  • 조회 수 1477
  • 2010-06-25

미디어플렉스, '참살이탁주'로 막걸리 사업 본격 확대

미디어플렉스, '참살이탁주'로 막걸리 사업 본격 확대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드라마 '신데델라 언니'를 통해 더욱 유명해진 막걸리 '참살이탁주'의 생산업체 참살이L&F를 인수한 미디어플렉스가 막걸리사업을 본격 확장한다. 경기무형문화재 제13호인 강...

  • 조회 수 1415
  • 2010-06-28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한 모금' 담아 파니 잘나가네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싱글족을 겨냥한 미니 상품이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 술도 '원샷 사이즈'의 소용량 주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독주를 즐기던 음주문화가 달라지고 여성 음주인구가 늘면서 맥주와 소주, 와인에 이어 막걸...

  • 조회 수 1656
  • 2010-06-28

막걸리 '나홀로 전성시대'

막걸리 '나홀로 전성시대' 소비량 2배 급증에 주류시장 점유율 12%대로 전체 술 소비량의 감소에도 불구, 유독 막걸리만 급증하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세청에 따르면 올 1분기 맥주출고량은 지난해 동기대비 10% 감소하고, 소주는 5.6% 증가하는데 그쳤...

  • 조회 수 1293
  • 2010-06-30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전통주업체가 여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여성 고객들을 겨냥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맛과 향을 더한 전통주 신제품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코리안 펍 짚쌩은 천연탄산의 시원한 뒷맛으로 여성들의 입맛을 겨냥한 막걸리 ‘백...

  • 조회 수 1575
  • 2010-07-01

삼척시, 전통주 관광자원화 사업 추진

삼척시, 전통주 관광자원화 사업 추진 【삼척=뉴시스】조병수 기자 = 강원 삼척시가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전통주를 개발해 관광자원화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30일 시에 따르면 최근 웰빙 붐을 타고 전통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

  • 조회 수 1404
  • 2010-07-01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막걸리도 글로벌?…지역색 없이 ‘맥주될라~’ 대기업이 '막' 걸리는 대로 지역 막걸리 업체와 손잡고 막걸리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진로와 오리온·롯데그룹·농심그룹·CJ제일제당 등이 그들이다. 이로써 중소·지역업체가 일궈놓은 막걸리시장이 대기업의 이전투구...

  • 조회 수 1245
  • 2010-07-06

[國恥百年](19)가양주의 금지와 주류 문화의 변화

->우리의 전통 가양주는 일제 강점기를 맞아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일제가 술에 세금을 매겨 걷고, 대량 생산을 통해 가양주를 말살하려 했다. 하지만 가양주는 오늘날 전통주로 다시 태어났고 안동소주(사진)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주로 자리 잡고 있다....

  • 조회 수 1833
  • 2010-07-06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부산합동양조, 1만2천 병 효모 살아있는 상태 첫 수출 "부산의 생막걸리로 일본에 제2의 막걸리 붐을 일으키겠다." 효모가 죽은 '살균 막걸리'가 아닌 효모가 살아있는 부산의 생막걸리가 일본에 수출된다. 현재 일본 수출 물량...

  • 조회 수 1615
  • 2010-07-08

누룩으로 빚은 전통주..'금정산성 막걸리 축제'

->금정산성 막걸리 축제 (부산=연합뉴스) 부산의 전통 토속주인 금정산성 막걸리를 알리기 위한 '제2회 금정산성 막걸리 축제'가 7일 금정산 금성동 마을에서 열렸다. 시민들이 누룩으로 빚은 금정산성 막걸리를 시음하고 있다. << 지방기사 참고 >> 2010.7.7...

  • 조회 수 1924
  • 2010-07-08

"전통주로 칵테일 만들어요"

"전통주로 칵테일 만들어요"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중앙탑공원 내 '세계술문화박물관 리쿼리움'이 일본인 문화 얼리어답터들의 집결지로 각광받고 있다. 탄금호반의 수려한 풍경이 펼쳐지는 리쿼리움 음주체험관에서 이곳을 찾은 일본인 30여 명이 제공된 레...

  • 조회 수 1727
  • 2010-07-08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市 농촌체험연구회, 전주 전통술박물관 견학 등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 전통주에 대한 체험과 연계한 체험마을이 공주시에 조성ㆍ운영될 전망이다. 공주시 농촌체험연구회(회장 최인규)가 우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벤치마킹...

  • 조회 수 1567
  • 2010-07-08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 고풍스러운 유적과 특색 있는 와인숍들이 어우러져 세계적 관광 명소가 된 프랑스 생테밀리옹(왼쪽)과 앤디 워홀이 그린 샤토 무통 로칠드 와인(1975년 빈티지)의 라벨. [막걸리, 세계인의 술로/2부]<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최고품질 佛와...

  • 조회 수 1583
  • 2010-07-08

롯데주류, 서울탁주와 손잡고 막걸리 수출

롯데주류, 서울탁주와 손잡고 막걸리 수출 롯데주류가 서울탁주와 손잡고 일본에 막걸리를 수출한다. 롯데주류는 12일 국내 최대 막걸리 업체인 서울장수주식회사와 막걸리 일본 수출을 공동으로 진행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서울장수주식회...

  • 조회 수 1732
  • 2010-07-12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는다] ①대를 이어 온 우리 술 [1]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는다] ①대를 이어 온 우리 술 고을마다 전통명주 가문마다 가양주…이젠 세계 대중술로 뜬다 '우리 전통주를 살립시다!' 최근 막걸리가 '국민주(酒)'로 떠오르면서 우리 전통주와 가양주(집에서 빚은 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

  • 조회 수 1873
  • 2010-07-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