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2>계명주 최옥근 씨

조회 수 1669 추천 수 12 2010.02.11 14:58:56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05/23901475/2《목으로 넘어가는 첫맛은 시큼했다.
발효된 알코올 특유의 신맛 다음엔 곡류(穀類)의 단맛이, 마지막엔 입 안으로 솔잎의 은은함이 퍼졌다.
이제까지 마셔본 어떤 술과도 달랐다.
한국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 술로 인정받은 ‘계명주(鷄鳴酒)’ 이야기다.
“황혼 무렵에 술을 빚으면 새벽닭이 울 때 마실 수 있다고 해서 ‘계명주’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간단하게 만들어 마실 수 있는 만큼 평안도 지역에서는 집집마다 퍼져 있던 술이 바로 이 계명주입니다.”》


“죽쒀 만든 北 제삿술 알고보니 고구려 술”

국내 유일의 계명주 명인인 최옥근 씨(66)는 이렇게 설명했다. 그만큼 계명주는 평안도 지역에서 빨리 만들어 빨리 마실 수 있는 술이었다. 최 씨는 “당장 내일이 제사인데 집에 술이 없으면 계명주를 급하게 만들곤 했다”며 “그 특성 때문에 이북에서는 ‘잔치술’, ‘속성주’라고도 했고, 엿기름을 사용한다고 해서 ‘엿탁주’라는 이름도 붙었다”고 말했다.

계명주는 국내 전통주 중에서 보기 드물게 수수와 옥수수를 주원료로 쓴다. 쌀이 귀한 북쪽 지방의 특성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고구려인의 주식 중 하나였던 수수가 계명주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원료다. 옥수수가 도입된 이후에는 옥수수를 더 많이 넣어 지금은 술의 빛깔이 황색을 띄지만 원래는 수수의 붉은빛이 더 강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전통주는 지에밥으로 빚지만 계명주는 죽을 쑤어 술을 만든다. 일주일 동안 묵혀둔 누룩에 옥수수와 수수를 갈아 넣고 물을 부어 죽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죽을 삼베자루로 거르고 솔잎과 함께 발효시키면 계명주가 된다. 계명주의 신맛과 단맛, 그리고 향은 누룩과 수수, 솔잎이라는 세 가지 주요 원료가 어우러진 것이다. 알코올 도수는 7∼16도.

최 씨가 처음부터 ‘계명주’라는 이름을 알고 이 술을 만들었던 것은 아니다. 최 씨의 남편인 장기항 씨(2005년 작고)와 시어머니 고 박채형 씨는 6·25전쟁 당시 평남 용강군에서 서울로 월남했다. 이때 가지고 내려온 집안의 ‘기일록(忌日錄)’에는 조상의 제삿날과 함께 제주(祭酒) 담그는 방법까지 자세히 적혀 있었다.

“23세 때 시집 와서 그 이듬해부터 술 만드는 일을 했어요. 매일매일 제삿술 만들 죽을 쑤라고 시키니 처음에는 이 술이 뭔지도 모르고 시집 잘못 왔다는 생각만 들더군요. 지금이야 가스불이 있어서 금방 되지만, 가마솥에 불을 땔 때는 그야말로 중노동이었죠.”

그러다 경기 남양주에 멧돼지 식당을 차리면서 계명주의 진가가 드러났다. 오가는 손님들에게 집안 전통의 가양주(家釀酒)를 맛보라고 조금씩 만들어 줬더니 처음 보는 술의 기원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계명주의 ‘뿌리 찾기’가 시작됐다.

장기항 씨는 그때부터 이북5도청 등을 찾아다니며 평안도 가양주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옛 입맛을 알고 있는 노인들을 찾아다니며 계명주의 원래 맛을 찾기 시작했다. 1980년대 하루 매출이 200만 원이 넘을 정도였던 멧돼지 식당의 수익금도 술 연구에 쏟아부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이들은 집안에서 전통적으로 빚어 오던 가양주가 동의보감에 기록된 ‘계명주’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최 씨는 1987년 경기도 무형문화재 1호로 등록됐고 1996년에는 농림부가 지정하는 ‘식품 명인’이 됐다. 자칫 잊혀질 뻔한 역사 속의 술이 개인의 노력으로 다시 살아난 셈이다.

