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4>민속주 안동소주 조옥화 씨

조회 수 1767 추천 수 10 2010.02.11 15:03:51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26/24380053/2“1200년 비법, 며느리에 전수”

《‘이 풍진 세상을,
아모리 아모리,
저 세상의 마음으로 살아간다 해도,
때없이 맞닥치는,
겨울비 같은 좌절과 낭패를,
들켜지고 마는 굴욕과 수모를,
불싸질러 흔적없이 사루어주는,
45도 화주(火酒) 안동소주,
사나이 눈물같은,
피붙이의 통증같은,
첫사랑의 격정같은,
내 고향의 약술 그 얼로 취하여,
이 풍진 시대도,
저 시대의 너털웃음 웃어가며,
성큼 성큼 건너뛰며 나 살으리.’
경북 안동 출신의 한 여성 시인은
‘민속주 안동소주’의 멋과 맛을
이렇게 예찬했다.
어떤 깊이 때문일까?》


기자가 최근 경북 안동시 수상동 ‘민속주 안동소주’ 공장을 찾았을 때 기능보유자(한국전통식품명인 20호, 경북 무형문화재 12호) 조옥화 씨(87·여)는 마침 제조방법을 견학하러 온 안동대 식품영양학과 학생 20여 명 앞에서 아들, 며느리와 함께 쌀과 누룩으로 안동소주를 빚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평생을 안동소주와 함께 사셨는데 어떤 마음인가요?”, “왜 45도 술이죠?” 같은 질문을 했다. 조 씨는 “술도 음식인데, 음식은 정성이고…. 제일 담백하고 개운한 느낌을 주는 상태가 45도여서 그렇지요”라고 답했다.

‘술도 음식이고 음식은 정성’이라는 조 씨 말은 제대로 음미할 필요가 있다. 그저 좋은 술 한 가지를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떠나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삶이 녹아있다. 할머니를 보면 여러 가지 음식이 잘 차려진 상 위에 안동소주 한 병이 놓여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안동소주를 판매하기 시작한 1990년부터 ‘민속주 안동소주’ 대표를 맡고 있으면서 ‘우리음식연구회장’을 비롯해 ‘궁중음식연구원 이사’, ‘성균관 여성유림회 예학연구원’ 같은 일을 지금도 한결같이 하고 있는 모습이 그 징표이다. 1999년 4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했을 때 생일상을 차린 주인공도 바로 조 씨였다. 대한주부클럽이 2001년 그를 ‘33회 신사임당상’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할머니는 말이 별로 없다. “안동소주가 왜 좋은 술이냐. 좀 과음해도 뒤끝이 없느냐” 같은 질문은 어색하다. 누룩과 지에밥을 어떻게 만들어 어떤 비율로 섞으며, 불의 세기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할머니에게서 직접 듣기는 어렵다. 그의 삶을 몇 마디 파편 같은 물음으로 가늠할 수 있을까. 기껏 쌀 80kg 한 가마니로 70병가량을 만들 수 있고, 연간 20만 병가량을 생산한다는 정도이다. 민속주 안동소주는 공장의 지하공간 발효실에서 만드는데, 이곳은 오직 할머니와 며느리만 들어갈 수 있다. 조 씨는 “안동소주는 이제 우리 며느리한테 물어보면 되는데…”라고 한다.

며느리 배경화 씨(57)는 시어머니의 소주 만드는 기술 뿐 아니라 그의 삶도 닮으려고 한다. 서울에 살던 배 씨는 1997년 안동으로 내려와 민속주 안동소주를 계승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화여대 화학과를 졸업한 그는 안동대에서 안동소주를 주제로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지난해 받은 박사학위 논문은 ‘민속주 안동소주 발효의 양조학적 특성 규명 및 자가 누룩 제조의 최적화’였다. 이후 안동소주 누룩의 발효 특성에 관한 논문을 학회지에 발표하기도 한 배 씨는 “시어머니의 평생 정성을 보면서 단순히 기술을 계승하는 것을 넘어 문헌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안동소주의 전래 과정을 연구한 석사논문에서 그는 안동소주의 유래를 기존의 고려시대에서 9세기 신라시대까지 더 올라가 1200년 역사로 재정립했다. 전통궁중음식을 연구하는 것도 시어머니를 닮았다.

배 씨는 1999년 민속주 안동소주의 기능후보자로 지정됐다. 남편 김연박 씨(63)는 기술적인 소프트웨어는 아내에게 맡기고 자신은 하드웨어 부분에서 안동소주의 발전을 고민하고 있다. 한양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아건설 이사를 마지막으로 고향에 내려온 김 씨는 2000년 ‘안동소주박물관’을 개관했다. 공장과 나란히 있는 박물관은 안동소주와 안동의 전통음식 체험장과 시험장으로 구성돼 있다. 각종 음식과 자료 등 660여 점이 전시돼 있다. 김 씨 역시 안동대에서 올해 2월 ‘향토산업으로서 민속주 안동소주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할머니는 “아들보다 며느리가 든든하다”고 했다. 사진을 좀 찍자는 기자의 부탁에 할머니는 며느리의 한복 옷고름을 바르게 고쳐주면서 “우리 며느리가 더 나은 소주를 만들기 위해 늘 공부해서 정말 기분이 좋지”라고 했다.

안동=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37 2018-12-17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市 농촌체험연구회, 전주 전통술박물관 견학 등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 전통주에 대한 체험과 연계한 체험마을이 공주시에 조성ㆍ운영될 전망이다. 공주시 농촌체험연구회(회장 최인규)가 우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벤치마킹...

  • 조회 수 1567
  • 2010-07-08

술잔 커진 한국

[한겨레 2005-09-14 02:06] [한겨레] ‘한국은 지금 술 권하는 사회?’ 살림살이가 팍팍해진 탓인지 과음이나 폭음을 하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조세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음주의 사회적 비용 감축을 위한 주세율 체계의 개편방안’ 자료를 보면, 술 마...

  • 조회 수 1568
  • 2005-09-14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전통주업체가 여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여성 고객들을 겨냥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맛과 향을 더한 전통주 신제품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코리안 펍 짚쌩은 천연탄산의 시원한 뒷맛으로 여성들의 입맛을 겨냥한 막걸리 ‘백...

  • 조회 수 1575
  • 2010-07-01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1]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기업 및 네티즌 대상 적극적 계몽활동 펼쳐…한글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홍보 앞장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 - 한국식 소고기 야채 밥? 'Clear noodle pasta' - 투명한 면으로 만든 파스타? 위 ...

  • 조회 수 1579
  • 2010-08-12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④김천 과하주

->조선시대 말엽까지 일본과 중국까지 명성을 드날린 한국 국주(國酒) 김천 과하주. 주도 16도짜리와 23도짜리 두가지를 빚는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물맛에 감탄한 과하천 바위에 조선말엽 과하주를 빚는 원천수로 쓰였다는 뜻의 '금릉주천(金陵酒泉)'이...

  • 조회 수 1582
  • 2010-08-03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 고풍스러운 유적과 특색 있는 와인숍들이 어우러져 세계적 관광 명소가 된 프랑스 생테밀리옹(왼쪽)과 앤디 워홀이 그린 샤토 무통 로칠드 와인(1975년 빈티지)의 라벨. [막걸리, 세계인의 술로/2부]<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최고품질 佛와...

  • 조회 수 1583
  • 2010-07-08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file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품질인증제 실시 산업진흥 선봉에 서 짝사랑… 저세율 등 보호규제 그대로 정부가 막걸리 사랑에 ‘푹’ 빠졌다. 막걸리 산업 진흥의 선봉에 선 것이다. 세계화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전용잔 개발에 이어 ‘드렁큰 라이스(Drun...

  • 조회 수 1601
  • 2010-09-10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부산합동양조, 1만2천 병 효모 살아있는 상태 첫 수출 "부산의 생막걸리로 일본에 제2의 막걸리 붐을 일으키겠다." 효모가 죽은 '살균 막걸리'가 아닌 효모가 살아있는 부산의 생막걸리가 일본에 수출된다. 현재 일본 수출 물량...