어렵게 살아난 계명주지만 지금 상황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공장을 남양주에서 경기 이천으로 옮기며 2년 가까이 술 생산을 하지 못하고 있다. 최 씨가 가끔씩 소규모로 술을 만들긴 하지만 대량 생산은 끊어졌다. 계명주라는 이름이 낯선 것도 그 탓이 크다. 한때 서울지역 전통주점에 납품해 좋은 호응을 받기도 했지만 결국은 다시 ‘아는 사람만 사는’ 술이 됐다. 대량생산 시설과 술을 홍보할 자금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장 씨와 최 씨로부터 계명주 제조기술을 전수받은 제자 이창수 씨(54)는 “술을 맛보는 사람마다 ‘이 술을 가지고 왜 팔지 못하느냐’고 타박하다 보니 가끔 전수자로서 자괴감까지 들 때가 있다”며 “내년 2월부터 공장을 다시 남양주에 세우고 본격 생산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 내놓는 계명주는 최근 일고 있는 막걸리 열풍에 힘입어 ‘고급 발효주’답게 고급화와 젊은층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최 씨는 “제사를 지낼 때 일본 술인 ‘정종’을 제사상에 올리는 가정이 아직도 많다”며 “한국 전통주를 사용한다면 전통주가 다시 살아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천=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sort 날짜
2018 대한민국 우리술 주안상 대회 Real영상 3561 2018-12-17

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경제광장]농가소득과 알코올문화 [헤럴드경제 2006-10-26 14:02] 이내수 (사)향토지적재산본부 이사장 가뜩이나 어려워진 농촌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노인들만이 지키고 있는 황폐해진 농촌이 활력을 되찾고 농가소...

  • 조회 수 1569
  • 2006-11-01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공주시에 전통주 체험마을 들어선다 市 농촌체험연구회, 전주 전통술박물관 견학 등 벤치마킹에 적극 나서 전통주에 대한 체험과 연계한 체험마을이 공주시에 조성ㆍ운영될 전망이다. 공주시 농촌체험연구회(회장 최인규)가 우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벤치마킹...

  • 조회 수 1569
  • 2010-07-08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도수 낮춘 전통주 “마셔주세女” 전통주업체가 여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다. 여성 고객들을 겨냥해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맛과 향을 더한 전통주 신제품이 줄을 잇고 있어서다. 코리안 펍 짚쌩은 천연탄산의 시원한 뒷맛으로 여성들의 입맛을 겨냥한 막걸리 ‘백...

  • 조회 수 1575
  • 2010-07-0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 고풍스러운 유적과 특색 있는 와인숍들이 어우러져 세계적 관광 명소가 된 프랑스 생테밀리옹(왼쪽)과 앤디 워홀이 그린 샤토 무통 로칠드 와인(1975년 빈티지)의 라벨. [막걸리, 세계인의 술로/2부]<1> 장인정신과 제도의 힘, 프랑스 와인 “최고품질 佛와...

  • 조회 수 1584
  • 2010-07-08

[전통주, 세계화의 길을 묻다] ④김천 과하주

->조선시대 말엽까지 일본과 중국까지 명성을 드날린 한국 국주(國酒) 김천 과하주. 주도 16도짜리와 23도짜리 두가지를 빚는다.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물맛에 감탄한 과하천 바위에 조선말엽 과하주를 빚는 원천수로 쓰였다는 뜻의 '금릉주천(金陵酒泉)'이...

  • 조회 수 1586
  • 2010-08-03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1]

막걸리가 'Rice Wine'? 한글 고유 음식명이 사라진다 기업 및 네티즌 대상 적극적 계몽활동 펼쳐…한글 및 국가브랜드 이미지 홍보 앞장 'Korean style beef and salad bowl' - 한국식 소고기 야채 밥? 'Clear noodle pasta' - 투명한 면으로 만든 파스타? 위 ...

  • 조회 수 1592
  • 2010-08-12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file

농식품부 “우리는 막걸리 사랑해요” 품질인증제 실시 산업진흥 선봉에 서 짝사랑… 저세율 등 보호규제 그대로 정부가 막걸리 사랑에 ‘푹’ 빠졌다. 막걸리 산업 진흥의 선봉에 선 것이다. 세계화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전용잔 개발에 이어 ‘드렁큰 라이스(Drun...

  • 조회 수 1607
  • 2010-09-10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생막걸리로 일본 다시 공략" 부산합동양조, 1만2천 병 효모 살아있는 상태 첫 수출 "부산의 생막걸리로 일본에 제2의 막걸리 붐을 일으키겠다." 효모가 죽은 '살균 막걸리'가 아닌 효모가 살아있는 부산의 생막걸리가 일본에 수출된다. 현재 일본 수출 물량...

  • 조회 수 1616
  • 2010-07-08

윤손하, "와~ 전통주 막걸리 위촉패 진짜 크다!"

[아츠뉴스=옥영화 기자] 배우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 위촉패를 수여 받았다. 2월 3일 여의도 63빌딩에서 배우 엄태웅과 윤손하가 전통주 막걸리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호랑이와 막걸리. 2010년을 맞이하여 유독 눈에 띄는 단어이다. 60년 만에 찾...

  • 조회 수 1621
  • 2010-02-11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ile

-> 제30차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 참석자들이 27일 현대호텔에 마련된 '쌀 맛나는 경북홍보관'에서 막걸리를 마시고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흥겨워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막걸리 한잔에 파전 한입 "카~ 아시아가 반했다" FAO 아태대회...

  • 조회 수 1639
  • 2010-09-28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해남 대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 출시 전남 해남지역 대표 브랜드쌀로 만든 '한눈에 반한 막걸리'가 출시된다. 10일 해남군에 따르면 옥천농협과 옥천주조장이 최근 협약식을 갖고 '한눈에 반한 쌀'을 100% 사용한 막걸리를 생산판매하기로 했다. 이...

  • 조회 수 1655
  • 2010-08-12

위기의 민속주…고객들 외면

[서울신문]‘안동소주, 문배주, 두견주….’ 한국인이면 누구나 다 아는 민속주지만 경영실적은 ‘빛좋은 개살구’다. 한국의 술맛을 대표하는 민속주들이 시련을 겪고 있다.‘명절 선물용’이란 의식에다 ‘신세대 입맛에 맞지 않는다.’ 등 판매부진 이유도 가지가지...

  • 조회 수 1658
  • 2006-01-10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한 모금' 담아 파니 잘나가네 전통주까지 소용량 바람 싱글족을 겨냥한 미니 상품이 봇물을 이루는 가운데 술도 '원샷 사이즈'의 소용량 주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독주를 즐기던 음주문화가 달라지고 여성 음주인구가 늘면서 맥주와 소주, 와인에 이어 막걸...

  • 조회 수 1663
  • 2010-06-28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무르익는 가을, 가볼만한 지역 축제 [헤럴드 생생뉴스 2006-10-13 09:41] 가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지역 축제의 열기가 뜨겁다. 각 지자체는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축제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독서의 계절’을 맞아 출판...

  • 조회 수 1664
  • 2006-10-14

[전통주 명인의 술 이야기]&lt;2&gt;계명주 최옥근 씨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884/3/70070000000884/20091105/23901475/2《목으로 넘어가는 첫맛은 시큼했다. 발효된 알코올 특유의 신맛 다음엔 곡류(穀類)의 단맛이, 마지막엔 입 안으로 솔잎의 은은함이 퍼졌다. 이제까지 마셔본 어떤 술...

  • 조회 수 1669
  • 2010-02-11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file

경기도, 재즈막걸리 출시 보리막걸리에 탄산 강화, 젊은층 입맛 공략..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공식 건배주 음악에 어울리는 ‘재즈막걸리’를 개발, 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도는 오는 15일부터 열리는 ‘제7회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2010’을 맞아 경기도농...

  • 조회 수 1672
  • 2010-10-15

[생방송 obs- "전통주와 감흥로주에 대한 류인수 소장님 인터뷰"] file

(류인수 소장님과 이병희 PD님 인터뷰 사진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술독 회원님들^^ 오랜만에 인사를 드리게 됩니다. 파랗고 청명한 하늘이 우리의 마음을 셀레이게 하는 가을이 찾아왔내요. 다름이 아니라, 오늘 obs방송국에서 감홍로주에 대한 ...

  • 조회 수 1676
  • 2014-09-16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막걸리는 전통주?.. “대부분 수입쌀-수입밀로 만들어” 최근 인기를 더해가는 막걸리가 사실은 수입쌀로 만들어져 ‘전통주’의 이름을 무색케하고 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정해걸 한나라당 의원이 29일 농림수산식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

  • 조회 수 1681
  • 2010-10-15

“전통주, 농촌경제 활력소 될 것 ”

인터뷰 - 김영만 농림부 농산물유통국장 2006-12-28 오후 3:43:32 게재 전통주 산업이 농업·농촌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농림부는 9월 ‘전통주 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전통주 활성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조건이 성숙...

  • 조회 수 1682
  • 2006-12-29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산.관.학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 출범 경기도 내 지자체와 생산업체, 대학이 참여하는 '경기 막걸리 세계화 사업단'이 19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문수(왼쪽에서 9번째)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가졌다.2010.08.19.<<지방기사 참고.경기도 제...

  • 조회 수 1692
  • 2010-08-21
XE Login