  • 조회 수 1615
  • 2010-07-08

윤손하, "와~ 전통주 막걸리 위촉패 진짜 크다!"

[아츠뉴스=옥영화 기자] 배우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 위촉패를 수여 받았다. 2월 3일 여의도 63빌딩에서 배우 엄태웅과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호랑이와 막걸리. 2010년을 맞이하여 유독 눈에 띄는 단어이다. 60년 만에 찾...

  • 조회 수 1616
  • 2010-02-11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ile

-> 제30차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 참석자들이 27일 현대호텔에 마련된 '쌀 맛나는 경북홍보관'에서 막걸리를 마시고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흥겨워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AO 아태대회...

  • 조회 수 1637
  • 2010-09-28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전남 해남지역 대표 브랜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가 출시된다. 10일 해남군에 따르면 옥천농협과 옥천주조장이 최근 협약식을 갖고 '한눈에 반한 쌀'을 100% 사용한 막걸리를 생산판매하기로 했다. 이...

  • 조회 수 1650
  • 2010-08-12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서울신문]‘안동소주, 문배주, 두견주….’ 한국인이면 누구나 다 아는 민속주지만 경영실적은 ‘빛좋은 개살구’다. 한국의 술맛을 대표하는 민속주들이 시련을 겪고 있다.‘명절 선물용’이란 의식에다 ‘신세대 입맛에 맞지 않는다.’ 등 판매부진 이유도 가지가지...

  • 조회 수 1653
  • 2006-01-10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한 모금' 담아 파니 잘나가네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싱글족을 겨냥한 미니 상품이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 술도 '원샷 사이즈'의 소용량 주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독주를 즐기던 음주문화가 달라지고 여성 음주인구가 늘면서 맥주와 소주, 와인에 이어 막걸...

  • 조회 수 1656
  • 2010-06-28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헤럴드 생생뉴스 2006-10-13 09:41] 가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지역 축제의 열기가 뜨겁다. 각 지자체는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축제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독서의 계절’을 맞아 출판...

  • 조회 수 1660
  • 2006-10-14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file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보리막걸리에 탄산 강화, 젊은층 입맛 공략..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공식 건배주 음악에 어울리는 ‘재즈막걸리’를 개발, 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도는 오는 15일부터 열리는 ‘제7회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2010’을 맞아 경기도농...

  • 조회 수 1665
  • 2010-10-15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2&gt;계명주 최옥근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05/23901475/2《목으로 넘어가는 첫맛은 시큼했다. 발효된 알코올 특유의 신맛 다음엔 곡류(穀類)의 단맛이, 마지막엔 입 안으로 솔잎의 은은함이 퍼졌다. 이제까지 마셔본 어떤 술...

  • 조회 수 1667
  • 2010-02-11

[생방송 obs- "전통주와 감흥로주에 대한 류인수 소장님 인터뷰"] file

(류인수 소장님과 이병희 PD님 인터뷰 사진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술독 회원님들^^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게 됩니다. 파랗고 청명한 하늘이 우리의 마음을 셀레이게 하는 가을이 찾아왔내요. 다름이 아니라, 오늘 obs방송국에서 감홍로주에 대한 ...

  • 조회 수 1672
  • 2014-09-16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최근 인기를 더해가는 막걸리가 사실은 수입쌀로 만들어져 ‘전통주’의 이름을 무색케하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정해걸 한나라당 의원이 29일 농림수산식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

  • 조회 수 1677
  • 2010-10-15

“전통주, 농촌경제 활력소 될 것 ”

인터뷰 - 김영만 농림부 농산물유통국장 2006-12-28 오후 3:43:32 게재 전통주 산업이 농업·농촌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농림부는 9월 ‘전통주 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전통주 활성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조건이 성숙...

  • 조회 수 1682
  • 2006-12-29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경기도 내 지자체와 생산업체, 대학이 참여하는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이 19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문수(왼쪽에서 9번째)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가졌다.2010.08.19.<<지방기사 참고.경기도 제...

  • 조회 수 1687
  • 2010-08-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